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와 학부모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및 정보요구도 추이 분석: 2008~2013 식품첨가물 섭취 안전성 평가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Trends of Perception and Information Needs on Food Additives of Children and Parents by Analyzing the Safety Assessment Reports of Food Additives in 2008~2013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0 no.3, 2014년, pp.249 - 261  

김선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식품영양전공) ,  김지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식품영양전공) ,  고정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생활과학교육전공) ,  김정원 (서울교육대학교 생활과학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grasp the trend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on their purchasing behavior of processed foods, awareness of food additives and its education experience by analyzing the safety assessment reports of food additives in 2008~2013. The most import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8~2013년간 식품첨가물 섭취 안전성 평가 연구에서 수행된 설문지의 설문개발 과정을 살펴본 결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품의약품안전처, 학계의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협의회의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과, 초등학생, 현장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해 매년 설문 항목을 개발하여 실시하였으며, 측정 항목은 그 해의 연구 주제, 대중매체 등 주변 환경의 영향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구매행동 및 식품첨가물 인식과 식품첨가물에 대한 홍보 및 교육과 관련하여 연도별 그 추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공통된 문항들을 추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Table 2와 같다. 학부모 대상 설문은 식품구매행동 및 식품첨가물 인식에 관한 문항 10개, 식품첨가물에 대한 홍보 및 교육에 관한 문항 7개로 모두 17문항이며, 어린이 대상 설문은 식품첨가물 인식에 관한 문항 9개, 식품첨가물에 대한 홍보 및 교육에 관한 문항 6개로 모두 15문항이다.
  •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6년간 지속적으로 실시해 온 식품첨가물에 대한 초등학생 어린이와 학부모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수집하여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 추이를 분석함으로서 식품첨가물에 대한 위해정보전달 노력의 효과를 평가하고 앞으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효율적인 위해전달을 위한 교육 및 홍보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의 식품첨가물 섭취 안전성 평가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학부모와 어린이의 식품구매행동과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보 요구도 관련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 초등학교 어린이들에서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나, 학부모들에서는 큰 변화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따라서, 식품첨가물을 관리하고 있는 정부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자체적인 신뢰도 제고를 위한 노력과 함께, 소비자 계층별 선호매체 및 교육방법을 활용하여 식품첨가물에 대한 충분한 교육홍보를 실시함으로써, 학부모, 어린이를 비롯한 소비자들이 식품첨가물에 대해 균형 잡힌 정보를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노력을 지속하여야 할 것이다.
식품첨가물에 대한 한국 소비자의 잘못된 고정 관념은 무엇입니까? 우리나라 식품위생법 제 2조에서는 식품첨가물을 “식품을 제조ㆍ가공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식품에 넣거나 섞는 물질 또는 식품을 적시는 등에 사용되는 물질”로 정의하고 있다(KFDA 2009). 그러나 식품첨가물은 충분한 안전성 평가를 기초로 허가되어 특정 목적에 따라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식품첨가물을 식품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TV 등 대중매체에서의 편향된 정보제공과 함께 식품첨가물의 사용은 건강에 해로운 것이라는 잘못된 고정관념을 지니고 있다(Kim HH와 Kim JW 2009, Kim SM와 Kim JW 2010).
한국의 식품 위생법에서 식품첨가물이란 무엇입니까? 우리나라 식품위생법 제 2조에서는 식품첨가물을 “식품을 제조ㆍ가공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식품에 넣거나 섞는 물질 또는 식품을 적시는 등에 사용되는 물질”로 정의하고 있다(KFDA 2009). 그러나 식품첨가물은 충분한 안전성 평가를 기초로 허가되어 특정 목적에 따라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식품첨가물을 식품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TV 등 대중매체에서의 편향된 정보제공과 함께 식품첨가물의 사용은 건강에 해로운 것이라는 잘못된 고정관념을 지니고 있다(Kim HH와 Kim JW 2009, Kim SM와 Kim JW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Khamees NA. 2009. Food habits of university nutrition student: pilot study. Nutr Food Sci 39(5):499-502 

