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의 산소소비율과 수온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Water Temperature and Oxygen Consumption Rate of the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6 no.1, 2014년, pp.39 - 47  

이정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통영해양생물자원연구.보존센터) ,  이재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기기검교정.분석센터) ,  김지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기기검교정.분석센터) ,  명정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통영해양생물자원연구.보존센터) ,  오승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통영해양생물자원연구.보존센터) ,  강래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태계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는 우리 연근해에서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에 걸쳐 대표적인 어획종이였으나 지속적인 남획으로 인해 현재 자원이 급격히 감소한 상황이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인공종묘생산이 성공하게 되고 현재에는 새로운 양식 대상어종으로서 그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성체에 진입하는 단계에 있는 말쥐치(전장 $22.6{\pm}0.8$ cm, 총습중 $140.3{\pm}13.9$ g)의 수온($12{\sim}28^{\circ}C$)에 대한 표준대사율을 측정하여 이들 종이 가지는 수온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각 측정치로부터 그 관련 식을 얻었다. 표준대사율은 수온 $23{\sim}26^{\circ}C$ 부근에서는 수온 상승에 대해 증가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12{\sim}28^{\circ}C$의 수온 범위 전반에서 단위 체중 당 산소소 비율(SOCR, $m/O_2/gWW/h$)의 경우, SOCR = 0.0117WT-0.0135 ($r^2$ = 0.9351), 개체 당 산소소비율(IOCR, $m/O_2/fish/h$)의 경우는, IOCR = 1.8160WT-5.4007 ($r^2$= 0.9428)로 수온 상승에 따라 직선함수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단위 체중 당 산소소비율을 통해 수온민감도($Q_{10}$)를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수온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외온성 동물의 일반적인 $Q_{10}$ 값인 2~3보다 $12{\sim}15^{\circ}C$에서는 $Q_{10}$ 값이 6.27로 매우 높았고 $23{\sim}28^{\circ}C$에서 $Q_{10}$ 값은 1.30으로 다소 낮아서 난류성 어종의 수온 특성을 보였으며, 이로부터 성체에 진입하는 말쥐치에 있어서 $15{\sim}28^{\circ}C$는 그 적수온대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was a commercially important fish species in the 1980s, but suddenly its commercial significance decreased in the 1990s mainly due to continuous overfishing. Recently, in order to reverse the depleted stocks of the black scraper and help the species recover,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제 같은 과에 속한 쥐치 는 말쥐치와 비교해 생태적인 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고(이 등 2000a), 성향도 양식업자의 다년간 경험한 바에 의하면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앞으로 이들 종에 대한 생태적인 습성과 연관한 생리 연구가 더욱 절실하다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12~28oC 수온 범위 대에서 성어단계로 진입한 남해산 말쥐치를 이용하여 수 온별 표준대사율을 측정하여 그 관련 식을 제시하고, 세부 각 수온대에서 수온민감도를 파악하여, 이 종의 수온과 관련된 대사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성체에 진입하는 단계에 있는 말쥐치(전장 22.6 ± 0.8 cm, 총습중 140.3 ± 13.9 g)의 수온(12~28℃)에 대한 표준대사율을 측정하여 이들 종이 가지는 수온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각 측정치로부터 그 관련 식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준대사율은 외온 성 동물이 어떤 상태일 때 측정합니까? 특히, 표준대사율은(standard metabolic rate; SMR) 환경 온도에 의해 대사반응이 결정되는 외온성 동물에서 사용되어온 것으로, 내온성 동물의 기초대사율(basal metabolic rate; BMR)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이는 조절된 온도 하에서 측정된 기본대사율을 의미하는데, 일정한 체온에서 먹이를 취하지 않고 휴식상태에서 측정하여 얻어진다(강 등 1997). 그리고 생물을 둘러싼 환경요인 중 수온은 특히 어류와 같은 외온성 동물의 대사율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서(Brett and Groves 1979),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온에 의한 대사 생리적 반응 및 영향을 보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오 등 2012; Kim et al.
말쥐치의 한국 최대 어획량은 얼마이며, 최대 어획량을 기록한 해는 언제인가?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는 사질 퇴적물과 사니질 퇴적물로 이루어진 대륙붕에 주로 서식하며, 우리나라 전 연안, 동중국해, 남중국해, 일본연안 및 남부아프리카 로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김 등 2005; 김 등 2006). 이 종은 우리나라에서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으로서 1978년 이후로 연근해에서 단일어종으로는 최고 의 어획량을 기록하면서 1986년에는 32만 7000톤의 최대 어획량을 기록한 바 있다(염 1986; 홍 등 2000; 새전북신문 2001). 그러나 1990년대 초부터 어획량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1998년에는 9000여 톤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홍 등 2000; 이 등 2000a; 새전북신문 2001; An et al.
말쥐치의 서식지는 어디입니까?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는 사질 퇴적물과 사니질 퇴적물로 이루어진 대륙붕에 주로 서식하며, 우리나라 전 연안, 동중국해, 남중국해, 일본연안 및 남부아프리카 로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김 등 2005; 김 등 2006). 이 종은 우리나라에서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으로서 1978년 이후로 연근해에서 단일어종으로는 최고 의 어획량을 기록하면서 1986년에는 32만 7000톤의 최대 어획량을 기록한 바 있다(염 1986; 홍 등 2000; 새전북신문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만식, 남상렬, 이양림, 박영철, 안태인 (1997) 동물생리학 (개정판). 교학연구사, 서울, 580 p(Kang MS, Nam SR, Lee YL, Park YC, Ahn TI (1997) Animal Physiology. 2nd ed. Kyohakyongusa Press, Seoul, 580 p (in Korean)) 

