$\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년층의 지역 내 계속 거주 이유에 관한 연구
Reasons for Seniors' Aging in Place within Their Community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2 no.3, 2014년, pp.285 - 299  

권오정 (건국대학교 주거환경 전공) ,  이용민 (건국대학교 주거환경 전공) ,  하해화 (건국대학교 주거환경 전공) ,  김진영 (건국대학교 주거환경 전공) ,  염혜실 (건국대학교 주거환경 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asons for aging in place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 adults over the age of 60 years who preferred aging in place. Interviewees were asked questions about their experiences of past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고령사회에 대한 예상은? 우리나라는 이미 2005년에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8.9%로 고령화사회(aging society)에 진입하였으며 2018년에는 노인인구비율이 14.3%에 도달하여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14].
보편적인 노인주거 정책의 방향은?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노후에는 어디에서 살 것인가?’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살던 곳에서 노후를 보내는 지역 내 계속 거주(aging in place)는 이미 우리보다 앞서 고령화를 경험한 국가들에서도 보편적인 노인주거 정책의 방향이다[13]. 고령화 관련 국제행동계획과 노인을 위한 UN원칙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 and United Nations Principles for Older Persons)의‘ 주택과 환경’ 분야 권고에 따르면 노인의 주거환경은 정부, 지방정부 및 민간단체의 지원 아래 노인들이 원한다면 그들에게 익숙한 지역에 계속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그러한 곳은 노인들이 오랫동안 참여하여 온 지역사회이거나 그들이 풍부하고 정상적이며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기회가 있는 곳임을 명시하였다.
노인주거에 대한 문제점 중 연구방법에 대한 문제는? 이와 같이 지역 내 계속 거주가 노인주거의 타당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는 추세이며 실제로 많은 노인들이 살던 집에서 계속 살고 싶어 하는 요구를 나타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지역 내 계속 거주와 관련된 제반 연구들은 주로 계속 거주 의사를 분석하는데 그치고 있다. 또한 연구방법 측면에서도 양적 연구에 치우쳐 있어 노인들의 지역 내 계속 거주 의미와 계속 거주의 이유에 대해서는 심층적으로 다루지 못하였다. 특히 구조화된 조사도구를 이용한 계량적 실증조사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노인들의 지역 내 계속 거주에 대한 생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기존 연구의 결과보다 좀 더 심도 있는 지역내 계속 거주 이유를 밝혀내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alkins, M. P. (1995). From aging in place to aging in institutions: Exploring advances in environments for aging. The Gerontologist, 35(4), 567-571. http://dx.doi.org/10.1093/geront/35.4.567 

  2.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 Harris, D. K. (1988). Dictionary of Gerontology. New York, NY: Greenwood Press. 

  4. Hong, S. H. (2011). Housing management behavior of the elderly: Focus on the causal effects of housing satisfaction and housing selection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5(2), 1-21. 

  5. Hwang, E. J. (2008). Exploring aging-in-place among Chinese and Korean seniors in British Columbia, Canada. Ageing international, 32(3), 205-218. http://dx.doi.org/10.1007/s12126-008-9014-3 

  6. Kim, S. H. (2010). A study on the attitude and needs of aging in place of middle aged residents through the community image and the satisfaction of indoor and outdoor living environment: The case of Columbia City, Missouri States, U.S.A.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2(3), 85-94. 

  7. Kim, S. H. (2012). Characteristics of aging-in-place oriented groups with middle and old aged in Kyungnam Area.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2), 47-57. 

  8. Kim, S. J. (2013). Social network of single elderly and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9. Kim, Y. J. (2003). A case study of resident satisfaction of assisted living facilities: Focusing on Virginia, U.S.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4(4), 139-148. 

  10.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8). 2007 Korean Housing Survey: For Elderly Household. Gwacheo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11. Kwak, I. S. (2011).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decisions by the super-aged on their preference of living with their children and continuously living in their current hous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6), 83-95. http://dx.doi.org/10.6107/JKHA.2011.22.6.083 

  12. Park, H. S. (2003). A study on improvement of dwelling environments of the elder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13. Regnier, V., & Pynoos, J. (1987). Housing the Aged: Design Directives and Policy Considerations. New York, NY: Elsevier. 

  14. Statistics Korea. (20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October 18, 2013, from http://kostat.go.kr 

  15. Tang, F., & Lee, Y. (2010). Home- and community-based services utilization and aging in place. Home Health Care Service Quarterly, 29(3), 138-154. http://dx.doi.org/10.1080/01621424.2010.511518 

  16. Wiles, J. L., Leibing, A., Guberman, N., Reeve, J., & Allen, R. E. S. (2012). The meaning of "aging in place" to older people. The Gerontologist, 52(3), 357-366. http://dx.doi.org/10.1093/geront/gnr0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