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자본 및 경제자본에 따른 럭셔리 브랜드 소비가치와 브랜드 시그널 선호도
Luxury Brand Consumption Values and Signal Preference Based on Cultural and Economic capital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4 no.4, 2014년, pp.91 - 105  

이민희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이유리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안민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luxury goods market has expanded and has become more affordable, luxury consumption value has become more divers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visible characteristics of luxury consumption by the degree of logo clarity, and to explain this classification in relation to personal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1. 경제자본에 따라 럭셔리 소비가치 추구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구체적으로 문화 · 경제자본 소유정도와 럭셔리 소비자의 소비가치, 브랜드 시그널 명확성에 대한 선호도와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현대사회의 새로운 럭셔리 소비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럭셔리 브랜드의 시그널 전략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문화자본’을 가진 그룹에 속한 사람들은 명시적이지 않은 표식인 미묘한 시그널을 선택함으로써, 남들과 차별화하려고 하며 이를 알아보는 그들과 유사한 그룹의 소비자와 이상적인 상호관계를 맺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럭셔리 소비자의 포괄적이고 다양한 소비가치를 분석하기 위해 럭셔리 소비가치를 구분하고 이들이 추구하는 럭셔리 소비 가치가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나아가 개인이 추구하는 럭셔리 소비가치에 따라 럭셔리 브랜드 시그널 명확성 선호도를 알아봄으로써 럭셔리 소비자의 추구 가치에 따른 시그널링 전략과 마케팅적 함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와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럭셔리 소비의 가시적 상징기능에 기반한 새로운 소비행동을 분석하고, 이러한 소비행동의원인을 개인의 소비가치와 경제 · 문화자본 차원에서 알아봄으로써, 럭셔리 브랜드의 효과적인 시그널링 전략과 고객분석 전략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럭셔리 소비행동의 특성을 브랜드 시그널의 시각적 요소인 로고의 명확성에 따라 구분해 보고, 이를 개인의 럭셔리 소비가치와 연관지어 설명해 보았다. 더 나아가 개인의 럭셔리 소비가치를 형성하는데 있어 개인의 경제적 자본과, 문화적 자본이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알아봄으로써, 럭셔리 소비 행동을 경제적, 문화 · 사회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해석하였다.
  • 3)4)5)6)7)8) 하지만 이들 연구들에서 럭셔리 상품의 상징성은 주로 과시적 소비여부의 양분법적 관점으로만 이해되어 왔기 때문에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가시성이 떨어지는 차별화된 명품 소비 패턴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패션을 제조된 문화적 상징으로 다룸으로써 경제적 자본뿐 아니라 문화적 자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문화 · 경제자본 소유정도와 럭셔리 소비자의 소비가치, 브랜드 시그널 명확성에 대한 선호도와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현대사회의 새로운 럭셔리 소비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럭셔리 브랜드의 시그널 전략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특히, 럭셔리 브랜드는 브랜드의 상징적 가치를 시각적 기호로 전환하여 소비자에게 브랜드 명성과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구성요소 중 하나로 브랜드 로고와 심벌, 제품 외부의 디자인 특성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한 시각적인 요소로 브랜드 시그널을 정의하고자 한다.
  • ·연구문제 3. 럭셔리 소비가치에 따라 시그널 명확성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 2. 문화자본에 따라 럭셔리 소비가치 추구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본 연구는 럭셔리 소비의 가시적 상징기능에 기반한 새로운 소비행동을 분석하고, 이러한 소비행동의원인을 개인의 소비가치와 경제 · 문화자본 차원에서 알아봄으로써, 럭셔리 브랜드의 효과적인 시그널링 전략과 고객분석 전략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럭셔리 소비자의 포괄적이고 다양한 소비가치를 분석하기 위해 럭셔리 소비가치를 구분하고 이들이 추구하는 럭셔리 소비 가치가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나아가 개인이 추구하는 럭셔리 소비가치에 따라 럭셔리 브랜드 시그널 명확성 선호도를 알아봄으로써 럭셔리 소비자의 추구 가치에 따른 시그널링 전략과 마케팅적 함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은 럭셔리 상품의 소비를 통해서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럭셔리 상품은 심볼의 가시성이 뛰어나고 타인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개인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상징의 대표적 상품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많은 소비자는 럭셔리 브랜드 상품을 소유함으로써 타인에게 자신을 드러내는 상징적 수단을 충족시키고자 하며23), 개인은 럭셔리 상품의 소비를 통해 과시적 욕구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사회적으로 상류계급에 속하는 개인의 취향을 공유하고 있다는 심리적인 만족감을 얻는다고 할 수 있다. Holt24)는 럭셔리 상품을 사용한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타인과 구별되는 것이며, 개인적 정체성의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럭셔리 쇼핑 행동 패턴을 가지고 있는 신세대 명문가 여성들에 대한 설명은 무엇인가? 현대백화점 럭셔리 매거진 2011년 6월호 칼럼에 일명 ‘청담동 며느리’로 불리는 신세대 명문가 여성들에 대한 럭셔리 쇼핑 행동 패턴에 대한 기사가 실렸다. 이들은 럭셔리 패션에 관한 안목이 전문가 못지않으며 대중이 금세 알아보지 못하는 브랜드 위주로 쇼핑을 하는데, 이는 폭넓은 해외 생활 경험 및 고급스러운 소수 취향과 연관이 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들이 가지고 있는 감각은 오랜 세월에 걸쳐 부유하고 문화적인 환경에서 축적된 자본이며 결코 단기간에 얻어진 금전력으로 소유하기 힘든 것인데, 이는 프랑스의 사회학자 피에르 브루디외가 지적한 ‘문화자본’과 결부시켜 해석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Nia와 Zaikowsky는 럭셔리 제품을 무엇이라 정의하였는가? Nia와 Zaikowsky25)는 럭셔리 제품을 값이 비싸고 상류층의 사람들이 선호하는 취향의 제품으로 정의하고 소비자가 지각하는 명품의 특성을 고가격과 브랜드명이라고 하였다. Silvestein과 Fiske26)은 명품을 소비자의 과시적 성향을 자극하는 전통적 명품(old luxury)과 소속집단에 대한 결속력과 자신에 대한 가치를 확인하는 신명품(new luxury)로 구분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럭셔리 브랜드의 이분법적 정의는 최근 럭셔리 소비에서 두드러지는 과시적 소비패턴의 양분화를 뒷받침해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이명진, 김유림 (2010. 10. 4.), "샤넬 에르메스 '됐거든'... '신개념 명품' 시대", 자료검색일 2010. 11. 1, http://stylem.mt.co.kr/styview.php?no2010100110423088405&scd201&type1 

