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균이 첨가된 저염김치의 발효온도 및 소금 농도에 따른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Salt Kimchi with Starters on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5, 2014년, pp.785 - 795  

문성원 (영동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과) ,  박선현 (한국식품연구원 발효식품연구센터) ,  강병선 (천안연암대학 친환경원예과) ,  이명기 (한국식품연구원 발효식품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소금 함량을 낮추기 위해 유기산젖산 그리고 종균을 첨가하고 과일을 첨가하여 김치의 저염화와 동시에 미각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저염김치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소금 농도와 발효온도를 달리하였을 때 저염김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저염김치에 대한 이화학분석, 미생물학 분석, 그리고 관능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저염김치의 pH 및 산도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온도가 높을수록 변화가 빠르게 나타났고, pH는 점차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증가하였는데, 특히 소금 농도가 낮을수록 pH가 낮았고, 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염김치의 염도 변화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작은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성 있는 증감을 나타내지 않았다. 환원당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비율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직강도의 경우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종균 첨가 여부 및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소금 농도에서 저장온도에 따른 조직감 차이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저염김치의 미생물 결과 총균수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농도와 균 첨가와 관계없이 총균이 증식함을 알 수 있었다. 저염김치의 관능평가 결과, 냄새, 짠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이형발효 종균을 첨가한 김치의 관능결과가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균과 유기산을 첨가하여 소금 함량을 낮춘 저염김치를 개발하였고, 저장온도에 따라 발효하는 동안 이화학, 미생물 그리고 관능적인 변화를 통해 적숙기를 파악하였다. 이 연구는 건강한 일반인, 당뇨와 고혈압 질환이 있는 환자들의 식이요법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low-salinity Kimchi with acetic acid, starters and fruits added for health and tas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d Kimchi by storage period and salt concentrations were investigated herein. The effects of salinity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소금 함량을 낮추기 위해 유기산과 젖산 그리고 종균을 첨가하고 과일을 첨가하여 김치의 저염 화와 동시에 미각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저염김치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소금 농도와 발효온도를 달리하였을 때 저염김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저염김치에 대한 이화학분석, 미생물학 분석, 그리고 관능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저염김치의 싱거운 맛으로 인하여 일반김치에 비해 기호도가 낮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소금의 함량을 줄이기 위해 유기산 및 젖산 그리고 종균을 첨가한 김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 개발된 김치는 저염도 환경에서 유기산이 풍부한 과일, 채소 및 발효유기산 소재를 선별하여 레시피를 개발하였고, 일반인을 위한 저염김치와 환자를 위한 저염김치의 염도를 각각 다르게 하여 저염김치의 레시피를 설정하였으며, 저염김치의 발효온도와 발효기간에 따른 물리적, 이화학적 그리고 미생물학적 발효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는 무엇인가? 김치는 소금에 절인 배추나 무 및 그 밖의 채소류에 파, 마늘, 생강 고춧가루, 신선한 젓갈 등을 첨가하여 발효, 숙성시킨 우리나라 고유의 발효식품으로, 독특한 맛과 영양상의 우수성 입증 등으로 세계적인 식품으로 위치를 굳혀가고 있다 (Hawer 등 1988; Kang 등 1995).
김치의 주원료와 부재료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김치는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 주 원료인 배추는 한국인의 주 식이섬유 공급원의 역할과 각종 비타민의 공급원으로 이용되며, 부재료인 마늘, 양파, 부추, 생강, 젓갈 등은 각종 항암 효과와 유산균 공급의 역할을 한다(Park KY 1995).
저염김치의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따라서 시중의 김치보다 소금 함량이 적은 김치의 개발 및 발굴이 필요하며, 고혈압과 당뇨 환자들을 위하여 소금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식욕을 증진시킬 수 있고, 외국인의 입맛에 맞는 김치의 개발로 세계화를 위한 김치의 저염화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844 

  2. Ahn SJ. 1988. The effect of salt and food preservation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4:39-50 

  3. Cho Y, Rhee HS. 1979. A study on flavorous taste components in kimchis-on free amino acids. Korean J Food Sci Technol 11:26-31 

