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튬 표면의 부동태 피막에 미치는 공용매의 영향
Effects of Co-solvent on Passivation Film of Lithium Surface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5 no.3, 2014년, pp.305 - 310  

강지훈 (순천향대학교 나노화학공학과) ,  정순기 (순천향대학교 나노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lithium surface immersed in 1mol $dm^{-3}$ (M) $LiPF_6 $ dissolved in propylene carbonate (PC) containing different 1,2-dimethoxyethane (DME) concentrations as a co-solvent. A passivation film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lithi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와 같은 무기물 피막이 존재하며, 리튬 이온이 함유된 PC계 비수용액과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금속 리튬이 접촉하게 되면 전해질의 분해에 의해 부동태 피막으로 불리는 새로운 피막이 형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AFM을 이용하여 부동태 피막의 생성 과정에서 수반되는 표면의 형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주용매가 PC이며 공용매 DME가 혼합되지 않은 1M LiPF6 / PC:DME (100:0) 전해질 용액에 담근 금속 리튬의 표면 형상을 Fig.
  • 저자들은 이전 연구에서, 탄산 프로필렌이 주용매인 전해질 용액에 혼합되는 공용매의 농도를 제어하여 용매화 리튬 이온의 구조 변화가 리튬 덴드라이트 형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10). 본 연구에서는 그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용매화 구조의 영향을 보다 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금속 리튬의 표면에 생성되는 부동태 피막에 주목하여, 용매화 리튬 이온의 구조 변화가 금속 리튬의 부동태 피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초적인 실험적 해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튬 ․ 공기전지 및 리튬 · 황전지의 상용화를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문제 중 하나는? 또한, 리튬· 황전지의 경우에는 LiNO3염을 사용하면 다소 복잡한 반응이 간소화되면서 셀 수명이 향상된다는 것이 SION POWER 사에 의해 보고되어 있다5). 이와 같은 기술적 진보에도 불구하고, 리튬 ․ 공기전지 및 리튬 · 황전지의 상용화를 위해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기술적 문제 중의 하나는 금속 리튬 음극에 있어서의 리튬 덴드라이트의 성장반응을 억제시키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으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리튬 덴드라이트가 성장 하면서 리튬이 다공성 및 이끼로 뒤덮인 형태로 구조가 바뀐다는 것과6), 표면 아래로 리튬 덴드라이트가 자란다는 새로운 결과가 보고되고 있지만7), 여전히 리튬 덴드라이트의 생성반응에 관한 물리화학적인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다.
금속 리튬이 이차전지의 음극 소재로써 적합한 이유는? 금속 리튬은 이론적 에너지밀도가 높아 리튬의 산화 ․ 환원반응을 전극반응으로 이용하는 이차전지의 음극 소재로써 오래전부터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1). 최근 차세대 고용량 이차전지로써 리튬 ․ 공기전지 및 리튬 ․ 황전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2,3), 금속 리튬은 리튬이온전지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차세대 전지의 음극 소재로서도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전해질 용액에 담근 리튬의 표면 형상 변화 및 부동태 피막의 저항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는? 1) 1M LiPF6 / PC:DME(67:33) 전해질 시스템에서 안정한 부동태 피막이 금속 리튬의 표면에 형성 되는 것이 확인하였다. 2) 화학적인 전해질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리튬 표면의 형상 변화(입자의 수 및 크기 증가)와 저항의 크기는 비례하지 않는다. 3) 금속 리튬의 표면에 형성된 부동태 피막이 전기화학적 특성에도 큰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 S. Whittingham, "Electrical energy storage and intercalation chemistry", Science, Vol. 192, 1976, pp. 1126-1127. 

  2. J. Yu, J. Park, K. Kim, H. Ryu, J. Ahn, D. Kim, C. Jin, K. Shin, and H. Ah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sulfur electrode with composition of MWNT for Li battery",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2, 2011, pp. 83-91. 

  3. K. Y. Kang, H. S. Ryu, J. S. Kim, J. H. Ahn, G. H. Lee, and H. J. Ahn, "Effect of carbon content of sulfur electrode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thium/sulfur battery using PEO electrolyte",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17, 2006, pp. 317-323. 

  4. H. G. Jung, J. Hassoun, J. B. Park, Y. K. Sun, and B. Scrosati, "An improved high-performance lithium-air battery", Nat. Chem., Vol. 4, 2012, pp. 579-585. 

  5. D. Aurbach, E. Pollak, R. Elazari, G. Salitra, C. S. Kelley, and J. Affinito, "On the surface chemical aspects of very high energy density, rechargeable li-sulfur batteries", J. Electrochem. Soc., Vol. 156, 2009, pp. A694-A702. 

  6. C. M. Lopez, J. T. Vaughey, and D. W. Dees, "Morphology transition on lithium metal anodes", J. Electrochem. Soc., Vol. 156, 2009, pp. A726-A729. 

  7. K. J. Harry, D. T. Hallinan, D. Y. Parkinson, A. A. MacDowell, and N. P. Balsara, "Detection of subsurface structures underneath dendrites formed on cycled lithium metal electrodes", Nature Mater., Vol. 13, 2014, pp. 69-73. 

  8. K. Kanamura, H. Tamura, S. Shiraishi, and Z. -I. Takehara, "XPS analysis for the lithium surface immersed in $\gamma$ -butyrolactone containing various salts", Electrochim. Acta, Vol. 40, 1995, pp. 913-921. 

  9. S. Xiong, K. Xie, Y. Diao, and X. Hong, "Properties of surface film on lithium anode with LiNO3 as lithium salt in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sulfur batteries", Electrochim. Acta, Vol. 83, 2012, pp. 78-86. 

  10. J. Kang, and S-. K. Jeong, "Effect of co-solvent on dendritic lithium growth reaction",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3, 2012, pp. 390-396. 

  11. K. kanamura, S. Shiraishi, H. Tamura, and Z. -I. Takehara,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ic analysi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lithium surface immersed in nonaqueous solvents", Electrochem. Soc., Vol. 141, 1994, pp. 2379-2385. 

  12. S. -K. Jeong, M. Inaba, Y. Iriyama, T. Abe, and Z. Ogumi, "Surface film formation on a graphite negative electrode in lithium-ion batteries: AFM study on the effects of co-solvents in ethylene carbonate-based solutions", Electrochim. Acta, Vol. 47, 2002, pp. 1975-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