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기반의 기후·환경 분야 자료 공유를 위한 Client/Server 방식의 통합DB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DB Management System for GIS-Based Client/Server Data Sharing in Climate and Environment Field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2, 2014년, pp.32 - 43  

최용국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김계현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이철용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지구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후변화와 지구환경시스템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후변화 자료와 지구환경시스템 자료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기후 환경 통합DB가 구축되어야 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XML 기반의 기후 환경 통합DB를 구축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개별 PC에 자료를 독립적으로 저장 및 구축되도록 설계되어 여러 사용자의 동시접근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지속적으로 생산되는 자료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립적으로 구축된 기후 환경 통합DB를 개선하고 이를 손쉽게 활용하기 위한 GIS기반 통합DB 관리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우선 기후 환경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DBMS기반의 통합DB를 설계 구축하였다. 아울러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가 통합DB에 쉽게 접근하여 활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PC와의 연결이 용이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방식의 GIS기반 통합DB 관리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GIS기반 통합DB 관리시스템은 산재되어 있는 기후 환경 자료를 통합하여 효율적인 관리 및 소재 파악이 용이하게 하여 기후 환경 통합 연구에서 자료의 중복 생산을 방지하여 시간적, 경제적 비용 절감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dentify major causes of the global environment changes arising from extreme and unusual weather patterns occurring these days, and to foresee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it is highly important to shed light on the correlation between climate changes and global environment system. To investig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기후·환경 자료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무결성과 일관성 유지가 가능한 DBMS기반의 통합DB를 서버에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와 지구환경시스템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지원하기 위하여, 산재되어 있는 기후·환경 자료를 수집하고, 원활한 공유를 위해 서버기반의 기후·환경 통합DB를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와 지구환경시스템 변화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산재되어 있는 기후·환경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DBMS기반의 기후·환경 통합DB를 구축하였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생산되는 결과물의 파일명을 이용하여 그림 4와 같이 자동으로 메타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이와 함께 통합DB로부터 필요한 자료를 다운로드할 경우 클라이언트 시스템 내 DB에 대상파일의 메타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받은 자료에 대하여 관리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수십 혹은 수백 개의 검색 결과를 특정 개수 단위의 리스트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페이지 네비게이션’ 기능을 추가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etCDF란 무엇인가? 아울러 통합DB 내 구축된 기후·환경 자료 및 GIS자료들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통합DB에 접근하여 검색하고, 해당 자료를 사용자PC로 다운로드하여 분석연구에 활용하여야 한다. 현재 수집된 전체 74,455개의 기후·환경 자료 중 98%에 해당하는 73,350개의 자료는 NetCDF(Network Common Data Format) 형식의 자료로서 이것은 UCAR(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에서 개발한 데이터 포맷으로 대규모 환경자료를 저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포맷이다. 현재 수집된 NetCDF형식의 자료의 크기는 최소 22.
공간자료 보간에 사용되는 기법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전국관측지점자료와 생물계절자료, 평균기온자료 그리고 용담댐 지점에서의 모델링 결과자료와 같이 특정 지점에서 관측한 자료는 측정지점의 경위도 좌표를 추출하여 점 형태의 도형자료로 생성하였고, 기후인자를 비롯한 연속적인 면의 특성을 가지는 환경자료는 공간 분포를 표출하기 위해 Raster자료로 변환하였다. 이때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공간자료 보간에 사용되는 거리반비례평균법(Inverse distance weighting)과 크리깅(Kriging)기법을 사용하였다(Park and Jang, 2008; Nusret and Dug, 2012; Park and Kim, 2013; Tan and Xu, 2014). 변환된 공간자료를 공간기반 검색 및 중첩분석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공간자료가 필요하다.
SQL의 제약 조건은 무엇인가? SQL언어는 DB에 질의할 때에 SQL코드 몇 줄만으로도 대규모의 자료를 선별하고 요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DB의 테이블 구조 및 연결 관계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제약 조건이 따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Y.K., K.H. Kim and C.Y. Lee. 2012. Database design for management of GIS-based climate environmental data using meta data. Proceedings of the 2012 Fall Conference on Geo-Spatial Information. pp.93-96 (최용국, 김계현, 이철용. 2012.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GIS기반 기후.환경 자료 관리 DB 설계. 2012년 NSDI공동추계 학술발표논문 초록집. 93-96쪽). 