  4. Cho Y, Rhee HS. 1991.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I). Korean J Soc Food Sci 7:15-25 

  5. Choi SY, Lee MK, Choi KS, Koo, YJ, Park, WS. 1998. Change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on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644-649 

  6. Hahn YS, Oh JY, Kim YJ. 2002. Characteristics of low - salt kimchi prepared with salt replacement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647-651 

  7. Hahn YS, Oh JY, Kim YJ. 2002. Effect of preservations and heat treatment on the storage of low-salt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4:565-569 

  8. Han KY, Noh BS. 1996. Characterization of Chinese cabbage during soaking in sodium chloride solu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707-713 

  9. Hawer WD, Ha, JH, Seog HM, Nam YJ, Shin DW. 1988. Changes in the taste and flavor compound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511-517 

  10. Kang KO, Lee SH, Cha BS. 1995. A study on the material ratio of kimchi products of Seoul and Chungcheong area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fermentated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11:487-493 

  11. Kang MJ, Yoon KY, Lee KH, Youn KS, Kim KS. 1997. Shelflife of kimchi on the different packaging materials I. J Food Sci and Technol 9:129-136 

  12. Kang MJ, Youn KS, Shin SR, Kim KS. 1997. Shelf-life of kimchi on the different packaging materials II. J Food Sci and Technol 9:137-143 

  13. Kang SS, Kim JM, Byun MW. 1988. Preservation of kimchi by ionizing radiation. Kor J Food Hygine 3:225-232 

  14. Kim DH, Yook HS, Byun MW. 2004. Gamma irradiation on fermented food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9:18-26 

  15. Kim DK, Kim BG, Kim MH. 1994. Effect of reducing sugar content in Chinese cabbage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3:73-77 

  16. Kim MJ, Park JG, Kim JH, Park JN, Lee HJ, Kim WG, Lee JW, Byun MW. 2006. Combined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gamma irradiation on the shelf-stability and quality of packaged kimchi during accelerated storage condition. Korean J Food Preserv 13:531-537 

  17. Kim SD. 1985. Effect of pH adjuster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14:259-264 

  18. Ku KH, Kang KO, Kim WJ. 1988. Some qual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76-482 

  19. Lee IS, Park WS, Koo YJ, Kang KH. 1994. Changes in some characteristics of brined Chinese cabbage off all cultivar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239-245 

  20. Lee KH, Cho HY, Pyun YR. 1991. Kinetic modelling for the prediction of shelf life of kimchi based on total acidity as a quality index. Korean J Food Sci Technol 23:306-310 

  21. Lee MK, Yang HJ, Woo HN, Rhee YK, Moon SW. 2011. Changes in the texture and salt content of Chinese cabbage using different salting methods. Korean J Food & Nutr 40:1184-1188 

  22. Lee NJ, Chun JK. 1981. Studies on the kimchi pasteurization. Part 1. Method of kimchi pasteurization with Chinese cabbage kimchi and its effect on the storage. J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24:213-217 

  23. Lee SW, Cho SR, Han SH, Chul R. 2009. Effects of the low temperature and low salt solu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 Nutr 22:377-386 

  24. Lee YH, Rhee HS. 1986. The changes of pectic substanc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kimchis. Korean J Soc Food Sci 2:54-58 

  25. Lee YH, Yang IW. 1970. Studies on the packaging and preservation of kimchi. J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13:207-218 

  26.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 J Food Sci Techonol 16:443-450 

  27.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426 

  28.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169-182 

  29. Park MJ, Jeon YS, Han JS. 2001. Antioxidative activity of mustard leaf kimchi added green tea and pumpki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1053-1059 

  30. Park. WP, Kim ZU. 1991. The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J Kor Agri Chem Soc 34:295-297 

  31. So MH, Kim YB. 1995.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1:506-515 

  32. Yook C, Chang K, Park KH, Ahn SY. 1985. Pre-heating treatment for prevention of tissue softening of radish root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17:447-453 

  33. Yu KW, Hwang JH. 2011.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lowsodium kimchi prepared with salt replacement. Korean J Food & Nutr 24:753-7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