  2. Bourdieu, P. (1979), La Distinction: critique socialedu jugement. Paris: Les Editions de Minuit, 최종철역 (1995),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서울: 새물결, p. 172. 

  3. Vigneron, F. & Johnson, L. W. (1999), A Review and a Conceptual Framework of Prestige-Seeking Consumer Behavior,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1), pp. 1-15. 

  4. Vigneron, F. & Johnson, L. W. (2004), Measuring perceptions of brand luxury, The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1(6), pp. 484-506. 

  5. 이승희 (2000),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과시 소비성향 및 의류 쇼핑동기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8(6), pp. 842-852. 

  6. 박미정, 임숙자, 이승희 (2002), 과시소비성향과 정장 수입브랜드선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 pp. 3-14. 

  7. 최선형 (2003), 보문: 지각된 제품 특성과 과시적 소비 성향이 패션명품관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2), pp. 209-218. 

  8. 김지연, 황상민 (2009), 한국사회의 명품소비자 유형과 소비 특성: 가치소비로서의 명품소비, 한국주관성연구 학회, 19(단일호), pp. 43-59. 

  9. DiMaggio, P. (1982),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impact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of US high school studen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7(2), pp. 189-201. 

  10. Erickson. B. H. (1996), Culture, Class and Connections, American Journal of Society, 102(1), pp. 217-251. 

  11. Aschaffenburg, K. & Maas, I. (1997), Cultural and educational careers: The dynamics of social reprodu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2(4), pp. 573-587. 

  12. Holt, D. B. (1998), Does cultural capital structure American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5(1), pp. 1-25. 

  13. De Graaf, N. D., De Graaf, P. M. & Kraaykamp, G. (2000), Parental cultural capital and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Netherlands: A refinement of the cultural capital perspective, Sociology of education, 73(2), pp. 92-111. 

  14. Bourdieu, P. (1979), La Distinction: critique socialedu jugement. Paris: Les Editions de Minuit, 최종철역 (1995),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서울: 새물결, p. 55. 

  15. Bourdieu, P. (1979), La Distinction: critique socialedu jugement. Paris: Les Editions de Minuit, 최종철역 (1995),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서울: 새물결, p. 159. 

  16. 장미혜 (2001), 문화자본과 소비양식의 차이, 한국사회학, 35(3), pp. 51-81. 

  17. Yaish, M. & Katz-Gerro, T. (2010), Disentangling 'cultural capital': the consequences of cultural and economic resources for taste and participation,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8(2), pp. 169-185. 

  18. Berger, J. & Ward, M. (2010), Subtle signals of inconspicuous consumption, Th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7(4), pp. 555-569. 

