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늘시렁 Wisteria floribunda의 엽면적지수가 온열환경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gola Wisteria floribunda's LAI on Thermal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6, 2017년, pp.115 - 125  

류남형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이춘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등(Wisteria floribunda(Willd.) DC.)으로 피복된 그늘시렁($L\;7,200{\times}W\;4,200{\times}H\;2,700mn$)의 엽면적지수(LAI)의 변동에 따른 온열환경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진주시내 광장($N35^{\circ}10^{\prime}59.8^{{\prime}{\prime}}$, $E128^{\circ}05^{\prime}32.0^{{\prime}{\prime}}$, 표고: 38m)의 등으로 피복된 그늘시렁 하부와 햇빛에 노출된 포장지를 대상으로 맑은 날 미기상을 측정하였다. 범용온열기후지수(UTCI)를 산정하기 위해 봄철과 여름철의 미기상환경으로서 지상 60cm 높이에서 기온, 풍속, 상대습도 그리고 6방향의 장파 및 단파복사를 2017년 4월 9일부터 8월 27일까지 측정하였다. 또한, LAI는 LAI-2200C 수관분석기로 측정하였다. 18일간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의 앉은 자세의 인체가 흡수한 매 1분 간격 인체-생기상학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측정기간 동안 햇빛노출지에 비해 그늘시렁 하부의 일평균 기온은 $0.7{\sim}2.3^{\circ}C$ 낮았으며, 일평균 풍속과 일평균 상대습도는 각각 0.17~0.38m/s와 0.4~3.1% 높았다. LAI와 쥴리안 데이 사이의 회귀식은 $y=-0.0004x^2+0.1719x-11.765(R^2=0.9897)$였다. 그늘시렁 하부의 일평균 평균복사온도($T_{mrt}$) 값은 햇빛 노출지에 비해 각각 $11.9{\sim}25.5^{\circ}C$로 낮았으며, 최대 평균복사온도 감소(${\Delta}T_{mrt}$)는 $24.1{\sim}30.2^{\circ}C$였다. LAI의 변동에 따른 햇빛 노출지 대비 일평균 $T_{mrt}$ 감소율(%) 사이의 회귀식은 $y=0.0678{\ln}(x)+0.3036(R^2=0.9454)$였다. 그늘시렁 하부의 일평균 UTCI 값은 햇빛 노출지에 비해 각각 $4.1{\sim}8.3^{\circ}C$로 낮았으며, 최대 범용온열기후지수 감소 값(${\Delta}UTCI$)는 $7.8{\sim}10.2^{\circ}C$였다. LAI의 변동에 따른 햇빛 노출지 대비 일평균 UTCI 감소율(%) 사이의 회귀식은 $y=0.0322{\ln}(x)+0.1538(R^2=0.8946)$였다. 종합적으로 보면 여름철에 덩굴식물로 피복된 그늘시렁에 의한 녹음은 차양에 의한 $T_{mrt}$의 감소를 통해 낮 동안 UTCI를 감소시킴으로써 열스트레스를 매우 강한(UTCI>$38^{\circ}C$) 또는 강한(UTCI >$32^{\circ}C$) 단계에서 강한(UTCI >$32^{\circ}C$) 또는 보통(UTCI >$26^{\circ}C$) 단계로 낮추어 준다. 따라서 여름철 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쾌적한 인체 온열쾌적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덩굴식물로 피복된 그늘시렁의 도입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폭염 시에는 덩굴식물로 피복된 그늘시렁 하부의 온열환경도 이용자들에게 매우 강한 열 스트레스(UTCI >$38^{\circ}C$)를 주므로 노약자의 옥외활동은 자제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r's thermal environments under the pergola($L\;7,200{\times}W\;4,200{\times}H\;2,700mn$) covered with Wisteria floribunda(Willd.) DC.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leaf area index(LAI). We carried out detailed measurements with two human-biometeorolo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이하 등으로 한다.)으로 피복된 그늘시렁이 기온, 상대습도, 풍속, Tmrt, UTCI에, 그리고 그 늘시렁 덩굴식물 LAI의 변동이 Tmrt와 UTCI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 )으로 피복된 그늘시렁(L 7,200 × W 4,200 × H 2,700mn)의 엽면적지수(LAI) 의 변동에 따른 온열환경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 )으로 피복된 그늘시렁(L 7,200 × W 4,200 × H 2,700mn)이 기온, 상대습도, 풍속, Tmrt와 UTCI 그리고 등의 LAI의 변동이 앉은 자세의 인 체가 흡수한 Tmrt와 UTCI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규명하 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경 수목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따라서 옥외활동 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도시환경에서 받을 수 있는 열 스트레스 를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조경 수목은 더운 여름날 그늘을 제공함으로써 열 스트레스 를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Konarska et al., 2014).
조경 수목은 어떤 기법으로 판단되는가? , 2014). 또한, 미적 및 심리적 그리고 인체 생기상학적으로 쾌적한 옥 외공간 조성을 위한 기법 중 녹음수에 의한 차양은 매우 효과 적인 기법이며(Lee et al., 2013), 덩굴식물이 생육하는 그늘시 렁에 의한 차양 역시 바람직한 기법일 것으로 예측된다.
그늘시렁의 도입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종합적으로 보면 여름철에 덩굴식물로 피복된 그늘시렁에 의한 녹음은 차양에 의한 $T_{mrt}$의 감소를 통해 낮 동안 UTCI를 감소시킴으로써 열스트레스를 매우 강한(UTCI>$38^{\circ}C$) 또는 강한(UTCI >$32^{\circ}C$) 단계에서 강한(UTCI >$32^{\circ}C$) 또는 보통(UTCI >$26^{\circ}C$) 단계로 낮추어 준다. 따라서 여름철 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쾌적한 인체 온열쾌적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덩굴식물로 피복된 그늘시렁의 도입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폭염 시에는 덩굴식물로 피복된 그늘시렁 하부의 온열환경도 이용자들에게 매우 강한 열 스트레스(UTCI >$38^{\circ}C$)를 주므로 노약자의 옥외활동은 자제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lazejczyk, K., G. Jendritzky, P. Brode, D. Fiala, G. Havenith, Y. Epstein, A. Psikuta and B. Kampmann(2013) An introduction to the 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UTCI). Geographia Polonica 86(1): 5-10. 

