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등 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ystems Thinking-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Secondary Scienc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Systems Thinking Skill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4 no.3, 2014년, pp.421 - 444  

박병열 (경북대학교) ,  이효녕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융합인재교육은 다양한 교과 영역에서 추출된 내용들이 체계적이고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체계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등 과학영재에게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는 데 있다. 융합인재교육과 시스템 사고에 대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모형을 제작하였고, 모형을 기초로 하여 '로켓'을 주제로 한 시스템 사고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소재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등 과학영재 1학년 100명, 2학년 13명으로 총 113명이다. 수업 처치 전 후의 시스템 사고능력 검사를 통해 단일집단 사전 사후 대응표본 t-검증 및 서술 문항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시스템사고와 관련하여 단어연상, 개념 간 관계형성, 문장의 생성, 인과지도 그리기 능력이 향상되었고, 시스템 사고의 구성요인인 정신모델, 개인숙련, 팀 학습, 시스템분석, 공유비전의 다섯 가지 항목에 대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로켓'을 주제로 한 시스템 사고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시스템사고 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일반 학교 현장에서 충분히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시스템 사고 능력과 융합적 문제해결능력을 지닌 인재를 육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TEAM education, contents that has been extracted from a variety of areas, so it can work closely and systematically. Therefore STEAM education requires systems thinking that can be grasped effectively these different disciplin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STEAM program based on...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스템 사고는 무엇에 초점을 두고 있는가? 시스템 사고(systems thinking skill)는 시스템과 달리 현상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적 사고로 그 안에 포함된 부분들 사이의 순환적 · 인과적 관계를 포함한 상호 연관을 인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시스템 내에서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그에 따른 결과가 다른 구성요소의 역할을 결정하는 역동적인 관계가 이루어짐으로써 시스템은 유지된다.
시스템이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시스템적 현상이나 변화, 그리고 그 구성요소들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고등사고능력인 시스템 사고의 함양이 요구된다(권용주 외, 2011; 김도훈, 이미숙, 홍영교, 최현아, 2006; 김만희, 김범기, 2002; 문병찬, 김해경, 2007; 문병찬 외, 2004; 이효녕, 권용주, 오희진, 이현동, 2011). 시스템(system)이란 필요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관련 요소를 어떤 법칙에 따라 조합한 집합체라 할 수 있으며 조직, 체제, 체계, 계와 같은 용어들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은 그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조합된 법칙에 의해 규정되며, 구성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시스템의 성격이 결정된다(Bertalanffy, 1968).
복잡한 시스템의 구조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관점을 필요로 하는가? 이러한 복잡한 시스템의 구조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이효녕, 김승환, 2009). 즉, 대상의 구성요소를 독립적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구성하는 요소와 요소들의 관계, 그리고 대상과 환경의 관계까지도 아우를 수 있는 거시적인 관점을 필요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권용주, 김원정, 이효녕, 변정호, 이일선 (2011). 생태계에 대한 생물교사의 시스템 사고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9(4), 529-543.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10년도 교육과학기술부 업무 보고: 교육과학기술 선진화로 세계일류국가 도약. 교육과학기술부. 2009.12.22. 

  3.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11년도 교육과학기술부 업무 보고: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2010.12.17. 

  4.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개정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2012 융합인재교육 STEAM 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 2013 융합인재교육 STEAM 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7. 교육부 (2013). STEAM으로 꿈과 끼를 키우다: STEAM 교육 현황 및 정책방향. 교육부 STEAM 정책 자료. 

  8. 김도훈, 이미숙, 홍영교, 최현아 (2006). 청소년의 시스템 사고 교육을 통한 창의성의 기반 이 되는 사고의 확장 효과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나믹스연구, 7(1), 51-65. 

  9. 김동환 (2005). 시스템사고의 적용에 관한 내면적 성찰: 점진적 시스템 사고의 모색. 정부학연구, 11(2), 63-85. 

  10. 김만희, 김범기 (2002). 현대 과학교육의 동향과 시스템사고 패러다임의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64-75. 

