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주요 건강기능식품 관련 홍보용 인터넷 건강 정보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Promotional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bout Health Functional Food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1 no.2, 2014년, pp.65 - 78  

최지영 (서울대학교 의학대학원 의학과) ,  이진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romotional Internet health information on health functional foods with regard to labeling information, website structure, and overall quality. Methods : The websites of 15 producers of three health functional foods (Red ginseng, vitamin, aloe) wer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표적인 건강기능식품(홍삼, 비타민, 알로에)관련 홍보용 인터넷 건강 정보의 질을 평가하여 관련 인터넷 건강정보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건강기능식품의 인터넷 제품 광고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한 표시 기준에 해당하는 기본정보의 표시율을 평가한 결과, 일부 홍삼, 알로에 제품에서 불완전한 표시율을 보였으며, 소비자의 건강기능식품 복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통기한’과 ‘부작용 가능성’ 항목의 경우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대표적인 건강기능식품(홍삼, 비타민, 알로에)을 생산하는 15개 업체의 인터넷 웹사이트가 제공하는 제품 광고의 기본 정보 평가와 웹사이트의 구조적 특성 파악 및 건강정보 질 평가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관련 홍보용 인터넷 건강정보 질의 현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통계자료 상에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같은 항목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비타민과 무기질 제품은 서로 다른 제품군을 가지고 있고, 생산 및 판매 업체가 상이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특정 품목에 해당하는 생산업체를 선정하기 위해 비타민으로 국한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 5, 일부개정) 제 4조에 명시된 기본 정보 제공 여부를 평가하고, 업체 제공 웹사이트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며,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홍보용 인터넷 건강정보의 질을 DISCERN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판촉을 목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인터넷 건강 정보의 질을 파악하여 건강기능식품 관련 홍보용 인터넷 건강정보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건강기능식품 섭취가 보편화되고, 건강기능식품 섭취 관련 인터넷 활용도가 증가하는 가운데,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건강기능식품 관련 건강정보의 질을 평가하고, 정보의 신뢰도와 질을 보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건강기능식품업체가 제공하는 인터넷 제품 광고의 신뢰도와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업체가 제공하는 인터넷 제품 광고를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표시기준’에 관한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3-72호 (제2013.
  • 따라서 향후 보다 대표성 있는 연구결과를 위해서는 의사, 건강기능식품 개발연구원 등의 관련 분야 전문가와 건강기능식품 소비자를 평가자에 포함하여 평가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술한 세 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대표적인 건강기능식품 관련 홍보용 인터넷 건강정보를 다방면의 각도에서 분석하여 인터넷 제품 광고의 기본 정보 표시 실태 및 홍보용 웹사이트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 DISCERN을 이용하여 인터넷 건강정보의 신뢰도, 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했으며, 이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관련 인터넷 건강정보의 개선 방안에 대한 준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기능식품의 정의는? 건강기능식품은 “일상 식사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이하 기능성원료)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으로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 정의할 수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식품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건강을 도모하고자 하는 현대인들의 요구에 힘입어 건강기능식품의 섭취는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2001년 서울지역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건강기능식품 구매 장소의 비율은 어떠한가? 특히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한 상품 구매가 가능해지고,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이 활발해지면서 건강기능식품관련 인터넷의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2001년 서울지역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식품 구매 장소의 비율이 ‘전문매장’ 35.3%, ‘백화점’ 12.5%, ‘약국/한약방’ 11.6%로 조사되었고, ‘통신판매’는 1.5%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Naumkung & Kim, 2001). 2006년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건강기능식품 구매 장소를 조사한 결과, ‘건강기능식품 전문점’ 26.
인터넷 건강정보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보건의료정보의 타당성과 질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기준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인터넷 건강정보의 단점을 보완하고, 부적절하고 부정확한 인터넷 건강정보에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보건의료정보의 타당성과 질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모의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어 다양한 평가 기준들이 개발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평가 기준 중 하나인 Hon code는 ‘Health on the Net foundation’이 제작한 것으로 인터넷 건강정보의 신뢰성 표준화에 중점을 두었고(Health On the Net Foundation, 2013), HITI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Institute)는 정보통신업체인 Mitretek Systems의 HITI에서 개발한 것으로 일반대중이 건강정보의 질을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HITI, 2003). 이외에도 BHIA (British Healthcare Internet Association) 기준, DISCERN 등이 특별한 지식이나 전문가의 도움 없이 인터넷 건강정보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되었다(Kim,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H. J., Park, H. J., Chae, M. J., Yoon, E. Y., Kim, K. W., & Seo, J. S. (2006). Evaluation for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sites on the Internet.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2(4), 404-410. 

  2. Bae, K. M., (2010). A study on the Consumers Perception of Generic Health/Functional Food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3. Charnock, D., Shepperd, S., Gann, B., & Needham, G. (1999). DISCERN - an instrument for judging the quality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on treatment choice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3, 105-111. 

  4. Cho, E. S. (2010). Evaluation of Health Screening Web Sites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5. Cho, H. Y. (2012). Evaluation of website and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bout pregnancy.childbearing.infant car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6. Han, E. Y. (2008). Study on the Actual Intake Status and Perception of Functional Foods. (Unpublished docotoral dissertation). Konkuk Uiversity, Seoul. 

  7. Han, S. J. (2011). Percep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health functional food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otoral dissertation). Hanyang Uiversity, Seoul. 

  8. Health On the Net Foundation (2013). HON Code of Conduct for medical and health Web sites. Retrieved from http://www.hon.ch/ HONcode/ 

  9. HITI (2003). HON Code of Conduct for medical and health Web. Criteria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Policy Papaer. Retrieved from http://www.hii.org/eca.pdf 

  10. Jung H. T., & Kim J. A. (2005). Utilization of Internet-based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and Hospital Selection among Health Care Consumers: Internet Surve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1(2), 125-135 

  11. Jung, S. J. (2006). Plan of Information Service Publicity through the Survey on the Consumer's Usage and Recognition of Functional foods. (Unpublished docotoral dissertation). Chungang Uiversity, Seoul. 

  12. Jung, Y. C., & Park, H. A. (2000). Development of a Health Information Evaluation System On the Internet. Research Information Center for Health. 6(1), 53-66. 

  13. Kim, S. H. (2011). A Survey on the Use of and Significant Variable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Among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6(1), 30-38. 

  14. Kim S. Y. (2002). Internet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3, 281-290. 

  1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Defini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Retrieved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Health functional foods labeling guide. Retrieved from http://www.mfds.go.kr/index.do?mid687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More than half of Korean adults have an experience of purchasing health functional foods. [Press relaese]. Retrieved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 

  1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Substance information. Retrieved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The Analysis of Production data of Health functional foods, 2012.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 

  20. Namkung, S., & Kim, K. D. (2001). A Study on the Purchase Behavior for Health Food of Residents in Seoul Area. Journal of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1(6), 455-465. 

  21. Park, J. H., Cho, B. R., Kim, Y. Y., Shin, Y. S., & Kim, Y. (2005). Assessing the quality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based on DISCER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11(3), 235-246. 

  22. Sohn, D. K., Choi, H. S., Lee, D. U., Lee, S. J., Lee, J. S., & Lee, Y. S. (2005). The Quality Evaluation of Information of Websites on Colorectal Cancer Using the DISCERN Instru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loproctology. 21(4). 247-2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