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1인가구를 위한 시니어 쉐어하우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nior Shared Hous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5 no.6, 2014년, pp.123 - 132  

염혜실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주거환경전공) ,  권오정 (건국대학교 건축대학 주거환경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portion of senior population living alone in South Korea has exceeded over 20.2% in 2012, and it is anticipated that the proportion would increase every year. Poverty rate of seniors living alone in Korea is also anticipated to increase the highest rate (76.6%) among OECD countries. In particul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두 명 이상의 비 혈연 노인 1인가구가 단위주호를 공유하는 것으로, 노인 개개인이 각자 개별 침실을 사용하고, 화장실/욕실은 개별 사용 혹은 공동사용이 가능하며 그 밖의 거실과 부엌/식당 등 공용공간은 서로 공유하면서 청소·요리·식사 등의 생활을 일정부분(어느 정도) 함께하는 형태를 「시니어 쉐어하우스」라 정의하고 이에 대한 기초 조사를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SH에 거주 의사를 가진 노인 1인가구를 대상으로 공동거주에 관한 의견을 다양하게 다루어 한국형 SSH의 유형을 개발 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개발의 유형에 대한 도입이 실현될 수 있도록 향후 후속연구들이 필요하며, 또한 본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은 또 다른 개발 방향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앞서 살펴 본 SSH의 선호하는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해보면 ‘성별‘, ‘학력‘, ‘월 소득‘의 3개 변수 항목이 뚜렷하게 차이를 보였는데 이러한 차이점을 토대로 한국형 시니어 쉐어하우스의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SSH는 보호가 필요한 노인이 아닌 비교적 건강한 노인들에게 자발적인 참여와 자율적인 공동생활이 가능한 주택유형으로 건강한 노화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적합한 주거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접근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중심의 노인 1인가구를 위한 주거대안으로서 단위주호를 공유하며 생활하는 공동체형 주거유형인 시니어 쉐어하우스(이하 SSH)의 국내 도입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형 시니어 쉐어하우스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관리·운영 측면에서 보면 정부·지자체에서 운영해야 하며. 월세보다는 전세로 영구임대 가능한 형태가 알맞을 것이다. 거주자를 모집할 때 인맥을 통해 구성하기를 원하였고, 동거인 수는 2인을 가장 선호하였는데 이는 거주자들이 많으면 성격차이로 인한 의견 충돌이나 불화, 함께 지켜야 하는 규칙 때문에 오히려 자유롭지 않고 불편할 것 같다는 우려에서 나온 결과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니어 쉐어하우스(SSH)의 장점은 무엇입니까? 시니어 쉐어하우스(SSH)의 장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집을 점유하고 있는 노인 1인가구가 기존 주택을 SSH로 활용 한다면 남은 공간을 활용하여 임대 수익금을 얻을 수 있으며 자기 집에서 계속 머물 수 있게 해준다. 둘째, 집이 없는 노인에게는 적절한 비용으로 본인이 원하는 좀 더 쾌적한 주거를 제공하며, SSH가 지금까지 거주하던 지역 내에 있다면 오랫동안 살아온 동네에서 계속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셋째, 자립생활이 가능한 건강한 노인들끼리 거주하기 때문에 공동생활을 통해 서로 도우며 좀 더 건강하게 노후를 보낼수 있고, 유사시 건강이 안 좋을 때에도 서로 의지가 되어 혼자 거주하는 것에서 오는 불안감을 없애준다. 넷째, 양로원이나 요양원 등 대규모 시설에 들어가 살기를 꺼려하는 노인들에게 기존 주택유형의 소규모로 제공되는 SSH는 노후에 갑작스러운 주거형태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다섯째, 기존주택의 재고를 활용하여 SSH 를 제공한다면 추가적인 주택 건설·공급이 줄어들고, 노인이 함께 모여 살며 자연스럽게 서로 돕게 되면서 고령 복지예산이 크게 줄어 공적 서비스 제공의 인적·물적 자원 절감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 쉐어하우스를 어떻게 정의하였습니까? 그러나 기존의 공동주거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단위세대를 공유하는 개념이 아닌 단지공유, 즉 단지 내 공유공간이 있고 일정한 부분의 생활을 공유하는 형태로서 기존의 주택 재고를 활용하여 단위주호를 공유하는 형식이 아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두 명 이상의 비 혈연 노인 1인가구가 단위주호를 공유하는 것으로, 노인 개개인이 각자 개별 침실을 사용하고, 화장실/욕실은 개별 사용 혹은 공동사용이 가능하며 그 밖의 거실과 부엌/식당 등 공용공간은 서로 공유하면서 청소·요리·식사 등의 생활을 일정부분(어느 정도) 함께하는 형태를 「시니어 쉐어하우스」라 정의하고 이에 대한 기초 조사를 수행하고자 한다.
한국에서 대다수의 중산층 노인이 이용하기에 적합한 노인주거 대안이 현재 없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특히 현재 한국의 노인 가구를 위한 주거복지시설은 극히 일부의 상류층과 극빈층 노인을 대상으로 계획된 노인복지주택(Elderly Welfare Housing)과 양로시설(Congregate Housing)만이 제공되고 있어 대다수의 중산층 노인이 이용하기에 적합한 노인주거 대안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대다수 중산층 노인에게 지불 가능한 주거비로 자신의 지역 사회 내에서 노인들끼리 모여 가정과 같은 분위기(homelike atmosphere)에서 사회적 교류 (network)를 유지하며, 활동적인 노후를 보낼 수 있는 다양한 주거대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박재간 (2002). 노인전용주거시설의 개발전략. 아시아미디어리서치. 

  2.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3. 이영태 (2011.11.15.). 노인 1인가구 빈곤율 77% OECD중 최고. 한국일보. 

  4. 통계개발원 (2013). 한국의 사회동향(korean social trends) 2012. 통계청. 

  5. Cho, W. S., & Kim, H. K. (201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architectural planning about collective housing of senior citizen who lives alone in rural and fishing village - a study on the model of co-housing for senior citizen who lives alone in the rural and fishing village (III).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4(2).43-51. 

  6. Choi, B. S., Oh, C. U., Hong, C. S., Park, S. H., & Park., J. R. (2006). Needs and consciousness of housing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7(3), 143-156 

  7. Kwon, O. J., Lee, W. M., Ha, H. H., Kim., J. Y., & Yeom., H. S. (2014). Reasons for seniors' aging in place within their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4(2), 285-299 

  8. Lee, J. H. (2007). Responses of korean elderly to elderly shared group hous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9. Oh, C. U. (2008). A study for developing housing alternatives for the elderly focused on group home and shared housing for aging in plac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3), 59-71. 

  10. So, G. S. (2007). A study on type and space composition in the small scale and multi-functional housing.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13(1), 17-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