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시제와 교차결합제 농도의 변화에 따른 소프트콘택트렌즈의 물리적 성질과 약물용출 농도의 변화
Changes in Drug Elution Concentr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ft Contact Lenses Depending on the Initiator and Crosslinker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9 no.2 = no.55, 2014년, pp.145 - 151  

박현주 (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현미 (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개시제와 교차결합제의 농도에 따른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을 변화시켜서 재질변화에 대한 물리적 특성 및 약물의 용출량 및 속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HEMA에 개시제인 AIBN과 교차결합제인 EGDMA의 농도을 변화시켜서 콘택트렌즈를 제작하였다. 항균물질인 노플록사신(norfloxacin)은 고분자 중합 시 0.1% 농도로 단량체와 함께 혼합하였다. 재질변화에 따른 물리적 성질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약물용출 농도, 함수율, 굴절률, 단백질 흡착량 등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개시제의 농도을 변화 시킨 콘택트렌즈는 함수율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굴절률의 값에도 별 변화가 없었다. 교차결합제 농도이 증가하면 함수율이 낮아지고 굴절률이 높아졌다. 약물용출의 농도를 살펴보면 개시제의 변화에 의해서는 많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함수율이 높을수록 용출되는 농도가 증가하였다. 단백질 흡착양은 개시제에 의한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함수율이 낮을수록 흡착되는 양이 증가하였다. 결론: 개시제의 농도에 대한 변화는 특성 변화에 영향력이 거의 없었으며, 교차결합제 농도에 따라서는 많은 변화를 보였다. 교차결합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함수율은 감소하며 굴절률은 증가하였다. 또한 함수율의 증가에 따라 약물이 많이 용출되었으며 단백질의 흡착량은 감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material properties of contact lenses were measured by varying the amounts of an initiator and a cross-linking agent that are the basis for the manufacture of contact lenses, and the drug delivery effects depending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contact lenses were compared. Methods: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콘택트렌즈의 기본 특성은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착용하는 의료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품으로서 선명한 시야 확보와 더불어 사용과 착용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생체친화성, 고 산소투과성, 고 굴절률, 그리고 자외선 차단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춘 신기능의 콘택트렌즈용 재료를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1-3]
  •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개시제와 교차결합제 양의 변화에 따른 물성변화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약물 전달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 제작 시 가장 기본이 되는 개시제와 교차결합제의 농도를 변화하여 콘택트렌즈의 물성을 측정하고, 콘택트렌즈 재질 변화에 따른 약물 전달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부착되는 단백질 양이 달라지며,[25-27] 단백질이 부착된 렌즈의 착용 시, 착용감 저하, 시력저하, 염증 질환, 세균감염 등의 부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특성을 변화시킨 6종의 콘택트렌즈에 대해 단백질 부착정도를 살펴보았다. 본 실험에 시용한 단백질은 bovine serum albumin(BSA)으로서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단백질의 양을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택트렌즈의 기본 특성 조건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 시력 교정용, 치료용, 그리고 미용적인 측면 등을 고려한 다양한 기능과 재질의 콘택트렌즈가 등장함으로써 그 콘택트렌즈에 대한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콘택트렌즈의 기본 특성은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착용하는 의료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품으로서 선명한 시야 확보와 더불어 사용과 착용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생체친화성, 고 산소투과성, 고 굴절률, 그리고 자외선 차단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춘 신 기능의 콘택트렌즈용 재료를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개시제와 교차결합제의 농도에 따른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을 변화시켜서 재질변화에 대한 물리적 특성 및 약물의 용출량 및 속도를 비교하여 얻은 결과는 무엇인가? 재질변화에 따른 물리적 성질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약물용출 농도, 함수율, 굴절률, 단백질 흡착량 등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개시제의 농도을 변화 시킨 콘택트렌즈는 함수율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굴절률의 값에도 별 변화가 없었다. 교차결합제 농도이 증가하면 함수율이 낮아지고 굴절률이 높아졌다. 약물용출의 농도를 살펴보면 개시제의 변화에 의해서는 많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함수율이 높을수록 용출되는 농도가 증가하였다. 단백질 흡착양은 개시제에 의한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함수율이 낮을수록 흡착되는 양이 증가하였다. 결론: 개시제의 농도에 대한 변화는 특성 변화에 영향력이 거의 없었으며, 교차결합제 농도에 따라서는 많은 변화를 보였다.
콘택트렌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들어 시력 교정용, 치료용, 그리고 미용적인 측면 등을 고려한 다양한 기능과 재질의 콘택트렌즈가 등장함으로써 그 콘택트렌즈에 대한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콘택트렌즈의 기본 특성은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착용하는 의료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품으로서 선명한 시야 확보와 더불어 사용과 착용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Grobe G, Kunzler J, Seelye D. Silicone hydrogels for contact lens applications. Polymeric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1999;80:108-109. 

  2. Kunzler J. Silicone-based hydrogels for contact lens applications. Contact Lens Spectrum 1999;14(8):9-11. 

  3. Steffen R, Schnider C. A next generation silicone hydrogel lens for daily wear. Part 1 - Material properties. Optician 2004;227(5954):23-25. 

  4. Wichterle O, Lim D. Hydrophilic gels for biological use. Nature. 1960;185:117-118. 

  5. Lim F, Sun AM. Micro encapsulated islets as bioartificial endocrine pancreas. Science. 1980;210(4472):908-910. 

  6. Hoffman AS, Hydroge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Adv Drug Deliv Rev. 2002;54(1):3-12. 

  7. Langer R, Peppas NA. Advances in biomaterials, drug delivery, and bionano technology. AIChE Journal. 2003;49(12): 2990-3006. 