  2. EU Environment Agency. 2010. Urban regions: vulnerabilities, vulnerability assessments by indicators and adaptation options for climate change impacts. ETC/ACC Technical Paper. 

  3. Hong, S.B., Y.U. Xing, S.K. Park and Y.S. Choi. 2011. Finding the best land surface model for local applications using coupled Noah-MP and MGA model. The Fifth Korea-Japan-China Joint Conference on Meteorology. Busan, Korea, Oct. 24-26, 2011. pp.26-26. 

  4.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5. Kim, N.S. and C.S. Lee. 2010. A study on the eco-environmental change of coastal area by the sea level ris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3):53-63 (김남신, 이창석. 2010.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지역 생태환경 변화,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3):53-63). 

  6. Kim, N.Y., K.H. Kim and Y.G. Park. 2011. Development of GIS-based integrated DB management system for the analysis of climate environment change. Journal of the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19(6):101-109 (김나영, 김계현, 박용길. 2011. 기후.환경 변화 분석을 위한 GIS기반의 통합DB 관리시스템 개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19(6):101-109). 

  7. Lee, G.S., J.Y. Kim, S.R. Ahn and J.M. Sim. 2010. Analysis of suspended solid of Andong and Imha basin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15 (이근상, 김정열, 안소라, 심정민. 2010. 기후변화에 따른 안동.임하호 유역의 부유사량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15). 

  8. Nusret, D. and S. Dug. 2012. Applying the inverse distance weighting and kriging methods of the spatial interpolation on the mapping the annual precipitation in Bosnia and Herzegovina. 6th International Congress on Environmental Modelling and Software(iEMSs). Leipzig, Germany, July. 1-5, 2012, pp.2754-2760. 

  9. Park, J.C. and M.K. Kim. 2013. Comparison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s in precipitation data sets representing 1km spatial resolution over South Korea produced by PRISM, IDW, and Cokriging. Joun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147-163 (박종철, 김만규. 2013. PRISM, 역거리가중법, 공동크리깅으로 작성한 1km 공간해상도의 남한 강수 자료에서 강수 분포의 비교.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3):147-163). 

  10. Park, J.H., G.S. Lee, J.S. Yang and S.W. Kim. 2012. A hydrometeorological time series analysis of Geum river watershed with GIS data considering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3):39-50 (박진혁, 이근상, 양정석, 김세원. 2012. 기후변화를 고려한 GIS 자료 기반의 금강유역 수문기상시계열 특성 분석.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0(3):39-50). 

  11. Park, N.W. and D.H. Jang. 2008. Mapping of temperature and rainfall using DEM and multivariate kriging.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6):1002-1015 (박노욱, 장동호. 2008. 수치표고모델과 다변량 크리깅을 이용한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 대한지리학회지 43(6):1002-1015). 

  12. Park, S.M., W.K. Lee, T.H. Kwon, B.D. Lee, Y.H. Son and Y.S. Cho. 2011.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ocean to climate change using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GIS. Journal of the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19(3):1-9 (박선민, 이우균, 권태협, 이버들, 손요환, 조용성. 2011. GIS 기반 공간정보를 이용한 해양부문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한국공간정보학회지 19(3):1-9). 

  13. Shin, H.J., G.A. Park, M.J. Park and S.J. Kim. 2012. Projection of forest vegetation change by applying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 MIROC3.2 A1B.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64-75 (신형진, 박근애, 박민지, 김성준. 2012.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MIROC3.2 A1B에 따른 우리나라 산림식생분포의 변화 전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64-75). 

  14. Sun, G. and C. Segura. 2013. Interactions of forests, climate, water resources, and humans in a changing environment: research needs. British Journal of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3(2):119-126. 

  15. Taha, H. and D. Sailor. 2010. Evaluating the effects of radiative forcing feedback in modelling urban ozone air quality in Portland, Oregon: two-way coupled MM5-MAQ numerical model simulations. Boundary-Layer Meteorology 137:291-305. 

  16. Tan, Q. and X. Xu. 2014. Comparative analysis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 an experimental study. Sensors and Transducers Journal 165(2):155-163. 

  17. UCAR. http://www.unidata.ucar.edu/software/netcdf/docs/index.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