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의약품 처방·조제지원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사업이 병용금기 처방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rean Prospective Drug Utilization Review Program on the Prescription Rate of Drug-Drug Interactions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4 no.2, 2014년, pp.120 - 127  

김동숙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조정실) ,  박주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조정실) ,  전하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조정실) ,  박찬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조정실) ,  강현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조정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Since December 2010, online computerized prospective drug utilization review (pDUR) has been implemented in Korea. pDUR involves the review of each prescription before the medication is dispensed to the individual patient. The pDUR is performed electronically by Health Insurance Review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의약품 처방 · 조제 지원서비스(DUR)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DUR사업 이후를 실험군, 사업 이전을 대조군으로 하여, 처방전 간 병용금기 처방률을 처방전 내 병용금기 처방률과 비교하는 전후 비교연구로 설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DUR사업의 전후를 비교해 효과를 평가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지나 일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병용금기 고시는 2004년부터 진행되어 왔고 급여기준으로 활용되어 왔기 때문에 DUR 전국 확대 외에 병용금기 고시는 병용 금기 처방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 DUR시스템의 도입을 통하여 처방전 간 병용금기 발생이 줄어들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주요 결과이다. 따라서 이러한 고시시점 전후로 처방률을 분석하지 않았으므로 이러한 점을 충분히 고려해 결과를 해석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전국으로 확대된 의약품 처방 · 조제지원서비스(DUR사업)이 병용금기, 연령금기 처방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2010년 1월부터 2011년 12월 의료기관 외래로 방문한 건강보험청구자료를 활용하여 병용금기, 연령금기 처방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물사용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약물사용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 환자의 진단에 따른 약물의 처방 및 조제과정에서 의사 및 약사는 적정한 약물선택, 약물상호작용(drug-drug interaction), 적정용량, 알레르기 약물, 투여 금기 등을 검토해야 하나, 약물유해반응이 발생하는 이유로 유해반응을 일으킨 약물에 관련한 지식부족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부적절한 약물사용으로 인한 약물유해반응은 환자진료에 큰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사회적 경제적 손실로 이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DUR의 정의는 무엇인가? 학술적으로 DUR의 정의는 의약품사용에 있어서 적정수준의 질을 확보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의약품사용 자료를 수집, 분석, 평가하고 이에 따라 의사를 교육, 시정하며 평가결과를 규명해가는 순환적인 임상과정이며, DUR은 적절한 약물요법을 통해 환자진료의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한다는 측면에서, 질 관리(quali-ty control)와 질 보증(quality assurance)의 개념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7]. DUR 프로그램은 부적절한 처방을 최소화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시도로써, 미리 정해진 표준에 따라 약물사용양상을 검토, 분석, 해석하는 공식적이고 조직화된 시도이며, 해당 보건의료기관 내에서 약물사용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승인되고 구조화되고 지속적인 체계형식의 개입을 포함한다[8].
의약품의 부적절한 약물사용은 어떤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는가? 의약품은 질병예방, 치료의 효능 · 효과뿐만 아니라 불가피한 유해작용(adverse effect)도 갖고 있는 만큼 약제의 적정사용이 중요한 문제이다. 부적절한 약물사용으로 인한 약물유해반응은 환자진료에 큰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사회적 경제적 손실로 이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 의료과오로 인한 사망 중 약물부작용으로 인한 위해사건이 전체 위해사건의 1/5에 해당하고 입원 환자의 약 2%가 예방 가능한 약물유해사건(adverse drug event)을 경험한다고 추산한 바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tes DW, Cullen DJ, Laird N, Petersen LA, Small SD, Servi D, et al. Incidence of adverse drug events and potential adverse drug events: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DE Prevention Study Group. JAMA 1995;274(1): 29-34. 

  2. Kohn LT, Corrigan J, Donaldson MS; Institute of Medicine.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1. 

  3. Jha AK, Kuperman GJ, Rittenberg E, Teich JM, Bates DW. Identifying hospital admissions due to adverse drug events using a computer-based monitor.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01;10(2):113-119. 

  4. Ernst FR, Grizzle AJ. Drug-related morbidity and mortality: updating the cost-of-illness model. J Am Pharm Assoc (Wash) 2001;41(2):192-199. 

  5. Leape LL, Bates DW, Cullen DJ, Cooper J, Demonaco HJ, Gallivan T, et al. Systems analysis of adverse drug events. ADE Prevention Study Group. JAMA 1995;274(1):35-43. 

  6. Fulda TR, Lyles A, Pugh MC, Christensen DB. Current status of prospective drug utilization review. J Manag Care Pharm 2004;10(5):433-441. 

