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시계량투입산출 모형을 이용한 광산품 수입대체의 경제적 효과 추정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Economic Effects on Mining Products Import Substitution Using Macroeconometric Input-Output Model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7 no.3, 2014년, pp.237 - 246  

김지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경제팀) ,  이경한 (한국광업협회) ,  김윤경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업연관표의 투입산출표와 거시계량경제모형을 연계하여 산업부문에 발생한 충격의 효과가 거시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모형화 하였으며, 모형을 통해 광산품 부문의 수입대체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추정하였다. 구축한 모형의 전반적인 개요는 거시계량경제모형을 구축하고 산업연관표를 통해 도출된 피용자보수를 국민계정상 가처분소득의 대리변수로 이용하여 두 분석틀을 연계하였다. 거시계량경제모형은 한국은행이 작성한 1997년 기준 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최근의 한국은행 모형을 통해 수정 및 보완하여 2011년 기준의 연간 거시계량경제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산업연관분석과 연계되는 가처분소득과 총취업자수 부분을 수정도입하였다. 산업연관표 부분은 2005년~2011년의 통합대분류 경상표 및 그 계수표를 이용하였다. 구축된 모형을 적용하여 광산품 중간투입 중 1%의 수입대체가 미치는 경제효과를 추정하였는데, 2011년 기준으로 GDP 0.00073% 증가, 경상수지 0.01040% 증가, 실업률 0.00233%p 감소의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거시변수를 이용하여 지출측면 중심으로 활용되던 거시계량경제모형에 산업연관표를 활용함으로써 산업 수준의 충격과 투입부문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t is estimated how many changes of macroeconomic variables are happened under the proposition of import substitution of mining products 1% using macroeconometric input-output model. For this, used macroeconometric input-output model is composed of 141 behavioral equations represent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거시계량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해 광업의 중간투입재에 대한 수입대체가 거시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업의 중간투입재 수입대체 규모와 그에 따른 총수입량 변화는 28부문 대분류 산업연관표를 통해 결정하였다.
  • 본 연구는 산업연관표의 투입계수를 적용한 거시계량모형을 이용해 광산품 부문의 수입대체가 경제에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 추정하고자 한다. 거시계량모형은 거시경제 전반에 대해 이론을 토대로 행태식을 구축하여 외생적 충격에 따른 거시경제 변화를 추정하거나 경제추이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 Kim and Kim(2014)는 투입산출모형에서 도출되는 피용자보수를 거시계량경제모형에 가처분소득의 대리변수로 적용하므로써 투입산출모형과 거시계량경제모형을 연계하고, 투입산출모형의 각종 계수를 거시계량경제모형에 도입하여 산업 생산구조를 반영한 거시계량 투입산출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im and Kim(2014)에 나타난 모형을 원용하여 광업의 수입대체에 따른 거시경제 효과를 추정하고자 한다.
  • 한편 BOK(2006)은 수요측면에 중심을 둔 기존의 한국은행 거시계량경제모형에 공급측면을 반영할 수 있도록 거시계량투입산출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은행은 산업별 전망과 수요측 전망 간에 정합성을 갖춘 중장기 시계의 예측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모형 구축에 있어서 거시계량경제모형의 부분은 기존에 한국은행이 구축한 분기 거시계량경제모형인 BOK04와 BOK04SA를 원용하여 재구축하였으며, 투입산출모형 부분에 대해서는 2000년도 산업연관표의 투입계수 및 고용표를 이용해 총산출을 추정하는 형태로 구축하였다.

