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지역 주부들의 영양표시 확인 여부에 따른 식태도, 식습관, 영양지식 및 영양정보의 실생활 반영정도 비교
The Effect of the Use of Nutrition Labeling on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Application of Nutrition Information to Daily Life among Housewives in Gyeonggi-provincial Area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3 no.3, 2014년, pp.453 - 465  

이순희 (수원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이승림 (상지영서대학교 식품영양조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rveyed 266 housewives residing in a Gyeonggi-provincial area for their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application of nutrition information to daily life according to whether they use nutrition labeling. The survey on the dietary attitudes of the subjects s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Lee, 2009; Sohn, 2009) 위주로 보고되었고 영양표시 확인 여부에 따른 소비자들의 식태도, 식습관 및 영양정보의 실생활 반영 정도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부를 대상으로 영양표시 확인 여부에 따른 식태도와 식습관 및 영양지식과 영양정보의 실생활 반영 정도 차이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영양에 대한 관심의 중요성과 관련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영양표시 확인의 대중화를 위해 영양표시 제도에 대한 홍보와 교육프로그램 마련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참고가 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표시의 장점은 무엇인가? 영양표시는 소비자에게 제품에 함유된 영양성분을 제시함으로써 소비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에 적합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영양 교육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산업체의 제품품질 향상을 통한 유사제품 간의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함에 따라각 나라에서는 자국의 실정에 맞도록 영양표시제도를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다 (Kang et al., 2011; Park & Min, 1995).
가족들의 식습관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부들을 대상으로 영양과 건강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영양표시제도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 다양한 캠페인 등을 통해 식품 구매 시 영양성분 확인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시킴으로써 주부 자신은 물론 가족들의 올바른 식습관 확립 및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이유는?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식품 구매 시 영양성분표시를 확인하는 주부들의 경우 식태도와 간식습관이 양호하였고 타제품 구매 시 ‘제품 간의 비교’와 ‘보다 나은 건강식품 구매’를 위해 영양성분 표시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인 영양지식 정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영양표시 확인군의 경우 영양성분표시제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영양정보를 실생활에 반영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들의 식습관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부들을 대상으로 영양과 건강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영양표시제도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 다양한 캠페인 등을 통해 식품 구매 시 영양성분 확인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시킴으로서 주부 자신은 물론 가족들의 올바른 식습관 확립 및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식품 산업이 발달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급속한 사회 경제적 변화는 국민 소득 수준 증가와 생활수준 향상 및 식생활의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확대됨에 따라 조리의 간편성과 편리성을 만족시켜 주는 가공식품과 즉석식품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면서 이에 부응하는 식품 산업이 발달하게 되었다 (Chai, 1990). 이러한 사회적 구조와 식생활의 변화는 가공식품과 동물성 식품의 섭취를 증가 시켰고 영양결핍이 주된 문제로 대두되었던 과거와는 달리 결식, 과식과 같은 부적절한 식습관 및 영양불균형으로 인한 문제가 중요시 되고 있으며 이는 만성질환의 조기 발병과 이로 인한 사망률을 증가시켰다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ai, B. S. (1990). The trends and prospects of Korean dietary intake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23, 187-196. 

  2. Chang, N. (1997). Food/Nutrition attitudes, views and practices of adults in Seoul area.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0(3), 360-369. 

  3. Cho, S. H. & Yu, H. H. (2007).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2(5), 519-533. 

  4. Choi, J. H. & Chung Y. J. (2003). Consumer preferred formats of nutrition labels - Housewives of Daejon cit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8(2), 220-230. 

  5. Chung, J. & Kim, M. J. (2007). Using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adults in the Seoul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2(4), 417-425. 

  6. Joo, N., Yoon, J., Kim, O., Ko, Y., Jung, H. & Choi, E. (2005).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food labeling system in Seoul and Geongsangnamdo area. Korean Journal of Food Culture, 20(5), 525-531. 

  7. Kang, H., Shin, E. J., Kim, H. N., Eom, K. Y., Kwon, K. I., Kim, S. Y., Moon, G. I., Kang, B. W. & Kim. J. W. (2011). Food nutrition labeling (Processing food, Food service business) in Korea. Food Science and Industry, 44(1), 21-27. 

  8. Kim, N. Y. & Lee, J. S. (2009). A study on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food-nutrition labeling by age in Busan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12), 1801-1810. 

  9.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5). Commentaries of Foods Labeling Standards. 

  10.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7). Food Labeling Standards. 

  1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2012. 

  12. Kwon, K. L., Park, S. H., Lee, J. H., Kim, J. Y., Yoo, K. S., Lee, J. S., Kim, S. Y.,Sung, H. N., Nam, H. S., Kim, J. W., Lee, H. Y., Park, H. K. & Kim, M. C. (2007). Prevalence of nutrition labeling and claims on processed, and packaged food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2(2), 206-213. 

  13. Kwon, K.I ., Yoon, S. W., Kim, S. J., Kang, H., Kim, H. N., Kim, J. Y., Kim, S. Y., Kim, K., Lee, J. H., Jung, S. M., Oek, S. W., Lee, E. J., Kim, J. W., Kim, M. C. & Park, H. K. (2010). A survey on customers' perceptions of nutrition labeling for processed food and restaurant meal.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3(2), 181-188. 

  14. Lee, K.J. & Lee, Y.H. (2004). A study on the dietary life of housewives and their usage practices of food-nutrition labelling. Journal of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4(2), 161-174. 

  15. Lee, J. S. (2009). Perception on nutrition labeling of the processed food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Busa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4(4), 430-440. 

  16. Lee, K. A., Lee, H. J. & Park, E. (2010). The effect of use of nutrition labelling on knowledge and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ling,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usefulness with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2), 253-266. 

  17. Lim, Y. H. & Na, M. I. (2008). A survey on dining-out behaviors and food habits of housewives in Daejon. Korean Journal of Food Culture, 23(1), 1-9.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Report on 201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Nutrition Survey. 

  19. Park, H. R. & Min, Y. H. (1995).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with a reference to the consumer awareness. Korean Journal of Dietary Culture, 10(3), 155-166. 

  20. Roe, B. & Teisl, M. F. (2007). Genetically modified food labeling: The impacts of message and messenger on consumer perceptions of labels and products. Food Policy, 32, 49-66. 

  21. Satia, J. A., Galanko, J. A. & Neuhouser, M. L. (2005). Food nutrition labeluse is associated with dermographic, behavioral, and psycosocial factors and dietary intake among African Americans in North Carolina.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5(3), 392-402. 

  22. Shin, K. O., Yoon, J. A., Lee, J. S., Chung, K. H. & Choi, S. N. (2010). A comparison study on interest of dietary life behavior, nutrient intake and health between full-time and working housewives. Korean Journal of Food Culture, 25(3), 285-295. 

  23. Sohn, C. Y. (2009).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ing on restaurant menus among adults in Suwo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4(4), 420-429. 

  24. Song, H. G. & Kim, H. K. (2008). An influence on consumption toward health by the tendency of healthful menu choice in dining-out consumer focused on the Well-being tendency and LOHAS.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2(1), 83-99. 

  25. Yu, K. H., Kim, M. J. & Ly, S. Y. (2012). A comparison of convenience food purchasing behaviors and food habbits : How female college students use nutrition labelings. Korean Journal of Food & Nutrition, 25(1), 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