  7. Wertheimer AI. Quality control and drug utilization review. Pharm Weekbl Sci 1988;10(4):154-157. 

  8. Erwin WG. The definition of drug utilization review: statement of issues. Clin Pharmacol Ther 1991;50(5 Pt 2):596-599. 

  9. Choi ET. DUR jumgum wall 8900gun...99% soyosigan 1choyinae [Monthly DUR case is 89 million...99% of cases take less than 1 second]. Dailypharm. 2012 Apr 3. 

  10. Choi ET. DUR itsumyeon meohae, sayongjoongjiyack algodo cheobangjojae [Despite the presence of DUR, providers are still prescribing and dispensing withdrawal drugs even though they know the drugs]. Dailypharm. 2012 Sep 12. 

  11. Kim JE. DUR chamyeoyul 98.6%, meomchooji annun gumgiyack cheo bang [Rate of DUR participation is 98.6%, contraindication drugs keep prescribing without a stop]. Dailypharm. 2012 Oct 16. 

  12. Kim JJ. Gumgicheobang haenoko yeawhaesayunun 'kukuku' [Physicians prescribe contraindication drugs with meaningless reason description in DUR program]. Dailypharm. 2012 Apr 23. 

  13. Kim JE. DUR chamyeoyul 98.6%, meomchooji annun gumgiyack cheobang [Rate of DUR participation is 98.6%, contraindication drugs keep prescribing without a stop]. Dailypharm. 2012 Oct 16. 

  14. Kwon SM, Choi SE, Song JG, Son CW, Im EA, Kang TW, et al. The study of evaluation of DUR demonstration project including over-the-counter drugs in Jeju Island [report].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15. Lee HY, Kwon YJ. A study on rebates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new institutionalism. Korean J Health Policy Admin 2011;21(1):132-157. 

  16. Armstrong EP, Denemark CR. How pharmacists respond to on-line, real-time DUR alerts. J Am Pharm Assoc (Wash) 1998;38(2):149-154. 

  17. Chui MA, Rupp MT. Evaluation of online pDUR programs in community pharmacy practice. J Manag Care Pharm 2000;6(1):27-32. 

  18. Grizzle AJ, Mahmood MH, Ko Y, Murphy JE, Armstrong EP, Skrepnek GH, et al. Reasons provided by prescribers when overriding drug-drug interaction alerts. Am J Manag Care 2007;13(10):573-578. 

  19. Monane M, Matthias DM, Nagle BA, Kelly MA. Improving prescribing patterns for the elderly through an online drug utilization review intervention: a system linking the physician, pharmacist, and computer. JAMA 1998;280(14):1249-1252. 

  20. Shah NR, Seger AC, Seger DL, Fiskio JM, Kuperman GJ, Blumenfeld B, et al. Improving acceptance of computerized prescribing alerts in ambulatory care. J Am Med Inform Assoc 2006;13(1):5-11. 

  21. Paterno MD, Maviglia SM, Ramelson HZ, Schaeffer M, Rocha BH, Hongsermeier T, et al. Creating shareable decision support services: an interdisciplinary challenge. AMIA Annu Symp Proc 2010;2010:602-606. 

  22. Bates DW, Leape LL, Cullen DJ, Laird N, Petersen LA, Teich JM, et al. Effect of computerized physician order entry and a team intervention on prevention of serious medication errors. JAMA 1998;280(15):1311-1316. 

  23. Armstrong EP, Markson TJ. On-line DUR messages: pharmacists' attitudes and actions in response. J Am Pharm Assoc (Wash) 1997;NS37(3): 315-320. 

  24. Aparasu R, Baer R, Aparasu A. Clinically important potential drug-drug interactions in outpatient settings. Res Social Adm Pharm 2007;3(4):426-437. 

  25. Malone DC, Hutchins DS, Haupert H, Hansten P, Duncan B, Van Bergen RC, et al. Assessment of potential drug-drug interactions with a prescription claims database. Am J Health Syst Pharm 2005;62(19):1983-1991. 

  26. Peng CC, Glassman PA, Marks IR, Fowler C, Castiglione B, Good CB. Retrospective drug utilization review: incidence of clinically relevant potential drug-drug interactions in a large ambulatory population. J Manag Care Pharm 2003;9(6):513-522. 

  27. Walsh KE, Landrigan CP, Adams WG, Vinci RJ, Chessare JB, Cooper MR, et al. Effect of computer order entry on prevention of serious medication errors in hospitalized children. Pediatrics 2008;121(3):e421-e42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