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 이용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TOD 계획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 인천시 주요 지하철·전철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OD Planning Elements Affecting the Number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 Focused on the Subway and Railway Station in Incheon -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3, 2015년, pp.647 - 662  

김기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이주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 이용객 수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수도권의 주요 대중교통위주의 개발방식(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계획요소인 복합용도수준, 직주근접수준, 밀도와 순 밀도 비교 등을 통한 66개자치 시군구의 TOD계획요소 달성도, 지표를 선정하였다. 변수간의 상관분석회귀분석을 통해 모형을 도출하였다. 인천광역시 역세권 회귀분석결과, 대중교통 이용객 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종사자 수, 인구수, 역세권 내 버스정류장 수, 버스정류장-지하철 역 출입구 간의 거리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역세권내 종사자 수, 거주인구가 많을수록 대중교통 통행량이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버스정류장이 많을수록 버스정류장과 지하철 역사간 거리가 짧을수록 대중교통 이용객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천시 지역의 29개 지하철 및 11개 경인전철역 주변의 역세권은 이미 중요한 TOD 계획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각 지하철과 전철 역세권은 TOD가 상당부분 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number of public transportation passengers. By comparing the major TOD planning elements such as mixed-use level, job-housing proximity level, comparison of the density and pure density in the 66-autonomous city townships through a comparison such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문제에는 무엇이 있는가? 교통문제를 보면 우선 도로 노면 교통시설의 교통 정체에 따른 소통 문제, 주차문제, 에너지 과소비로 인한 화석연료의 고갈과 공해로 인한 지구 온난화 등 환경오염 문제 및 개인 교통수단간의 교통사고로 인한 교통안전문제 그리고 대규모 보상비를 포함한 건설비용과 관리비용의 지속적인 재정투자로 인한 재정 고갈 등 자연자원과 사회자원 및 인적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사회지표는 어떤 척도라고 할 수 있는가? 사회지표(social indicator)는 ‘사회’와 ‘지표’의 복합용어로서, 단순한 통계 이상의 것을 의미한다. 흔히 삶의 질의 지표(quality of life indicators), 사회상태보고(social reporting) 등으로 불리며 시민들의 가치, 목표, 사회변동 등에 관하여 종합적이며 균형적인 판단을 가능하게 해주는 척도라 할 수 있다. 사회지표 창시자인 바우어(Raymond Bauer)는 “사회지표란 우리의 가치와 목표를 지향하여 우리가 어디에서 있으며 어디로 가고 있는가를 평가할 수 있는 통계 계열 및 다른 형태의 모든 증거”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그 기능으로서 사회지표는 사회여건의 상태와 변동을 요약함으로써 현존하거나 파생되는 중요한 사회적 문제를 지적하고 사회정책과 프로그램의 성과를 전달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역세권 개발은 어떤 사업인가? 국내에서는 TOD개념이 도입되기 전 이미 철도역을 중심으로 TOD와 유사한 개념의 역세권 개발이 진행되었다. 역세권 개발은 철도와 타 교통시설간의연결을 유도하기 위하여 역사에 쇼핑몰 등 상업, 업무, 문화, 운동 등 서비스시설 등을 개발하거나 유치기능을 조정하여 역 주변 시가지를 자체개발 또는 재개발 하는 사업이다. 역세권개발은 혼합적인 토지이용을 주요 수단으로 하고 철도역이라는 대중교통 결절점을 중심으로 개발한다는 점에서 TOD개념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thony, J. Hayter (2002). Probability and statistics, Tomson learning. 

  2. The Transportation Planner Council of the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1988). "Traffic access and Impact Studies for site development." ITE Journal, pp. 17-24. 

  3.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WA) (2011). Evaluating the impact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USA). 

  4. Incheon Metropolitan City (2013). Chang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transit maintenance medium-term plan (2007-2016) (in Korean). 

  5. Jo, K. M. et al. (2011).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for transit-oriented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Urban Administration, Vol. 24, No. 3, pp. 307-325 (in Korean). 

  6. John, L. Renne. (2009). "Evaluating transit-oriented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framework: Lessons from Perth's Network city." Planning Susceptible Communities: Diversity of Approaches and Implementation Challenge, pp. 115-148. 

  7. Lee, J. W. et al. (2012). "Urban regeneration strategy and guidelines for the railway sphere of kyungin line."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Vol. 13, No. 6, pp. 83-102 (in Korean). 

  8. Lim, K. W. and Lim, Y. T. (2008). Analysis of transportation network,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9. Metro Seoul (2011). The 2nd Seoul public transportation planning (in Korean). 

  10. Oh, E. Y. et al. (2012).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of major factors to apply TO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Journal of the Korean Urban Administration, Vol. 25, No. 4, pp. 31-56 (in Korean). 

  11. Ortuzar et al. (2001). Modelling transport, John Wiley & Son, Ltd. 

  12. Park, C. H. (2013). "(An)empirical effect analysis of 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 planning factors on green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by types of urban fabric composition in station influence area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8, No. 5, pp. 107-125 (in Korean). 

  13. Park, J. H. (2008). Impact analysis of TOD planning elements on public transportation usage effect on seoul rail station areas, Doctoral Dissertation at HanYang University, Korea. 

  14. Park, J. H. et al. (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rehensive benefits of TOD in asia mega cities : Focusing on the Seoul, Bangkok, and Manila Metropolitan Area,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in Korean). 

  15. Park, J. H. et al. (2008). "Impact analysis of TOD planning elements on transit ridership in seoul rail station areas by using the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3, No. 5, pp. 135-151 (in Korean). 

  16. Roger, P. Ross et al. (2004). Traffic engineering, Pearson Prentice Hall. 

  17. Stephen, M. Wheeler et al. (2004).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reader, Stanford University. 

  18. Sung, H. G. (2005). "Lessons from the experiences of the US TOD planning and policies." Journal of the Korean Planners Association, Vol. 40, No. 5, pp. 205-224. 

  19. Seo, M. H. (2011). "Lesson from the experience of the US TOD Planning and Policies."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5, July. 2011. pp. 7-8 (in Korean). 

  20. Sung, H. G. et al. (2012). "A study on urban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public transit shar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72, pp. 3-15 (in Korean). 

  21. Todd, A. Litman. (2012). Evaluating transportation land use impact, Victoria Transport Policy Institute. 

  22. Todd, A. Litman. (2012). Land use impact on transport, Understanding Smart Growth Saving. 

  23. Won, J. M. and Choi, J. S. (2007). Traffic engineering revised version, Parkyoungsa. 

  24. Whang, K. H. et al. (2006). Evaluation of job-housing mismatch and spatial strategies in the capital resign, Korea. GRI (Gyeonggi Research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