  2. BS EN ISO 7726(2001) Ergonomics of Thermal Environments - Instruments for Measuring Physical Quantities. 

  3. Coutts, A. M., E. C. White, N. J. Tapper, J. Beringer and S. J. Livesley(2015) Temperature and human thermal comfort effects of street trees across three contrasting street canyon environments.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DOI 10.1007/s00704-015-1409-y: 1-14. 

  4. Holst, J. and H. Mayer(2011) Impacts of street design parameters on human-biometeorological variables. Meteorological Zeitschrift 20(5): 541-552. 

  5. Huang, K. T., R. L. Huang and M. C. Tung(2015) Urban green belt outdoor thermal evaluation via leaf area index.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rban Climate. http://www.meteo.fr/icuc9/Long-Abstracts/ccma9-1-2731209_a.pdf 

  6. Kantor, N., A. Kovacs and A. Takacs(2016) Small-scale humanbiometeorological impacts of shading by a large tree. Open Geosci 8: 231-245. 

  7. Konarska, J., F. Lindberg, A. Larsson, S. Thorsson and B. Holmer (2014) Transmissivity of solar radiation through crowns of single urban trees-application for outdoor thermal comfort modelling.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117: 363-376. 

  8. Lee, H. J., J. Holst and H. Mayer(2013) Modification of humanbiometeorologically significant radiant flux densities by shading as local method to mitigate heat stress in summer within urban street canyons. Hindawi Publishing Corporation Advances in Meteorology 2013: 1-13. (http://dx.doi.org/10.1155/2013/312572) 

  9. LI-Cor.(2016) LAI-2200C Plant Canopy Analyzer Instruction Manual pp. 6-2. 

  10. Oleson, K. W., A. Monaghan, O. Wilhelmi, M. Barlage, N. Brunsell, J. Feddema, L. Hu and D. F. Steinhoff(2013) Interactions between urbanization, heat stress, and climate change. Climatic Change 129: 525-541. 

  11. Ryu, N. H. and C. S. Lee(2013) Pergola's shading effects on the thermal comfort index in the summer midday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6): 52-61. 

  12. Takacs, A., M. Kiss, A. Hof, E. Tanacs, A. Gulyas and N. Kantor (2016) Microclimate modification by urban shade trees-An integrated approach to aid ecosystem service based decision-making.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s 32: 97-109. 

  13. Watanabe, S. and T. Horikoshi(2012) Calculation of mean radiant temperature in outdoors based on measurements. Japanese Journal Biometeorology 49(2): 49-59. 

  14. Watanabe, S., S. Kazuo, K. Nagano, J. Ishii and T. Horikoshi(2014) Evaluation of outdoor thermal comfort in sunlight, building shade, and pergola shade during summer in a humid subtropical region. Building and Environment 82: 556-565. 

  15.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2016) Urban Green Spaces and Health - A Review of Evidence. pp. 3-8. 

  16. http://news-sv.aij.or.jp/kankyo/s12/Resource/ap/SPCONV/SPCONV.htm 

  17. http://www.utci.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