  2. 곽우석, 이소광 (2009)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 자치어의 성장에 따른 소화기관 및 소화효소 발달. Korean J Ichthyol 21(3):149-157(Gwak W-S, Lee S-G (2009) Developmental Changes in Digestive Organ and Digestive Enzyme Activity of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Korean J Ichthyol 21(3):149-157 (in Korean)) 

  3. 김용억, 명정구, 김영섭, 한경호, 강충배, 김진구, 유정화 (2006) 한국해산 어류도감 (제2판). 도서출판 한글, 부산, 397 p (Kim YU, Myoung J-G, Kim YS, Han K-H, Kang C-B, Kim JK, Ryu JH (2006) Marine Fishes of Korea. 2nd ed. Doseochulpan Hangeul Press, Busan, 397 p (in Korean)) 

  4. 김익수, 최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원색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서울, 616 p (Kim I-S, Choi Y, Lee C-L, Lee Y-J, Kim B-J,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ress, Seoul, 616 p (in Korean)) 

  5. 해양수산부 (2001) 쥐치종묘 대량생산 기술개발. 해양수산부, 62 p (MOMAF (2001) Development on Mass Culture of File-Fish Seed.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62 p (in Korean)) 

  6. 박병하 (1985) 한국 근해 말쥐치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수진연구보고 34:1-64 (Park B-H (1985)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filefish, navodon modestus (Gunther) in the Korean waters.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34:1-64 (in Korean)) 

  7. 방인철, 이일로, 권성민, 박상용 (2005)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의 양식 가능성 평가. In: 한국양식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국립수산과학원, 부산, 2005년 5월 20일, pp 193 (Bang IC, Lee IR, Kwon SM, Park SY (2005) Review on the possibility of aquaculture of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In: Abstracts of the 2005 Spring Meeting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Busan, 20 May 2005, pp 193 (in Korean)) 

  8. 백철인, 박종화 (1989) 말쥐치의 어황변동과 해양특성. 수진연구보고 43:91-104(Baik CI, Park JH (1989) Fluctuation of Fishing Conditions of Filefish Navodon modestus (GUNTHER) in relation to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in Korean waters.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43:91-104 (in Korean)) 

  9. 새전북신문 (2001) [군산] 말쥐치 인공종묘 생산 성공. http://www.s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7554 Accessed 19 Sep 2012 (Sjb news.com (2001) The success of artificial seed production of filefish in Gunsan. http://www.sjbnews.com/news/articleView. html?idxno27554 Accessed 19 Sep 2012 (in Korean)) 

  10. 신윤경, 이정아, 진평 (2000)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 의 산소소비와 질소배설에 미치는 염분 및 용존산소의 영향. 한수지 33(2):110-114 (Shin YK, Lee JA, Chin P (2000) The Effect of Dissolved Oxygen and Salinity on Oxygen Consumption and Ammonia Excretion in the Mysid, Neomysis awatschensis. J Korean Fish Soc 33(2):110-114 (in Korean)) 

