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삽조건에 따른 대봉감의 품질 변화
Effect of Astringency Removal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Daebong Persimmon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0 no.3, 2014년, pp.351 - 359  

노준희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지명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재인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진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말식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pplication of persimmon for making new products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degree of astringency removal, softness of fruit, and sensory properties of Daebong persimmons (Diospyros kaki L) treated with three different astringency removal methods of steeping in water, steeping in 1% sal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품질이 낮은 떫은 대봉감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가공식품 개발에 이용할 분말이나 과편, 퓨레 등을 제조하는데 적당한 탈삽법을 찾아내기 위해 탈삽법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영암군 금정에서 생산된 대봉감을 증류수와 1% 소금물로 채운 40°C 항온수조에 각각 침지시킨 조건과 진공 포장한 후 40°C에 저장하는 조건으로 저장시간에 따라 대봉감의 탈삽정도, 과육의 연화 정도와 관능적 품질을 비교분석하여 감의 연화를 최소화하고 탈삽이 완전해지는 조건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에 있어 탈삽과정의 장점은? 보통 감은 다른 과실과 같이 일시에 출하되기 때문에 수확 후그 시간이 경과하면 생감이나 탈삽처리한 감 모두 호흡및 증산작용으로 품질의 저하가 일어나 장기 저장이 어려워 떫은 감은 다른 과실에 비해 이용성이 제한되어 왔다(Jeong CH 등 2010). 적절한 탈삽방법은 떫은맛을 감소 시켜 관능적 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탈삽의 정도에 따라 과육의 색상이 변화될 수 있고 과육이 연 화될 수 있기 때문에 탈삽 중에 일어나는 과실의 연화를 억제 시키면 저장이나 유통성을 높이고, 품질의 저하를 막아 가공성 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C의 증류수에 침지하여 탈삽처리한 대봉감의 시간별 탈삽 정도 변화는? 또한 Toye JD 등(1987)에 따르면 이산화탄소로 처리한 감의 경우 7일 동안 20°C에서 저장 시에 탈삽이 거의 이루어져 탄닌 발색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고 하였다. 40°C의 증류수에 침지하여 탈삽 처리한 대봉감은 처리 6시간까지는 탈삽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탄닌이 발색되어 까만색으로 물들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감소하고, 18시간 이후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C의 1% 소금물에 침지하면 9시간 이후에는 탈삽되어 탄닌에 의한 검은 발색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하였고, 진공 포장하여 40°C에 보관하여 탈삽 처리하면 증류수에 침지한 감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떫은 감의 탈삽법으로 보고된 것은 무엇인가? 떫은 감의 탈삽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40°C의 더운 물에 침지 시키는 법, 35% ethanol 처리법, CO2 gas 처리법, PE film 밀봉, ethylene 또는 ethephon 처리 방법,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탈삽법, 키토산용액 침지법, 오존 처리법 등이 보고되었고, 특히 CO2 gas 처리는 과실의 대규모 처리에 적합하며 외국의 경우는 이미 상업적 규모로 실용화되었지만 흑변 발생이나 연화 등의 이상 현상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No HK와 Lee MH 1998, Jeong HS 등 2001, Savador A 등 2006). 주로 탈삽과 관련한 연구는 품종에 따른 자연탈삽현상에 대한 탄닌 물질의 특성 연구, CO2 gas와 에탄올 처리에 따른 삽미 제거 및 품질 변화에 관한 연구, 숙성 중의 감의 영양 성분 변화, 저장 온도에 따른 탈삽의 영향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Ben-arie R과 Sonego L 1993, Byun HS 등 1999, Seong JH와 Han JP 1999, Yamada M 등 2002, Jeong CH 등 2010, Catello ML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en-arie R, Songego L. 1993. Temperature affects astringency removal and recurrence in persimmon. J Food Sci 58(6):1379-1400 

  2. Besada C, Salvador A, Arnal L, Martinez-javega JM. 2008. Hot water treatment for chilling injury reduction of astringent 'rojo brillante' persimmon at different maturity stages. Hort Sci 43(7):2120-2123 

  3. Byun HS, Park SH, Roh YK, Sung JJ. 1999. Changes in the quality of astringent persimmon during removal of astringency by carbon dioxid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4):392-397 

  4. Castello ML, Heredia A, Dominguez E, Ortola MD, Tarrazo J. 2011. Influence of thermal treatment and storage on astringency and quality of a spreadable product from persimmon fruit. Food Chem 128(2):323-329 

  5. Chiralt A, Talens P. 2005. Physical and chemical changes induced by osmotic dehydration in plant tissues. J Food Eng 67(1-2):167-177 

  6. Choi DJ, Lee YJ, Kim YK, Kim MH, Choi SR, Park IS, Cha HS, Youn AR. 2012. Quality changes of minimally processed sliced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during storage by packaging method. Korean J Food Preserv 19(5):626-632 

  7. Hong JS, Chae KY. 2005.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ringent persimmon concentrate by boiling. Korean J Food Cook Sci 21(5):709-716 

  8. Jeong CH, Kwak JH, Kim JH, Choi GN, Jeong HR, Kim DO, Heo HJ. 2010. Changes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Daebong-gam (Diospyros kaki) during ripening. Korean J Food Preserv 17(4):526-532 

  9. Jeong HS, Chung HS, Lee JB, Seong JH, Choi JU. 2001.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quality change after storage of deastringencied persimmons. Korean J Posthavest Sci Technol 8(1):1-8 

  10. Kim HC. 2002. A study on the removal of astringency in persimmon (Diopsros kaki cv. Tonewase, Hachiya, and Namyangsusi). The Wonkwang University of Korea. pp 3-4 

  11. No HK, Lee MH. 1998. Removal of astringency in persimmons by chito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4):648-652 

  12. Plaza L, Colina C, Ancos B, Sanchez-moreno C, Cano MP. 2012. Influence of ripening and astringency on carotenoid content of high-pressure treated persimmon fruit (Diospyros kaki L.). Food Chem 130(3):591-597 

  13. Savador A, Abad I, Arnal L, Martinez-javega JM. 2006. Effect of ozone on postharvest quality of persimmon. J Food Sci 71(6):S443-S446 

  14. Seo JH, Jeong YJ, Shim SR, Kim JN, Kim KS. 1999. Changes in pattern of tannin isolated from astringent persimmon frui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3):328-332 

  15. Seo JH, Jeong YJ, Kim KS. 2000.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annins isolated from astringent persimmon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212-217 

  16. Seong JH, Han JP. 1999. The qualitative differences of persimmon tannin and the natural removal of astringency.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1):66-70 

  17. Toye JD, Glucina PG, Minamide T. 1987. Removal of astringency and storage of 'hiratanenashi' persimmon fruits. New Zealand J Exp Agr 15(3):351-355 

  18. Yakushiji H, Nakatsuka A. 2007. Recent persimmon research in Japan. Jpn J Plant Sci 1(2):42-62 

  19. Yamada M, Taira S, Ohtsuki M, Sato A, Iwanami H, Yakushiji H, Wang R, Yang Y, Li G. 2002. Varietal differences in the ease of astringency removal by carbon dioxide gas and ethanol vapor treatments among oriental astringent persimmons of Japanese and Chinese origin. Sci Hortic 94(1-2):63-72 

  20. Yin XR, Shi YN, Min T, Luo ZR, Yao YC, Xu Q, Ferguson I, Chen KS. 2012. Expression of ethylene response genes during persimmon fruit astringency removal. Planta 235(5):895-9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