  19. Underhill, Paco (1999), Why we buy?, 신현승 역 (2011), 쇼핑의 과학, 서울: 세종서적. 

  20. 백경미 (1998), 현대소비문화와 한국소비문화에 관한 고찰, 소비자학연구, 9(1), pp. 17-32. 

  21. Blumer, H. (1969), The methodological position of symbolic interactionism, Symbolic interactionism: Perspective and method,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pp. 1-60. 

  22. Solomon, M. R. (1983), The role of products as social stimuli: A symbolic interactionism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0(3), pp. 319-329. 

  23. Husic, M. & Cicic, M. (2009), Luxury consumption factor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3(2), pp. 231-245. 

  24. Holt, D. B. (1995), How consumers consume: A typology of consumption practic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1), pp. 1-16. 

  25. Nia, A. & Zaichkowsky, J. L. (2000), Do counterfeits devalue the ownership of luxury brand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9(7), pp. 485-497. 

  26. Silverstein, M. J. & Fiske, N. (2003), Luxury for the masses, Harvard Business Review, 81(4), p. 48. 

  27. Bosshart, D. (2001), Die Zukunft des Konsums, 박종대 역(2001), 소비의 미래, 서울: 생각의 나무 

  28. 이유리, 박민주 (2005), 패션명품 소비자의 상표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11), pp. 1485-1497. 

  29. Prahalad, C. K. & Ramaswamy, V. (2004), Cocreating unique value with customers, Strategy & Leadership, 32(3), pp. 4-9. 

  30. Kapferer, J. N., & Bastien, V. (2009). The specificity of luxury management: Turning marketing upside down.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6(5), pp. 311-322. 

  31. AMA. (2001), 자료검색일 2011. 6. 1, www.kmarketing.co.kr/lib/kws.html. 

  32. Chadha, R. & Husband, P. (2007), The Cult of the Luxury Brand: Inside Asia's Love Affair With Luxury, 김지애 역(2007), 럭스플로전, 서울: 가야북스, p. 10. 

  33. Han, Y. J., Nunes, J. C. & Dreze, X. (2010). Signaling status with luxury goods: the role of brand prominence, Journal of Marketing, 74(4), pp. 15-30. 

  34. Bourdieu, P. (1979), La Distinction: critique socialedu jugement. Paris: Les Editions de Minuit, 최종철역 (1995),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서울: 새물결, pp. 163. 

  35. Lareau, A. & Horvat, E. M. N. (1999), Moments of social inclusion and exclusion race, class, and cultural capital in family-school relationships, Sociology of education, 72(1), pp. 37-53. 

  36. Kalmijn, M. & Kraaykamp, G. (1996), Race, cultural capital, and schooling: An analysis of trends in the United States, Sociology of Education, 69(1), pp. 22-34. 

  37. Katz-Gerro, T. (2002), Highbrow cultural consumption and class distinction in Italy, Israel, West Germany, Sweden, and the United States, Social Forces, 81(1), pp. 207-229. 

  38. Bourdieu, P. (1979), La Distinction: critique socialedu jugement. Paris: Les Editions de Minuit, 최종철역 (1995),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서울: 새물결, p. 13. 

  39. 우현주 (2005), 에르메스 수용자의 소비문화 분석: 부르디외의 자본 구성 논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0. Yaish, M., & Katz-Gerro, T. (2012), Disentangling 'cultural capital': the consequences of cultural and economic resources for taste and participation,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8(2), pp.160-185. 

  41. 자료검색일 2011. 8. 1, www.louisvuitton.com, www.chanel.com,www.prada.com, www.ferragamo.com 

  42. Cailleux, H., Mignot, C., & Kapferer, J. N. (2009), Is CRM for luxury brands&quest,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6(5), pp. 406-412. 

  43. Gounaris, S. P., Tzempelikos, N. A. & Chatzipanagiotou, K. (2007), The relationships of customerperceived value, satisfaction, loyalty and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Relationship Marketing, 6(1), pp. 63-87. 

  44. Mathwick, C., Malhotra, N., & Rigdon, E. (2001), Experiential value: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application in the catalog and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1, Journal of Retailing, 77(1), pp. 39-56. 

  45. Smith, J. B., & Colgate, M. (2007), Customer value creation: a practical framework, The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15(1), pp. 7-23. 

  46. 이홍균 (2006), 한국인의 사회적 과시와 인정의 사회적 형식, 담론 201, 9(2), pp. 207-243. 

  47. Bourdieu, P. (1979), La Distinction: critique socialedu jugement. Paris: Les Editions de Minuit, 최종철역 (1995),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서울: 새물결, p. 222. 

  48. Choi, Jinhee, & Fishbach, Ayelet(2011), Choice as an End versus a Mea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8(3), pp. 544-5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