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승역세권 평가를 통한 TOD 계획 요소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OD Planning Elements of Major Urban Railway Station Area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7 no.3 = no.82, 2014년, pp.201 - 209  

이준범 (Korea Adaptation Center for Climate Chang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진원영 (Urban Engineering, Hanyang Univ.) ,  서은영 (Urban Engineering, Hanyang Univ.) ,  원제무 (Urban Engineering, Hanyang Univ.)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계도시의 철도역들은 새로운 역사개발 및 기존역사 재생에 있어서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 패러다임에 의한 개발을 실시해 오고 있다. TOD는 대중교통결절점을 중심으로 고밀화, 복합적 토지이용, 보행친화적 환경조성, 다양한 대중교통수단 연계 등을 융합한 도시개발이라 할 수 있다. 국내의 연구에서는 TOD 개발에 있어 정책적, 방향성 제시를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방법론적으로는 TOD 계획요소에 대한 대중교통이용률, 토지이용의 효율화, 지하철이용자수요와의 실증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TOD의 주요 계획요소에 대한 미약한 현황분석은 TOD의 실질적인 정책적, 제도적 지원을 창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지 못하는 실정이며, 역세권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다양한 관점에서 고려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FGI를 통해 TOD 계획요소를 도출하며, 역세권 반경 500m를 기준으로 분석한 자료의 표준화(Re-Score)값과 AHP 분석을 통해 산출된 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곱하여 평가점수를 도출한다. 분석결과 TOD 계획요소의 중요도는 접근특성, 대중교통특성, 토지이용특성, 인구특성 순으로 나타났고, 서울시 32개 주요 환승역세권은 잠실역, 사당역, 교대역 등이 TOD 평가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nsit Oriented Development(TOD) has been the dominant paradigm for urban development. The traditional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urban rail station areas demonstrates apparent weaknesses when it comes to compact and mixed-use types of development for these stations. Thus, the objective of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OD 계획요소를 통한 환승역세권의 평가를 위해서는 TOD 이론 검토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도출된 TOD 계획요소 중 본 연구에서 활용 가능한 계획요소를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계획요소의 개발방향이 먼저 정립이 되어야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적정한 계획요소가 도출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환승역세권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시는 9호선을 제외하고 219개 역세권이 존재하며 이 중 2개 이상의 노선이 환승되는 역세권은 42개에 해당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TOD 관련 문헌 및 이론을 검토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TOD의 계획요소를 정립하였고,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여 계획요소의 검증을 통해 최종 TOD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 특히 대중교통이용률에 관한 연구 및 교통체계 구축방안의 연구, 역세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교통적인 측면과 토지이용 또는 기반시설과의 연관성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국외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되는 TOD 계획요소를 종합하고 정량적으로 평가가 가능한 지표를 선정하여 32개 주요 환승역세권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선행연구와 FGI, 적합성 검증을 통해 최총 도출된 영향요인을 토대로 AHP 기법을 적용하여 계획요소의 중요도를 분석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주요 환승역세권 평가를 위해 앞서 언급한 최종 TOD 계획요소의 가중치를 산출하고자 한다. TOD계획요소의 가중치 산정을 위해 다기준(Multi Criteria) 의사결정문제 등 복잡한 형태의 문제를 위계화하는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하나인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의 계획요소를 통해 서울시 32개 주요 환승역세권을 평가하였다. 선행연구고찰과 이론적 검토를 통해 TOD 계획요소를 정립하고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여 계획요소의 검증을 통해 최종 TOD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 아직까지 실질적인 TOD계획요소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여 역세권 개발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 주로 지가, 토지이용계획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관점에서 TOD계획요소를 통해 바라본 서울시의 역세권에 대한 계획요소별 문제점을 도출하고 TOD의 패러다임을 접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기로 한다.
  • 또한 유사성을 보이는 각 역세권 특성을 파악하여 역세권 개발에 있어 근린형, 도시형, 재개발형 등의 역세권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32개 서울시 주요 환승역세권을 TOD 계획요소를 통해 평가한 결과를 토대로 각 TOD 계획요소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각 역세권의 계획요소에 대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설정은 대립가설 (H1: μ1>3)에 대조하여 귀무가설 (H0: μ1≤3)을 검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lthrope가 제시한 TOD 7가지 원칙은 무엇과 관련되어 있는가? Calthrope(1993)의 연구에서는 교통, 시설배치, 보행연결성, 주택다양성, 생활환경, 공공공간, 재개발을 통해 TOD 7가지 원칙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재개발지역(Redevelopable Site), 층진개발지역(Infill Site), 신개발지역(New Growth Area) 등 개발의 목적과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TOD 유형을 제시하였고, 도시계획의 정성적인 부분이 아닌 시설적인 측면까지 제안하였다.
TOD란 무엇인가? 세계도시의 철도역들은 새로운 역사개발 및 기존역사 재생에 있어서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 패러다임에 의한 개발을 실시해 오고 있다. TOD는 대중교통결절점을 중심으로 고밀화, 복합적 토지이용, 보행친화적 환경조성, 다양한 대중교통수단 연계 등을 융합한 도시개발이라 할 수 있다. 국내의 연구에서는 TOD 개발에 있어 정책적, 방향성 제시를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TOD의 계획요소를 통한 서울시 32개 주요 환승역세권 평가 결과 TOD평가 점수가 높게 나오는 곳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종합적으로 볼 때 서울시 주요 환승역세권의 경우 주거밀집지역 일수록 TOD평가점수가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상업, 업무 밀집지역일수록 TOD 평가점수가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타 교통수단과의 연계성이 높은 역세권일수록 TOD 평가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P. Calthrope (1993)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Ecology, Community, and the American Dream, Chronicle Books Llc,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 Ewing, Reid and Robert Cervero (2001) Travel and the Built Environment: A. Synthesi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780, pp. 87-114. 

  3. J. H. Park (2008) Impacts Analysis of TOD Planning Elementson Transit Ridership in Seoul Rail Station Areas, PhD Thesis, Hanyang University. 

  4. Y.Y. Choi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Servlce Levels of Pedestrian Environment in Major Subway Station Area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5. H.G. Sung (2005) A Study on the Effects of Land Use on Travel Pattern in the Rail Station Areas of a Dense Dity: A Caes Seoul, Kora Planners Association, 41(4), pp 51-68. 

  6. H.G. Sung, T.H. Kim (2005) A Study on Categorizing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by Rail Use Patter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3(8), pp 19-29. 

  7. D.J. Park (2008) Relation Analysis between TOD Factors and Subway Usage, Master's Thesis,University of Seoul. 

  8. K.M. Cho, Y.T. Cho (2011)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for Transit-Oriented Development, Korea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4(3), pp 307-325. 

  9. Y.T. Oh (2009) Influencing Factors toward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Considering Land Use Type Seoul Subway Station Area in Seoul,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9(4), pp 467-472. 

  10. Y.I. Moon, J.H. Rho (2012) A Develop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Model on Seoul Subway Station Area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Korea Planners Association, 47(1), pp 149-160. 

  11. D.W. Sohn, J. Kim (2010)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Characteristics of Urban Transit Centers and the Level of Transit Usage: Case Studies of Seoul Metropolitan Area,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1(1), pp 33-44. 

  12. J.E. Park (2011) Focused on subway influencing area in Seoul, Korea Transit-oriented development evaluation index for evaluating the level of development versus the circumstance of the transit infrastructure,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13. S.H. Park (2011) Derivation of the planning criteria for TOD plans by using FuzzyANP method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14. G.S. Jun (2010)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s for assessing green performances of sustainable green cities, PhD Thesis, Hanyang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