  2. Bahk GJ, Kim YC, Lee HS, Rho MJ. 1999. A study on attitudes toward food safety issues in Korea. J Fd Hyg Safety 14(1):34-44 

  3. Chae HJ, Kim JW. 2013.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App for safe dietary life based on elementary school parents' perceptions on pesticide residue, Korean J Food Cook Sci 29(2):161-168 

  4. Choi JS, Chun HK, Hwang DY, Nam HJ. 2005.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of concerns about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66-74 

  5. Davies MAP, Wright LT. 1994. The importance of labelling examined in food marketing. Eur J Mark 28(2):57-67 

  6. FAO, WHO. 1999. The application of risk communication to food standards and safety matters: Report of a joint FAO/WHO expert consultation, Rome, 2-6 February 1998. Food and Nutrition Paper 70. Available from:http://www.fao.org/docrep/005/x1271e/x1271e00.htm. Accessed Feb 4, 2014 

  7. Jevsnik M, Hlebec V, Raspor P. 2008. Consumers' awareness of food safety from shopping to eating. Food Control 19(8):737-745 

  8. KFDA (2009): Food Hygiene Law. Available from:http://www.law.go.kr/lsInfoP.do?lsiSeq93603#0000. Accessed Feb 4, 2014 

  9. Kim EJ, Na HJ, Kim YN. 2007. Awareness on food additives and purchase of processed foods containing food additives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Hum Ecol 16(1):205-218 

  10. Kim HH, Kim JW. 2009. Development of risk communication materials on artificial sweeteners based on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tudents on food additives. J Korean Practical Arts Educ 22(3):145-160 

  11. Kim HJ, Kim MR. 2001. Consumers' recognition and information need about food safety - Focused on pesticide residues, foodborne illness, and food additives -. Korean J Food Culture 16(4):296-309 

  12. Kim JH, Lee SM. 2011. Effects of short-term food additive nutrition education including hands-on activities on food label use and processed-food consumption behaviors: among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6(5):539-547 

  13. Kim JW. 2008. Risk communication strategy development of sweetener. pp 326-535. In: Dietary intake of food additive by korean population - sweetener. KFDA research repor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14. Kim JW. 2009. Risk communication strategy development of sulfur dioxide. pp. 286-405. In: Nitrite. Dietary intake of food additive by korean population - sulfur dioxide, nitrite-. KFDA research repor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15. Kim JW. 2010. Risk communication strategy development of sulfur dioxide, nitrite. pp 328-409. In: Dietary intake of food additive by korean population - synthetic food colors -. KFDA research repor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16. Kim JW. 2011. Risk communication strategy development of preservatives, antioxidants. pp 318-414. In: Dietary intake of preservatives, antioxidants by korean population. KFDA research repor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17. Kim JW. 2012. Development educational manual for for understanding of food additives. pp 537-647. In: Safety re-evaluation of food additives-About 24 items contain sweeteners. KFDA research repor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18. Kim JW. 2013. Development educational material for understanding of food additives. pp 537-647. In: Safety re-evaluation of food additives-About 32 items contain colors. KFDA research repor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19. Kim SM, Kim JW. 2010. Development of risk communication strategy and educational homepage on food additives. Korea J Community Nutr 15(2):240-252 

  20. Ko MH, Kim JW. 2011. Seoul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information needs on artificial food colorants. Korean J Food Cook Sci 27(6):643-651 

  21. Kowalczuk I. 2007. Young purchasers of food. Acta Sci Pol., Technol Aliment 6(1):95-105 

  22. Lee DH. 2012. Uneasy feeling on food additives and social perception on food. Safe Food 7(2):10-15 

  23. Shim SM, Seo SH, Lee Y, Moon GI, Kim MS, Park JH. 2011. Consumers' knowledge and safety perceptions of food additives: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preservatives. Food Control 22(7):1054-1060 

  24. So YJ, Kim S, Lee JH, Park EY, Kim HJ, Kim JS, Kim SW. 2013. A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consumer organizations to promote risk communication for food additives. Korean J Food Cook Sci 29(2):105-1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