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질과 교사와의 관계가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n their Peer Interac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3, 2014년, pp.47 - 68  

신혜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 및 교사와의 관계가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기질의 영향력을 교사-유아 간 관계가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사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326명의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에는 교사-유아 간 관계의 주효과와 교사-유아 간 관계 및 정서성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발견되어, 교사-유아 간 관계가 유아의 정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에는 유아의 정서성과 활동성 및 교사-유아 간 친밀 및 갈등 관계의 주효과만이 나타났다. 이로써,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반면, 유아의 기질은 부정적인 상호작용에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hildren's temperament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ffect their peer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two surveys were conducted on mothers and teachers of 326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four kindergartens in Gyeonggi Province. Th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식화를 통해 상호작용효과가 어떠했는지 설명하는 것에 이어, 본 연구에서는 조절변인인 교사-유아 간 친밀관계 수준에 따라 정서성이 높은 유아와 낮은 유아 간 긍정적 또래상호작용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사후검증하였다. 사후검증은 Bonferroni 보정을 통한 단순비교(simple comparison)를 이용하였다.
  • 두 번째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유아 관계를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보고, 그 영향력과 중재효과를 살펴보았다. 교사와의 관계를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간주하는 것은 교사-유아 관계 연구의 오랜 전통 중 하나이나(Pianta, 1999),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실제 경험하는 유아와의 관계는 유아가 평소 학급에서 또래와 어떤 상호작용을 하며, 이로 인해 상호작용이 학급의 분위기나 운영에 도움 또는 방해가 되었는지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또래와 맺는 관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내적 특성인 유아의 기질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외적 특성인 교사와의 관계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유아기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부정적인 상호작용으로 구분되며, 이 둘은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심희옥, 신유림, 2009),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을 크게 긍정적 상호작용과 부정적 상호작용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 및 교사와의 관계가 기관에서 보이는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기 위하여, 유아의 기질, 교사-유아 관계 및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유아 기질의 영향이 교사와의 관계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또래상호작용의 경우 유아의 기질은 영향력이 없는 반면, 교사-유아 관계는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기질 중 정서성에 한해 교사-유아 관계의 조절효과가 발견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또래와 맺는 관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내적 특성인 유아의 기질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외적 특성인 교사와의 관계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유아기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부정적인 상호작용으로 구분되며, 이 둘은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심희옥, 신유림, 2009),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을 크게 긍정적 상호작용과 부정적 상호작용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이는 적절한 또래상호작용은 증진시키고 부적절한 또래상호작용은 중재하기 위해 교사가 개별 유아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유아기는 가족 이외의 다양한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 능력을 발달시켜 사회적 적응력을 높여가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유아가 유치원 및 어린이집과 같은 기관에서 집단생활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때이므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소속감, 사회적 기술, 사회적 유능감과 같은 사회성의 기초를 형성하게 된다.
또래상호작용이란 무엇인가? 또래상호작용이란 유아가 교류하는 사회적 대상 중 비슷한 연령대의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행동으로(박정란, 2008), 이를 통해 유아는 다양한 사회적 지식과 문제해결에 적용 가능한 대인관계기술을 습득할 수 있게 된다(Rubin, Bukowski, & Parker, 2006). 특히 유아기에 경험하는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수직적 권위에 기초하는 성인과의 상호작용과는 달리 수평적인 관계에 기초하므로, 균형적인 협력과 의사소통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이은해, 2000; 이지희, 김혜연, 2012).
유아기때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유아기는 가족 이외의 다양한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 능력을 발달시켜 사회적 적응력을 높여가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유아가 유치원 및 어린이집과 같은 기관에서 집단생활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때이므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소속감, 사회적 기술, 사회적 유능감과 같은 사회성의 기초를 형성하게 된다. 더욱이 최근 가족구조의 변화로 유아가 교육기관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유아가 경험하는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점차 강조되고 있다(정대현, 지성애,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6)

  1. 강정원(2002). 교사의 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분석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지, 10(2), 43-60. 

  2. 곽주영, 이영(1997). 보육교사 행동의 질적수준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35(2), 385-399. 

  3. 권미경(1999).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사회.정서적 발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권연희(2012). 남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2(2), 29-48. 

  5. 권연희(2013). 유아의 문제행동과 또래괴롭힘 피해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2(3), 391-404. 

  6. 김기영, 심숙영, 강성희(2006). 놀이에서의 또래 리더십에 대한 또래 상호작용의 영향력 분석. 아동과 권리, 10(3), 297-319. 