  8. Peppas NA, Hilt JZ, Khademhosseini A, Langer R. Hydrogels in biology and medicine: from molecular principles to bionanotechnology. Adv Mater. 2006;18(11):1345-1360. 

  9. Chaterji S, Kwon IK, Park KN. Smart polymeric gels: redefining the limits of biomedical devices. Prog Polym Sci. 2007;32:1083-1122. 

  10. Gupta P, Vermani K, Garg S. Hydrogels: from controlled release to pH-responsive drug delivery. Drug Discov Today. 2002;7(10): 569-579. 

  11. Elisseeff J, Puleo C, Yang F, Sharma B. Advances in skeletal tissue engineering with hydrogels. Orthod Craniofacial Res. 2005;8(3):150-161. 

  12. Lin C, Metters AT. Hydrogels in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network design and mathematical modeling. Adv Drug Deliv Rev. 2006;58:1379-1408. 

  13. Piras AM, Chiellini F, Fiumi C, Bartoli C, Chiellini E, Fiorentino B et al. New biocompatible nanoparticle delivery system for the release of fibrinolytic drugs. Int J Pharm. 2008;357(1-2):260-271. 

  14. Tranoudis I, Efron N. Parameter stability of soft contact lense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Cont Lens Anterior Eye, 2004;27(3):115-131. 

  15. He H, Cao X, Lee LJ. Design of a novel hydrogel-based intelligent system for controlled drug release. J Control Release, 2004;95(3):391-402. 

  16. Ciolino JB, Hoare TR. Iwata NG, Behlau I, Dohlman CH, Langer R, et al. A drug-eluting contact len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9;50(7):3346-3352. 

  17. Peng CC, Kim J, Chauhan A. Extended delivery of hydrophilic drugs from silicone-hydrogel contact lenses containing Vitamin E diffusion barriers. Biomaterials. 2010;31(14): 4032-4047. 

  18. Nelson JM, Chiller TM, Powers JH, Angulo FJ. Fluoroquinolone- resistant Campylobacter species and the withdrawal of fluoroquinolones from use in poultry: a public health success story. Clin Infect Dis. 2007;44(7):977-980. 

  19. Kawahara S. Chemotherapeutic agents under study. Nihon Rinsho. 1998;56(12):3096-3099. 

  20. Cook AD, Sagers RD, Pitt WG. Bacterial adhesion to protein- coated hydrogels. J Biomater Appl. 1993;8:72-89. 

  21. Portoles M, Refojo MF. The role of tear deposits on hydrogel contact lenses induced bacterial keratitus. Adv Exp Med Biol. 1994;350:421-426. 

  22. Boles SF, Refojo MF, Leong FL. Attachment of Psedomonas to human-worn, disposable etafilcon a contact lenses. Cornea. 1992;11:47-52. 

  23. Fleiszig SM., Efron N. Microbial flora in eyes of current and former contact lens wearers. J Clin Microbiol. 1992;30(5): 1156-1161. 

  24. Sariri R. Protein interaction with hydrogel contact lenses. J Appl Biomater & Biomech. 2004;2(1):1-19. 

  25. Luensmann D, Jones L. Albumin adsorption to contact lens materials: A review. Cont Lens Anterior Eye. 2008; 31(4):179-187. 

  26. Xinming Li, Yingde C, Lloyd AW, Mikhalovsky SV, Sandeman SR, Howel CA, et al. Polymeric hydrogels for novel contact lens-based ophthalmic drug delivery systems: A review. Cont Lens Anterior Eye 2008;31(2):57-64. 

  27. Garrett Q, Laycock B, Garett RW. Hydrogel lens monomer constituents modulate protein sorp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0;41(7):1687-1695. 

  28. Junpo HE, Hongdong Z, Li L, Chengming L, Jizhuang C, Yuliang Y. Effects of initiator homolysis rate constant on kinetics and chain length distribution in living free-radical polymerization. Polymer J. 1999;31(7):585-589. 

  29. Panyam J, Labhasetwar V. Biodegradable nanoparticles for drug and gene delivery to cells and tissues. Adv Drug Deliv Rev 2003:55(3);329-347. 

  30. Oh KT, Bronich TK, Kabanov AV. Micellar formulations for drug delivery based on mixtures of hydrophobic and hydrophilic Pluronic block copolymers. J Control Release. 2004:94;411-422. 

  31. Elisseeff J, Puleo C, Yang F, Sharma B. Advances in skeletal tissue engineering with hydrogels. Orthod Craniofacial Res. 2005;8(3):150-161. 

  32. Lin C, Metters AT. Hydrogels in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network design and mathematical modeling. Adv Drug Deliv Rev. 2006;58(12-13):1379-1408. 

  33. Kim DH, Kim TH, Sung AY. Study on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hydrogel lens depending on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J Kor Chem Soc. 2012;56(1): 169-174. 

  34. Kim TH, Ye KH, Sung AY. Physical properties of styrene copolymer and contact lens pplication. J Kor Chem Soc. 2009:53(6);755-760. 

  35. Kim TH, Cho SA, Sung AY. Study on physical of colored hydrogel lens using aniline groups. J Kor Chem Soc. 2011:55(2);308-312. 

  36. Kim SY. Research trends on polymeric hydrogels for tisuue engineering applications. Tissue Engineering Regenerative Medicine. 2008;5(1):14-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