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파트 커뮤니티 프로그램 운영 평가를 통한 주민주도형 운영 매뉴얼 개발
The Development of Resident-driven Operational Manual through the Evaluation of Community Programs in Apartment Complexe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5 no.3, 2014년, pp.131 - 143  

강순주 (건국대학교 건축학부 주거환경전공) ,  김진영 (건국대학교 건축학부 주거환경전공) ,  이보배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peration manual of resident-driven community program by evaluating community program operation to realize a sustainable apartment complex and vitalize a community. To achieve this purpose, 8 community experts, who are in charge of 42 complexes of 7 autonom...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주택의 등장으로 꾸준히 제기된 문제는? 우리나라는 자산적 가치와 생활의 편리함으로 공동주택의 비율은 높아져왔으나, 획일적 유형과 이웃과의 단절등의 문제는 끊임없이 지적되어왔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입주자들 간의 소통의 장을 마련할 수 있는 커뮤니티 형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인식하고 최근 들어 아파트 단지내에서는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여러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아파트에서의 커뮤니티 문제의 의미는? 이에 따라 공동주택입주자들 간의 소통의 장을 마련할 수 있는 커뮤니티 형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인식하고 최근 들어 아파트 단지내에서는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여러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커뮤니티의 활성화는 2000년 초 정부의 주택정책이 ‘내 집 마련’에서 ‘살기 좋은 우리 동네 만들기’로 전환된 이후 지속적으로 논의(Nam & Shin, 2005; 조성희 외 3인, 2007; Jo & Shin, 2010)되어온 것으로, 특히 아파트에서의 커뮤니티 문제는 지속가능한 주거 환경 만들기와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서울시에서는 개인위주의 삶으로 삭막한 아파트에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 자생단체를 활성화함으로써 이웃 간의 무관심을 해소하며, 정이 넘치는 살고 싶은 아파트를 만들기 위해 『공동주택 커뮤니티 활성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웃과의 단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우리나라는 자산적 가치와 생활의 편리함으로 공동주택의 비율은 높아져왔으나, 획일적 유형과 이웃과의 단절등의 문제는 끊임없이 지적되어왔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입주자들 간의 소통의 장을 마련할 수 있는 커뮤니티 형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인식하고 최근 들어 아파트 단지내에서는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여러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커뮤니티의 활성화는 2000년 초 정부의 주택정책이 ‘내 집 마련’에서 ‘살기 좋은 우리 동네 만들기’로 전환된 이후 지속적으로 논의(Nam & Shin, 2005; 조성희 외 3인, 2007; Jo & Shin, 2010)되어온 것으로, 특히 아파트에서의 커뮤니티 문제는 지속가능한 주거 환경 만들기와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계기석.천현숙 (2000). 커뮤니티 중심의 주거환경정비 연구. 국토연구원. 

  2. 두산건설 (2007). 두산 위브 커뮤니티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3. 삼성건설 (2006). 삼성래미안 생활문화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4. 서울특별시 주택본부 (2011). 아파트 커뮤니티 활성화 매뉴얼. 

  5. 조성희.이경희.이영석.박경옥 (2007). 공동주택 주거문화 제고 방안 연구(건설교통부 연구보고서). 건설교통부, (사)한국주거학회. 

  6. Cho, Y. (2013). The relation and role of the main participants for community activation in apartment housing -Focused on the Project of Making Open Apartment Housing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onKuk, Seoul. 

  7. Jo, I., & Shin, H. (2010). A Study of the Evaluating Factors of the Community for the Planning of a Sustainable Housing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1), 161-169. 

  8. Kang, S. (2010).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partment Community Facilities and Post Occupancy Evaluation-Focused on the R Apartments Complex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4), 111-120. 

  9. Kang, S., Kim, J., & Ham, S. (2012).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in researches about multi-family-housing community and the social background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3(4), 19-31. 

  10. Kang, S., Kim, J., Lee, B., & Cho, Y. (2013). A field on community facility management of 10-year public rental in response to tenants' need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4(5), 77-88. 

  11. Kim, Y., & Lee, Y. (2007). A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 on Management Services Between Management Staffs and Residents of Permanent Rental Housing from the Perspective of Welfar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5), 53-64. 

  12. Kwak, D., Eun, N., & Ha, S. (2004). A study on the apartment comunity revitalization: With the case of new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Housing Studies Review, 12(2), 139-160. 

  13. Kwon, T., & Choi, S. (2009). A Study on Attitude Survey of Apartment Residents and Superintendents for Activating of Multi-Family Housing Community Facilities-Focusing on Apartment Complexes under the Control of a Contract Agent.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11), 69-78. 

  14. Nam, Y., & Shin, J. (2005). A Study on the Apartment Space Planning Method on Community Concept.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6(3), 5-18. 

  15. Park, K. (2010). Establishment of the Social Environment to Active Communities in Apartment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1), 141-150. 

  16. Yeon, T., & Shin, Y. (2005). A Field Study on the Management and Uses of Residents' Common Service Facilities in Multi-Family Housing through Housing Managers' Interview.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1(10), 121-130. 

  17. Yoon, Z., & Choi, J. (2007). A Preliminary Study on the Neighborhood Architect on "Machizukuri" through Apartment Cyber Communities. Proceeding of Conference i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1), 651-65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