  11. 염말구 (1986) 여름철 거문도 남해해역에서 어획된 말쥐치의 체장과 체중조성. 어업기술 22(4):71-74 (Youm MG (1986) On the Total Length and Body Weight of the File Fish, Navodos modestus, Caught in the southern Sea Area of Komundo Is. during Summer. Bull Korean Fish Soc 22(4):71-74 (in Korean)) 

  12. 오승용, 노충환, 명정구, 조재윤 (2007)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산소 소비율에 미치는 수온과 체중의 영향. Korean J Ichthyol 19(1):1-7 (Oh S-Y, Noh CH, Myoung J-G, Jo J-Y (2007)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Body Weight on Oxygen Consumption Rate of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Korean J Ichthyol 19(1):1-7 (in Korean)) 

  13. 오승용, 장요순, 노충환, 최희정, 명정구, 김종관 (2009) 강도 다리 Platichthys stellatus의 산소 소비율에 미치는 수온과 체중의 영향. Korean J Ichthyol 21(1):7-14 (Oh S-Y, Jang Y-S, Noh CH, Choi HJ, Myoung J-G, Kim CK (2009) Effect of water temperature and body weight on oxygen consumption rate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Korean J Ichthyol 21(1):7-14 (in Korean)) 

  14. 오승용, 장요순, 박흥식, 최영웅, 김종관 (2012)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대사율에 미치는 수온과 체중의 영향. Ocean and Polar Res 34(1):93-99 (Oh S-Y, Jang Y-S, Park H-S, Choi Y-U, Kim C-K (2012) The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 body weight on metabolic rat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cean and Polar Res 34(1):93-99 (in Korean)) 

  15. 이승종, 고유봉, 이영돈, 정지현, 한창희 (2000a) 제주 남부 연안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의 생식년주기. Korean J Ichthyol 12(1):71-84 (Lee SJ, Go YB, Lee YD, Jung JH, Han CH (2000a)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File Fish, Thamnaconus modestus, on the Southern Coast of Cheju Island. Korean J Ichthyol 12(1):71-84 (in Korean)) 

  16. 이승종, 고유봉, 최영찬 (2000b)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 의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의 형태발달. Korean J Ichthyol 12(3):208-214 (Lee SJ, Go YB, Choi YC (2000b)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Larvae of the File Fish, Thamnaconus modestus. Korean J Ichthyol 12(3):208-214 (in Korean)) 

  17. 이승주, 구학동, 이병철, 이종문 (2000c) 말쥐치 종묘생산기 술개발시험. 국립수산과학원, 1999년도 동해수산연구소사업보고서, pp 292-294 (Lee S-J, Ku HD, Lee B-C, Lee J-M (2000c) Technical development on seed production of filefish.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1999 Technical Report of East Sea Regional Fisheries Research Agency, pp 292-294 (in Korean)) 

  18. 정석근, 하승목, 나한나 (2013)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주변 해역 수산 어종 변화(1981-2010). 한수지 46(2):186-194(Jung S, Ha S, Na H (2013) Multi-decadal Changes in Fish Communities Jeju Island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Kor J Fish Aquat Sci 46(2):186-194 (in Korean)) 

  19. 최수하, 박차수 (1982) 한국 남해산 말쥐치의 성숙과 산란. 수진연구보고 30:73-80(Choi S-H, Park C-S (1982) Maturity and Spawning of File Fish, Navodon modestus (Gunther),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30:73-80 (in Korean)) 

  20. 홍성걸, 신영태, 류정곤, 김선표, 김성귀, 정명생, 강종호, 마임영 (2000) 수산정책 집행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기본연구 2000-09, pp 58-62(Hong SG, Shin Y-T, Ryu JG, Kim SP, Kim S-G, Joung MS, Kang J-H, Ma YY (2000) The Study on Effectiveness of Fisheries Policy Enforcement. Korea Maritime Institute, Basic research 2000-09, pp 58-62 (in Korean)) 

  21. An HS, Lee JW, Dong CM, Noh JK, Myeong J-I (2011)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satellite markers for genetic analysis of the Korean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Genes Genom 33:499-504 

  22. Bartell SM, Breck JE, Gardner RH, Brenket AL (1986) Individual parameter perturbation and error analysis of fish bioenergetics models. Can J Fish Aquat Sci 43:160-168. 

