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써클콘택트렌즈의 염료 용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ye Elution from the Circle Contact Lense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9 no.2 = no.55, 2014년, pp.171 - 177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강유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서보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면봉으로 문지르기를 하였을 때 써클콘택트렌즈로부터의 염료 용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총 7종의 써클콘택트렌즈를 면봉으로 문질렀을 때 표면의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20^{\circ}C$$36.5^{\circ}C$에서 각각 다목적용액에 1 주일간 담가두었을 때의 염료용출과 비교하였다. 결과: 면봉으로 문지르기를 하였을 때 전면 혹은 후면에서 염료가 용출되어 나오는 렌즈는 총 7종 중 5종으로 나타났으며, 염료 용출 여부는 써클콘택트렌즈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고 동일 써클콘택트렌즈라 하더라도 전면과 후면에서 상이하였다. 염료가 용출된 경우는 문지르기로 인하여 염료 부분이 긁혀 나감을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목적용액에 $20^{\circ}C$ 혹은 $36.5^{\circ}C$에 1 주일간 담궈 두었을 때에는 염료는 용출되지 않았다. 실험 대상 써클콘택트렌즈 중 50% 이상의 제조사에서 착색제의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염색방법 등과 같은 기본정보들이 부실하게 제공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인 힘이 가해졌을 때 써클콘택트렌즈의 염료 용출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고 써클콘택트렌즈의 개발 및 안전한 착용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elution of the dyes from the circle contact lenses existed or not when rubbed with cotton swab. Methods: The change of lens surface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hen a total of seven kinds of circle contact len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써클콘택트렌즈에 사용하고 있는 염료에 대한 정보를 제조회사에서 제대로 제공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시판 중인 써클콘택트렌즈를 면봉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 문지른 렌즈와 다목적용액에 담가둔 렌즈에서 용출되어 나오는 염료의 양을 비교하여 염료 용출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써클콘택트렌즈의 안전성 확보와 규제를위해 제조사에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3] 또한 본 연구대상인 7 종의 써클콘택트렌즈 중 4 종은 제조사에서 염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써클콘택트렌즈의 안전성 확보와 규제를 위해 제조사에서는 염료뿐만 아니라 써클콘택트렌즈에 대한 염색방법, 함수율 등과 같은 기본적인 정보를 충실히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자들의 렌즈 교체 원인은 무엇인가? 즉, 염료가 렌즈표면의 미세한 구멍을 막아 일반렌즈에 비해 두께가 두껍고 산소투과율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며, 각막에 산소가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투명 소프트콘택트렌즈에서 야기될 수 있는 부작용보다 더 큰 문제가 나타날 수 있고 순목 횟수, 눈물막 파괴 시간과 같은 타각 증상의 변화가 나타나며 각막에서의 컬러콘택트렌즈의 중심위치와 움직임 등이 달라지게 된다.[5-9] 또한, 미용 컬러콘택트렌즈 착용자의 50%가 콘택트렌즈 교체의 주요 원인이 불편감이며, 뻑뻑함이 23%, 시야의 흐림이 20%, 건조감이 17%, 충혈은 20%, 이물감은 13%, 가려움이 7% 등의 자각증상을 느낀다는 연구결과로 보아 착용자들의 컬러콘택트렌즈 착용으로 불편감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10]
써클콘택트렌즈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써클콘택트렌즈는 일반 소프트콘택트렌즈에서 야기될 수 있는 부작용과 더불어 착색에 의한 문제점도 같이 가지게 된다. 렌즈의 염료가 눈에 안전한가에 대한 의문이 학계에서 뿐만 아니라 착용자나 언론에서 제기되어 왔으며, 김 등[3]의 연구에서 미용 칼라콘택트렌즈를 탄산나트륨, 구연산 및 물에 담궜을 때 착색 변화, 이물질의 유무, 중금속 및 과망간산칼륨 환원성물질의 검출 여부를 확인 하였고 색의 변화가 없음을 보고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ee JY. Domestic circle color contact lenses increasing popularity of cosmetic purposes. The financial news. May 2013. 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pfnnews&arcid201305270200003780013099& cDateYear2013&cDateMonth05&cDateDay24.(8 August2013). 