  11. 김윤지, 정진우 (2009). 지구계 교육과 소재로서 순환에 대한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951-962. 

  12. 김종순 (2001).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의 문제해결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11(2), 1-21. 

  13. 김진숙, 박순경, 최정순, 이효녕, 송지윤, 박영미 (2013).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국제비교.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문병찬, 김해경 (2007). 예비초등교사들의 시스템사고 능력 및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8(2), 235-252. 

  15. 문병찬, 정진우, 경재복, 고영구, 윤석태, 김해경, 오강호 (2004). 예비교사들의 탄소 순환에 대한 지구시스템의 관련개념과 시스템 사고의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684-696. 

  16. 미래창조과학부 (2013a). 27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융합인재 양성에 나선다. 미래창조과학부. 2013.5.23. 

  17. 미래창조과학부 (2013b).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13-'17).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18. 서보현 (2012). 창의적 설계와 과학탐구과정 기반의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서예원, 이재분, 유경재, 정영옥, 박지은, 이경숙, 채현정, 신민, 김수겸, 강윤정, 이균호 (2012).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수립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 손태원 (1995). 학습조직과 시스템 사고의 이론적 배경. 경제연구, 16(2), 109-131. 

  21. 이영은 (2012). 창의적 설계와 과학 탐구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효녕 (2011). STEAM 교육 시행을 위한 미국의 STEM 교육 고찰. 과학창의, 161(2), 8-11. 

  23. 이효녕, 권용주, 오희진, 이현동 (2011).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 그램 개발 및 적용: 지구온난화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2(7), 784-797. 

  24. 이효녕, 권혁수, 김미랑, 김용기, 남정철, 박경숙, 박병열, 서보현, 손동일, 오영재, 오희진, 이성수, 이영은, 전재돈, 정현일, 조현준, 한인기 (2012). 과학탐구와 창의적 설계 기반의 STEM/STEAM 교육의 이해와 적용: 융합인재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한 I-STEAM 교육 프로그램. 서울: 북스힐. 

  25. 이효녕, 권혁수, 박경숙, 이현동 (2013).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측정을 위한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5). 995-1006. 

  26. 이효녕, 김승환 (2009). 과학 영재 학생들의 사고양식에 따른 지구시스템에 대한 인지 특성. 과학교육연구지, 33(1), 12-30. 

  27. 이희택, 심규철, 김여상 (2008). 고등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지구과학 영역 해파 실험모듈 개발 및 활용. 영재교육연구, 18(1), 139-165. 

  28. 임영구 (2013). 시스템 사고력 향상을 위한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한국교육개발원 (2012). 영재를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0. Bertalanffy, L. (1968). General system theory. NY: George Braziller. 

  31. Ben-Zvi Assaraf, O., & Orion, N. (2005a). A study of junior high students' perceptions of the water cycle.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4), 366-373. 

  32. Ben-Zvi Assaraf, O., & Orion, N. (2005b).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518-560. 

  33. Ben-Zvi Assaraf, O., & Orion, N. (2010a). System thinking skill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5), 540-563. 

  34. Ben-Zvi Assaraf, O., & Orion, N. (2010b). Four case studies, six years later: Developing system thinking skills in junior high school and sustaining them over tim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10), 1253-1280. 

  35. Kali, Y., Orion, N., & Eylon, S. B. (2003). Effect of knowledge integration activities on students' perception of the Earth's crust as a cyclic syste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6), 545-556. 

  36. Karplus, R., & Thier, H. (1969). A new look at elementary school science; science curriculum improvement study. Chicago: Rand McNally. 

  37. Meadows. D. H. (2008). Thinking in systems. Washington, DC: Chelsea green. 

  38.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9.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echnology Teacher, 68(4), 20-26. 

  40. Senge, P. M. (1996). The fifth discipline: Fieldbook. New York: Broadway Business. 

  41. Yakman, G., & Lee, H. (2012). Exploring the exemplary STEAM education in the U.S. as a practical educational framework for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6), 1072-10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