  23. Brett JR, Groves TDD (1979) Physiological energetics. In: Hoar WH, Randall DJ, Brett JR (eds) Bioenergetics and growth. Fish Physiology, vol. 8. Academic Press, New York, pp 279-352 

  24. Bridges CR (1988) Respiratory adaptations in intertidal fish. Am Zool 28:79-96 

  25. Brown JAG, Jones A, Matty AJ (1984) Oxygen metabolism of farmed turbot (Scophthalmus maximus): I. the influence of fish size and water temperature on metabolic rate. Aquaculture 36:273-281 

  26. Fry FEJ (1971)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physiology of fish. In: WS Hoar, DJ Randall (eds) Fish physi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pp 1-98 

  27. Japan Fisheries Resource Conservation Association (1983) Ecological Resources of Aquatic Life (second volume). pp 50-53 (In Japanese) 

  28. Jobling M (1981) The influences of feeding on the metabolic rate of fishes: a short review. J Fish Biol 18:385-400 

  29. Jung S, Cha HK (2014) Fishing vs. Climate Change: an example of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J Mar Sci Technol (in press) 

  30. Kim H-R (2012) Distribution and feeding ecology of the file fish, Thamnaconus modest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72 p 

  31. Kim S, Zhang C-I, Kim J-Y, Oh J-H, Kang S, Lee JB (2007) Climate variability and its effects on major fisheries in Korea. Ocean Sci J 42(3):179-192 

  32. Kim WS, Jeon JK, Lee SH, Huh HT (1996) Effects of pentachlorophenol (PCP) on the oxygen consumption rate of the river puffer fish Takifugu obscurus. Mar Ecol Prog Ser 143:9-14 

  33. Kim WS, Yoon S-J, Gil J-W (2003) Critical thermal maximum (CTM) of cultured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J Fish Sci Tech 6(2):59-65 

  34. Kim WS, Yoon S-J, Kim JM, Gil JW, Lee TW (2005) Effects of temperature changes on the endogenous rhythm of oxygen consumption in the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ish Sci 71:471-478 

  35. Kim WS, Yoon SJ, Kim JW, Lee JA, Lee TW (2006) Metabolic response under different salinity and temperature conditions for glass eel Anguilla japonica. Mar Biol 149:1209-1215 

  36. Lee JA, Kim JW, Kim WS (2007) Effect of tremata closures on the oxygen consumption rhythm of ezo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quaculture 270: 312-320 

  37. Lee J-A, Kim J-W, Oh S-Y, Yi S-K, Noh I, Ishimatsu A, Kim W-S (2012) Effect of low dissolved oxygen on the oxygen consumption rate and rhythm of the mudskipper Scartelaos gigas (Pisces, Gobiidae). Fish Sci 78:1013-1022 

  38. Lee TW, Kim WS (2001) Thermal effects on respiratory activities of glass eel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J Taiwan Fish Res 9:129-136 

  39. Mizuno K, Shimizu-Yamaguchi S, Miura C, Miura T (2012) Method for efficiently obtaining fertilized eggs from the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by natural spawning in captivity. Fish Sci 78:1059-1064 

  40. Uchida G (1927) On fingerlings of Monacanthidae several species and their habit. Doujachu 39(462):161-178 (In Japanese) 

  41. Wuenschel MJ, Wemer RG, Hoss DE (2004) Effect of body size,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routine metabolism of larval and juvenile spotted seatrout. J Fish Biol 64:1088-1102 

  42. Yamamoto K, Hosomoto M, Kamimura T (1987) Changes of Oxygen Consumption in the Red Sea Bream, Banded Grouper, File Fish, Multicolorfin Rainbowfish and Frogfish under Progressive Hypoxia. Suisanzoshoku 35(3):143-146 (in Japanese) 

  43. Yamamoto K, Shima T, Yamashita H, Wataishi K (1990) Relationship between Oxygen Consumption and Body Weight in 36 Marine Teleost Fish under Resting and Normoxic Condition. Suisanzoshoku 38(1):41-45 (in Japanese) 

  44. Yoon S-J, Kim C-K, Myoung J-G, Kim W-S (2003) Comparison of oxygen consumption patterns between wild and cultured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ish Sci 69:43-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