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착색안경렌즈의 사용에 따른 노년층의 시력 및 시기능 변화와 자각적 만족도
Changes of Visual Acuity and Visual Function in the Elderly Generation and their Subjective Satisfaction by the Use of Tinted Ophthalmic Lense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1 no.1, 2016년, pp.1 - 10  

유덕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60대 이상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착색안경렌즈의 처방이 시력교정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가장 효과적인 착색렌즈의 색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60대 이상(평균 $71.0{\pm}6.3$세)의 50명(남17, 여33)을 대상으로 원거리 시력이 0.5 이상이 되도록 시험테를 이용하여 교정한 후 무착색, 브라운착색 및 그레이착색렌즈를 덧댐하였다. 각각 착색안경렌즈 덧댐 시의 시력은 원거리 최소가독시력 및 최소분리시력을 측정한 후 LogMAR 시력으로 환산하여 비교하였으며, 시기능은 근거리 입체시와 대비감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대상자들의 착색안경렌즈 선호도와 시지각 및 움직임에 대한 자각증상을 설문조사하였다. 결과: 원거리 최소가독시력과 최소분리시력은 무착색렌즈의 사용 시 가장 좋았으며, 브라운착색 및 그레이착색렌즈 순으로 나타났다. 근거리 입체시, 대비감도 및 시지각은 브라운착색렌즈의 사용 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각적 불편감은 그레이착색렌즈 착용 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상자가 선호하는 안경렌즈는 브라운착색렌즈로 조사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착색안경렌즈의 사용으로 노년층의 시력과 시기능이 개선될 수 있으나, 시력 및 시기능의 변화가 자각적 만족도와는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1,000 lux정도의 조도에서는 원거리 시생활이 보편화된 노년층에게는 무착색 및 브라운착색렌즈의 사용을, 근거리 작업이 많은 경우에는 브라운 및 그레이착색렌즈의 사용을 제안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aimed to suggest the most effective color of the tinted lenses by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prescription with tinted lenses on the visual quality of the elderly at the age of the sixty or more. Methods: The visual acuity of fifty subjects at the age of sixty or more (17 m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 착색안경렌즈는 일부 파장만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므로 색수차를 줄일 수 있으나 색상의 종류나 농도에 따라 렌즈 광투과율에 영향을 미쳐 시지각 능력의 변화가 초래되어[9] 색 인지나 사물의 채도 및 명암 등의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착색안경렌즈의 처방에 따른 시력이나 시기능의 개선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자각적인 만족도와의 연관성을 평가하여 가장 효과적인 착색렌즈의 색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고령화에서 초고령화 사회로 변화되는 현 시대에 노화에 따른 눈의 생리학적 변화와 노인성 안질환 등은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노년층의 시각적 불편함을 감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착색렌즈의 사용이 안구보호 및 시력향상, 피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고 착색렌즈 색상 선택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거리와 근거리 시력이 모두 감소하게 되는 노안의 교정 방법은 무엇인가? 원거리와 근거리 시력이 모두 감소하게 되는 노안[2]의 교정방법으로는 안경과 콘택트렌즈의 사용, 노안교정수술 등이 있다.[3,4] 대부분의 경우는 안경으로 교정이 가능하지만, 안질환이 있는 경우는 만족한 시력교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시력교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는? 원거리와 근거리 시력이 모두 감소하게 되는 노안[2]의 교정방법으로는 안경과 콘택트렌즈의 사용, 노안교정수술 등이 있다.[3,4] 대부분의 경우는 안경으로 교정이 가능하지만, 안질환이 있는 경우는 만족한 시력교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즉, 노인성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녹 내장, 망막박리, 백내장, 황반이상 등의 안질환을 가진 경우는 안경착용 시 교정시력이 낮게 측정된다.
노안과 노인성 안질환 등으로 인한 시력저하에 대해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된 배경은? 현대 의료기술의 발달로 사망률이 하락하고 평균수명은 증가하게 되면서 OECD 국가에서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나이 증가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게 되는 노안뿐 만 아니라 노인성 안질환 등으로 인한 시력저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eong HS, Song YM, Lee KS. Aging and health care expenditure.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07;13(1):95- 116. 

  2. Chun YS, Lee HI, Dausch D, Kim JC. Long-term results of presbyopic corneal surface ablation with eximer laser.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7):1061-1070. 

  3. Joo SH, Shim MS, Shim JB. The study on change of refractive error and addition in progressive eyeglasses lens wearer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3;18(4): 399-404. 

  4. Kim JK, Kim TH, Sung AY. Study on the presbyopia addition and the wear tendency of progressive addition lens. Korean J Vis Sci. 2007;9(4):441-449. 

  5. Lee SJ, Chang SN. The prevalence of ophthalomlogic diseases and their symptoms for rural elderly. J Korean Gerontological Soc. 1999;19(3):155-165. 

  6. Lee HJ, Jung MA, Doo HY. The clinical analysis of refractive errors in elderly population. Korean J Vis Sci. 2004;6(1):103-111. 

  7. Leguire LE, Suh S. Effect of light filters on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in normal and retinal degeneration subjects. Ophthalmic Physiol Opt. 1993;13(2):124-128. 

  8. Rosenblum YZ, Zak PP, Ostrovsky MA, Smolyaninova IL, Bora EV, Dyadina UV, Trofimova NN, Aliyev AG. Spectral filters in low-vision correction. Ophthalmic Physiol Opt. 2000;20(4):335-341. 

  9. Yoon MH, Ryu GC. A change of stereopsi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ntration and colors of tinted spectacle lenses. Korean J Vis Sci. 2013;15(3):263-272. 

  10. Kang HS. Glasses materials. 6th Ed. Seoul: Shinkwang, 2012;402-406. 

  11. Heo JW, Yoon HS, Shin JP, Moon SW, Chin HS, Kwak HW. A validation and reliability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national eye institute visual function questionnaire 25.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0):1354-1367. 

  12. Colorimetry CIE. Publication CIE No. 15.2, 2nd Ed. Vienna: Central Bureau of the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1986. 

  13. Song CE. Kim MD. A study on the design guide of fee charging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elderly reflected in color perception characteristic. J Korean Soc Design Sci. 2007;20(3):247-256. 

  14. Lee SH, Cho HG, Moon BY, Kim SY, Yi MH, Mah KC. Changes of visual acuity according to light transmission of tinted lenses. Korean J Vis Sci. 2008;10(4):289-299. 

  15. Lim SH, Cho MS, Kim JS. Evaluation of clinical usability and effects of photochromic lenses. J Korean Ophthalmol Soc. 2005;46(9):1563-1568. 

  16. Kim HS. The changes of visual acuity according to tinting concentrations of sunglasses lenses. Korean J Vis Sci. 2015;17(3):259-265. 

  17. Choi HS, Park SJ, Lee SJ, Jin MS, Jun J, Ryu GC. The change of the phoria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 len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3):339-343. 

  18. Sim HS, Kim SH, Kim YC. Correlation of near stereoacuity and phoria, and refractive error.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5;20(1):67-73. 

  19. Choi HS. The influence of the color and the color density of lens on the accommodative amplitude and accommodative facility. Korean J Vis Sci. 2012;14(1):47-54. 

  20. Lee SH, Lee YJ, Cho HG. Changes of contrast sensitivity according to light transmittance of color lenses. J Korean Acad Industr Coop Soc. 2009;10(11):3427-3433. 

  21. Lee SH. Changes of visual acuity according to light transmission of tinted lenses. Master Thesis. EulJi University, Sungnam. 2008;119-1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