  7. 김난실(2004). 만2세반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김미희(2011).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교사-유아관계 및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선희(2009). 유아의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관계의 영향. 유아교육연구, 29(5), 203-224. 

  10. 김연(2007).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변인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현지, 전경아(2010). 유아-교사 관계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방과후아동지도연구, 7(2), 17-34. 

  12. 나유미(1999).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어머니-유아 상호작용과 관련 변인: 애착과 기질. 아동학회지, 20(4), 75-89. 

  13. 민경신(2011).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고령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기질이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민혜영(1999).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과 기질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6(1), 63-88. 

  15. 박경자(1999). 영아의 애착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어머니의 민감성과 영아의 기질. 아동학회지, 20(3), 3-17. 

  16. 박석규, 이은희(2011).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과 기질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257-278. 

  17. 박지선(2000). 영유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정란(2008). 4세 유아를 위한 또래관계 형성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박희숙(1985). 6, 7세 아동의 친구관계 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서소정(2009). 영아의 보육기관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영아발달, 기질, 교사-영아간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양육 및 보육신념과 적응지원 전략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259-288. 

  21. 서정은(2005).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에 따른 또래 상호작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손혜련(1996).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모자간 애착, 유아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심희옥, 신유림(2009). 또래관계. 아동학회지, 30(6), 195-208. 

  24. 여연승(2003).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또래수용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오재연, 이지현(2005). 3세 유아의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애착유형과 유치원 생활적응 행동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385-412. 

  26. 유정미(2009). 교사-유아관계,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원영미, 박혜원, 이귀옥(2004). 유아의 기질과 가정환경 및 유아의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4(2), 311-334 

  28. 이경희(1995).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수준, 유아의 기질, 가정양육 환경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선애, 현은자(2010).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연구. 아동학회지, 31(2), 1-15. 

  30. 이은영(2008).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이은해(2000). 아동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1(3), 77-95. 

  32. 이지희, 김혜연(2012). 유아기 긍정적.부정적 또래상호작용에 관련된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301-322. 

  33. 이진숙(2001). 유아의 애착표상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4. 이찬숙, 현은자(2008). 유아의 기질, 사회적 유능감, 감성지능, 도덕성 및 부모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9(3), 223-238. 

  35. 전경아(2003). 유아의 또래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정대현, 지성애(2006).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6(3), 201-221. 

  37. 조상흔(2007). 교사가 지각한 교사와의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조의선(2011). 교사효능감 및 교사기질이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조영아(2008). 영아의 기질 및 영아-교사 간 애착안정성에 따른 또래간 상호작용 차이.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조혜진, 이기숙(2004).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가족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 변인 분석. 유아교육연구, 24(4), 263-284. 

  41. 천희영(1992). 한국 아동의 기질 유형화와 어머니 양육 태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2. 천희영(1993).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 아동학회지, 14(2), 17-34. 

  43. 천희영(2006). 아동의 기질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1980-2004. 아동학회지, 27(4), 17-38. 

  44. 최미숙, 황윤세(2007).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대한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의 관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03-123. 

  45. 최인숙, 이강이(2010).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와 정서요인이 유아의 외현적 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6), 15-34. 

  46. 최정희(1998). 유아의 또래 수용도와 감정조망 수용능력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7. 최혜영(2004). 아동의 또래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8. 한희정(2006). 유아의 기질과 또래상호작용 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홍계옥, 정옥분(1995).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모자 애착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6(1), 99-112. 

  50. 홍현재(2013).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1. 황상민, 김도환(2003). 발달심리학의 연구대상에 대한 과학철학적 탐색: 발달현상의 연구와 발달적 맥락의 의미.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1), 1-17. 

  52. 황옥경(1990). 부모와 교사가 지각한 배척 소외 아동의 행동상의 문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1(1), 72-86. 

  53. 황윤세(2007).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의 인과모형 분석. 유아교육연구, 27(1), 323-350. 

  54. Bates, J. E. (1980). The concept of difficult temperament. Merrill-Palmer Quarterly, 26(4), 299-319. 

  55. Blair, K. A., Denham, S. A., Kochanoff, & Whipple, B. (2004). Playing it cool: Temperament,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behavior in preschooler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2(6), 419-433. 

  56.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 Erlbaum. 

  57.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 61-79. 

  58. Burchinal, M., Peisner-Feinberg, E., Pianta, R., & Howes, C. (2002). Development of academic skills from preschool through second grade: Family and classroom predictor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0, 415-436. 