  2. Kim MJ, Hwang HK, Jang WY, Hong HK. The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progression of dry eyes caused by wearing soft contact lenses and cosmetic soft contact lenses. J Korean Oph Opt Soc. 2011;16(4):375-381. 

  3. Kim DH, Oh SJ, Hwang JH, Sung DY, Jeon IC, Choi HY, et al. The analy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smetic color contact lenses. Korean J Vis Sci. 2008;10(3):239-259. 

  4. Choi SJ. Netizens' the pigment test for circle lens is reliable? http://www.opt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071, The Korea Optical News, 2011.09.19. 

  5. Rah MJ, Schafer J, Zhang L, Chan O, Roy L, Barr JT. A meta-analysis of studies on cosmetically tinted soft contact lenses. Clin Ophthalmol. 2013;7:2037-2042. 

  6. Singh S, Satani D, Patel A, Vhankade R. Colored cosmetic contact lenses: an unsafe trend in the younger generation. Cornea. 2012;31(7):777-779. 

  7. Holden BA, Mertz GW. Critical oxygen levels to avoid corneal edema for daily and extended wear contact lense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4;25:1161-1167. 

  8. Park M, Kwon HL, Choi SA, Kim SR. Changes in subjective/ objective symptoms and the light transmissibility of lens associated with overusage of daily disposable circle contact lenses in normal eyes. J Korean Oph Opt Soc. 2013;18(4):429-439. 

  9. Spiteri N, Choudhary A, Kaye S. Pigmentation of the cornea secondary to tinted soft contact lens wear. Case Rep Ophthalmol Med. 2012;2012:852304. 

  10. Park SH, Kim SR, Park M. The effect of circle lens and soft contact lens with identical material in clinical application on the Eyes. J Korean Oph Opt Soc. 2011;16(2):147-157. 

  11. Fuchs J, Groth N, Herrling T. In vitro and in vivo assessment of the irritation potential of different spin traps in human skin. Toxicology. 2000;151(1-3):55-63. 

  12. Saxena M, Warshaw E, Ahmed DD. Eyeli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to black iron oxide. Am J Contact Dermat. 2001;12(1):38-39. 

  13. Palazzolo MJ, DiPasquale LC. The sensitization potential of D & C Yellow No. 11 in guinea pigs. Contact Dermatitis. 1983;9(5):367-371. 

  14. Pott F, Roller M, Ziem U, Reiffer FJ, Bellmann B, Rosenbruch M, et al. Carcinogenicity studies on natural and man-made fibres with the intraperitoneal test in rats. IARC Sci Publ. 1989;(90):173-179. 

  15. Roller M. Carcinogenicity of inhaled nanoparticles. Inhal Toxicol. 2009;21(Suppl 1):144-157. 

  16. Baan RA. Carcinogenic hazards from inhaled carbon black, titanium dioxide, and talc not containing asbestos or asbestiform fibers: recent evaluations by an IARC Monographs Working Group. Inhal Toxicol. 2007;19 (Suppl 1):213-228. 

  17. IARC. Titanium dioxide.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1989;47:307-326. 

  18. Chen T, Yan J, Li Y. Genotoxicity of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J Food Drug Anal. 2014;22(1):95-104. 

  19. Trouiller B, Reliene R, Westbrook A, Solaimani P, Schiestl RH.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induce DNA damage and genetic instability in vivo in mice. Cancer Res. 2009;69(22):8784-8789. 

  20. Hong S, Lee JR, Lim T. Pigment deposition of cosmetic contact lenses on the cornea after intense pulsed-light treatment. Korean J Ophthalmol. 2010;24(6):367-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