가설 설정

  • 산업연관표는 본래 생산재화를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므로 엄밀하게 보면 광산품 수입대체로 이해하는 것이 정확하다 할 수 있다. 또한 28부문 대분류표의 광산품 부문은 석유천연가스, 석탄, 금속광석, 비금속광물이 통합되어 있는 부문이며, 산업연관표 작성의 전제에 따라 수입대체는 이 통합 생산품 항목에 대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업은 어떠한 산업인가? 국가 산업활동의 기초가 되는 에너지 및 원료자원을 생산하는 광업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기간산업으로서 다양한 산업부문에 중간재로 투입되는 재화의 원료를 공급하는 산업이라 할 수 있다. 2011년도 산업연관표에 따르면 광업에 해당하는 분류인 광산품의 전방산업 연관효과를 나타내는 감응도 계수는 약 2.
동 광산품 부문의 수입 의존도는 어떠한가? 22로 28개 부문 중 제1차금속제품과 화학제품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값을 보여 원료로서 전방산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 광산품 부문은 통합대분류 기준으로 181조원을 넘는 수입을 보이고 있어 약 96% 수입 의존을 보이고 있으며, 전산업 평균 수입비인 15% 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입의존도를 보인다.
광업과 국민경제 간의 영향관계 연구는 왜 산업연관분석을 기초로 한 경우가 많은가? 광업과 국민경제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산업연관분석을 기초로 한 경우가 많다. 이는 산업연관 표가 산업간 제품 및 서비스의 투입산출관계를 나타내는 표로서 산업을 고려한 경제분석의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이므로 광업이라는 산업관점에서의 경제분석을 시도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산업연관표는 기준연도에서 산업의 생산활동이 중간재 소비를 통해서 다른 산업과 맺고 있는 관계를 분석하며, 직접 효과뿐만 아니라 산업간 관계에 따른 간접효과를 포함하여 파악하고자 할 때에 많이 이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nk of Korea (2000) 한국경제의 계량경제모형. Bank of Korea, p.181-227. 

  2. Bank of Korea (2005) Press release ; 한국은행 분기 거시계량경제모형의 재구축. 2 June 2005. 

  3. Bank of Korea (2006) 한국은행거시계량투입산출모형. Monthly Bulletin, Bank of Korea, September 2006, p.23-127. 

  4. Bank of Korea (2013) 한국은행분기거시계량모형(BOK12) 재정모형 구축 결과. Monthly Bulletin, Bank of Korea, June 2013, pp. 14-34. 

  5. KDI (2005) 거시계량모형을 이용한 외생적 요인의 경제파급효과 분석. 정책연구시리즈2005-14, KDI. p.8-26 

  6. KEEI (2013) 해외자원개발의 국내 경제산업효과 분석. KEEI. p.50-83. 

  7. Kim J. (2009) Economic Effects of Mining Sector Using 2005 Input-Output Table of Korea.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Spring Conference in Seoul. 

  8. Kim, J. and Kim, H.J. (2014) A Study on Estimation of Total Ouput Change Effects on Mining Industry Using Macroeconometric Input-Output Model. J. of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forthcoming. 

  9. Kim, J., Chung, W.J. and Kim, Y.K. (2014) Estimation of Economic Effects on Overseas Oil and Gas E&P by Macroeconomic Model of Korea.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23, n.1, p.133-156. 

  10. Kim, Y., Park, H., Kim, S. and Lee, J. (2005) A Study on the Mine Development of North Korea and the Inter-Korean Mineral Resources Coop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8, n.2, p.197-206. 

  11. Kim, Y.K., Kim, J. and Heo. E. (2011) Analysis for Price Index Fluctuation by Increase in Uranium Price Using Input-Output Table 2008. J. of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v.48, n.1, p.59-66. 

  12. Koh, S.M., Lee, G.J. and Edward, Y. (2013) Status of Mineral Resources and Mining Development in Nor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6, n.4, p.291-300. 

  13. KORES (2012) 광물자원산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KORES. p.166-223. 

  14. Park, J.U. and Won, H.Y. (2009) A Study on the Contribution Factors of the Korean General Mechatronics Industry by the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Applied Economics, v.11, n.1, p.129-152. 

  15. Park, P., Kim, M. and Yi, I. (2009) Analysis of CO2 Emission Intensity per Industry using the Input-Output Tables 2003.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18, n,2, p.279-309. 

  16. Son, H. (2011) Resources Development Law System of North Korea and Inter-Korea Cooperation.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p.15-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