  59. Clarke-Stewart, A., & Allhusen, V. (2005). What we know about childcar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0. Crosnoe, R., Johnson, M. K., & Elder, G. H. (2004). Inter-generational bonding in school: The behavioral and contextual correlates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ociology of Education, 77, 60-81. 

  61. Denham, S., McKinley, M., Couchoud, E., & Holt, R. (1990). Emotional and behavioral predictors of preschool peer ratings. Child Development, 61, 1145-1152. 

  62. Dunn, J., & Cutting, A. (1999). Understanding other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friendship interactions in young children. Social Development, 8, 201-219. 

  63. Fantuzzo, J., Coolahan, K., Mendez, J., McDermott, P., & Sutton-Smith, B. (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411-431. 

  64. Jerome, E. M., Hamre, B. K., & Pianta. R. C. (2008). Teacher-child relationships from kindergarten to sixth grade: Early childhood predictors of teacher-perceived conflict and closeness. Social Development, 18(4), 1467-1507. 

  65. Hartup, W. W. (1992). Peer relations in early and middle childhood. In Van Hasselt & M. Hersen (Eds.), Handbook of social development: A lifespan perspective (pp. 257-281). New York: Plenum. 

  66.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 (1988).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 39-53. 

  67. Howes, C. (1988). Peer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3 (1, Serial No. 217). 

  68. Howes, C. (1992). Sequences in the development of competent play with peer: Social and social pretend play. Developmental Psychology, 5, 961-974. 

  69. Howes, C., & Hamilton, C. E. (1993). The changing experience of child care: Changes in teachers and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ith peer.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15-32. 

  70. Koomen, H. M. Y., Verschueren, K., van Schooten, E., Jak, S., & Pianta, R. C. (2012). Validating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Testing factor structure and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child gender and age in a Dutch sample.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0(2), 215-234. 

  71.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1). Child care and children' peer interaction at 24 and 36 months: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72(5), 1478-1500. 

  72. Ladd, G. W., & Burgess, K. B. (2001). Do relation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moderate the links between childhood aggression and early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72, 1579-1601. 

  73. Parker, J. G., Rubin, K. H., Erath, S. A., Wojslawowicz, J. C., & Buskirk, A. A. (2006). Peer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and adjustment: A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perspective. In D. Cicchetti & D. Cohen (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Risk, disorder, and adaptation (Vol. 2, pp. 419-493). New York: Wiley. 

  74. Parker-Cohen, N. Y., & Bell, R. Q.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adjustment to peer.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2), 179-192. 

  75. Pianta, R. C. (1991).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Charlottesville, VA: University of Virginia. 

  76. Pianta, R. C. (1999). Enhancing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7. Pianta, R. C., La Paro, K. M., Payne, C., Cox, M. J., & Bradley, R. (2002). The relation of kindergarten classroom environment to teacher, family, and school characteristics and child outcome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2, 225-240. 

  78. Pianta, R. C., & Stuhlman, M. W. (2004).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uccess in the first years of school. School Psychology Review, 33, 444-458. 

  79. Rimm-Kaufman, S., Curby, T., Grimm, K., Nathanson, L., & Brock, L. (2009). The contribution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classroom quality to children's adaptive behaviors in the kindergarten classroom. Developmental Psychology, 45, 958-972. 

  80. Rubin, K.. H., Bukowski, W., & Parker, J. (2006).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In W. Damon, R M. Lerner, & N, Eisenberg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6th edition (Vol. 3, pp. 571-645). New York: John Wiley & Sons. 

  81. Rubin, K., & Rose-Krasnor, L. (1992).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In V. van Hasselt & M. Hersen (Eds.), Handbook of social development: A life span perspective (pp. 283-323). New York: Plenum. 

  82. Russell, A., Hart, C., Robinson, C., & Olsen, S. (2003). Children's sociable and aggressive behaviour with peers: A comparison of the US and Australia, and contributions of temperament and parenting styl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7(1), 74-86. 

  83. Sabol, T., & Pianta, R. C. (2012).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14(3), 213-231. 

  84. Vasta, R., Haith, M. M., & Miller, S. A. (1992). Child psychology: The modern scie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85. Vaughn, B. E., Vollenweider, M., Bost, K. K., Azria-Evans, M. R., & Snider, J. B. (2003). Negative interactions and social competence for preschool children in two samples: Reconsidering the interpretation of aggressive behavior for young children. Merrill-Palmer Quarterly, 49, 245-278. 

  86. Webb, M. L., & Neuharth-Pritchett, S. (2011). Examining factorial validity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6, 205-2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