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금의 종류와 침지 농도에 따른 배추김치의 젖산균의 생육과 품질 특성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Prepared with Various Salts and Concentration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9 no.3, 2014년, pp.286 - 297  

김다미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경희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prepared with four types of salt (Solar salt, Flower salt, Hanju salt, and Roasted salt) at two different concentrations (10, 15%) during storag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김치를 절이는 데 사용하는 소금의 종류와 소금의 농도가 김치에서 젖산균의 산생성과 관능성, 염도, 텍스쳐 및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소금의 종류는 천일염, 재제염(꽃소금), 정제염(한주소금), 구운소금으로 하였고, 소금의 농도는 10%와 15%로 하였다.
  • 소금의 종류와 농도가 김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왔으나 발효식품인 김치의 특성상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는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추를 천일염, 재제염(꽃소금), 정제염(한주소금) 및 구운소금을 사용하여 각각 10와 15%의 염수로 김치를 제조한 후 저장기간 중의 김치에서의 젖산균의 산생성, 염도, 텍스쳐, 색도 및 관능성의 차이가 있는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효능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발효식품인 김치는 2001년 Codex 국제식품규격을 획득하여 세계적으로 인정받았으며(Moon 등 2003), 최근에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을 증진시키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김치의 개발도 증가하고 있다(Kim 2013). 김치의 효능은 발효과정 중 젖산균에 의한 정장작용과 변비 예방 효과(Moon 등 2007), 혈청콜레스테롤 수치의 감소, 위장기능 증진, 면역체계 향상과 대장암의 위험을 줄인다고 알려져 있다(Yoon 등 2006). 또한 김치의 재료인 배추의 B-sitosterol, 고추의 capsaicin, 마늘의 methylcystein sulfoxide와 Sallylcystein sulfoxide 등에 의한 혈중지질 감소 효과(Kim 등 2004)가 보고되었으며 발효과정 중의 발생하는 상쾌한 산미는 식욕증진 효과가 있다(Choi & Cho 2009).
김치의 발효과정에서 젖산균의 증식에 소금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김치의 발효과정에 관여하는 젖산균의 증식은 배추품종, 발효온도, 염분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소금의 종류, 농도 및 발효 온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소금은 김치의 미생물 생육을 조절하여 안정된 젖산발효를 하고, 관능적으로 양호한 품질을 유지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다(Mheen & Kwon 1984). 김치제조 시 첨가하는 소금은 젖산균 생성을 위한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미생물에 의한 부패를 줄여준다(Kim 등 2012).
김치의 재료에 들어있는 성분들은 무엇이 있는가? 김치의 효능은 발효과정 중 젖산균에 의한 정장작용과 변비 예방 효과(Moon 등 2007), 혈청콜레스테롤 수치의 감소, 위장기능 증진, 면역체계 향상과 대장암의 위험을 줄인다고 알려져 있다(Yoon 등 2006). 또한 김치의 재료인 배추의 B-sitosterol, 고추의 capsaicin, 마늘의 methylcystein sulfoxide와 Sallylcystein sulfoxide 등에 의한 혈중지질 감소 효과(Kim 등 2004)가 보고되었으며 발효과정 중의 발생하는 상쾌한 산미는 식욕증진 효과가 있다(Choi & Cho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ang JY, Kim IC, Chang HC. 2011. Effect of solar salt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8(2):256-265 

  2. Chang MS, Cho SD, Kim GH. 2010.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Korean pickled cabbage) prepared with various salts. Korean J. Food Preserv, 17(1):30-35 

  3. Cho Y, Rhee HS. 1979. A study on flavorous taste components in kimchis. Korean J. Food Sci. Technol., 11(1):26-31 

  4. Choi EJ, Cho SH. 2009. Effects of onion and pear on kimchi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5(2): 243-251 

  5. Gnanasekharn V, Shewfert RL, Chinnan MS. 1992. Deteaction of color changes in green vegetables. J. Food Sci., 57(1):149-154 

  6. Kim HJ, Kwon MJ, Kim JK, Song SH, Song YO. 2004. The effect of 30(4-hydroxyl-3',5'-dimethylphenyl) propionic acid in chinese cabbage kimchi on lowering hypercholesterolem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52-58 

  7. Kim HR, Kim MR. 2010. Effects of traditional sal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microorganisms from kimchi. Korean J. Food Culture, 25(1):61-69 

  8. Kim J, Bang J, Beuchat LR, Kim H, Ryu JH. 2012. Controlled fermentation of kimchi using naturally occurring antimicrobial agents. Food Microbiology, 32(1):20-31 

  9. Kim JH, Yoon HR. 2011. A Survey on the use and recognition of various salts in kimchi production. Korean J. Food Culture, 26(6):554-561 

  10. Kim MJ. 1967. Fermentation and preservation of korean kimchi. Masters degree thesis. Leeds University. England. 

  11. Kim SJ, Kim HL, Ham KS. 2005. Characterization of kimchi fermentation prepared with various salts. Korean J. Food Preserv., 12(4):395-401 

  12. Kim S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 Kimchi with salt replaced by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8(6):674-683 

  13. Ko YT, Lee JY.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part of Chinese cabbage and its quality change by freeze-dry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6(5):784-78 

  14. Korea Salt Manufacture Association (http://ksalt.or.kr) 

  15. Ku KH, Kang KO, Kim WJ. 1988. Some quality changes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476-482 

  16. Lee IS, Kim Hs, Kim HY.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d baechu kimchi prepared with domestic and imported solar salt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8(4):363-374 

  17.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 J. Food Sci. Technol., 16(4):443 

  18. Moon SW, Shin HK, Gi GE. 2003. Effects of xylitol and grapefruit seeds extract on sensory value and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2):246-253 

  19. Moon SW, Park JE, Jang MS. 2007. The effects of added ripened tomato on the quality of baechu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5):678-688 

  20. Park MK. 2002. Effect of NaCl Concentra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3(1):27-31 

  21. Park SJ, Park KY, Jun HK. 2001. Effect of commercial salts on the growth of kimchi-related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5): 806-813 

  22. Shin DH, Jo EJ, Hong JS. 1999. Chemical composition of imposition of imported table salts and kimchi preparation test. Korean J. Food Hyg. Safety, 14(3): 277-281 

  23. Yoon KY, Woodams E, Hang YD. 2006. Production of probiotic cabbage juice by lactic acid bacteria. Bioresource Technology, 97(12):1427-1430 

  24. Yu KW, Hwang JH. 2011.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sodium kimchi prepared with salt replacement. Korean J. Food Nutr., 24(4):753-76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