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델유형과 제품의 성 정체성 그리고 메시지 소구에 따른 크로스 광고모델 효과
Cross-Model Effect of Model Types, Product Gender Identity and Message Appeal Typ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6, 2014년, pp.105 - 114  

김은희 (목원대학교 광고홍보언론학과) ,  유승엽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기업과 소비자들에게 이슈화되고 있는 크로스 광고모델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설계는 모델 유형(2)${\times}$제품의 성 정체성(2)${\times}$광고메시지 소구형태(2) 요인설계이다. 연구결과 첫째, 광고 모델유형에 따른 광고 인지반응은 일반 모델보다 크로스 모델의 회상지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제품의 성 정체성에 따른 광고 인지반응은 남성제품보다 여성제품에서 회상지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광고주목도 변량분석결과 모델 유형과 메시지 소구유형은 각각 주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모델의 유형과 제품의 성 정체성, 모델유형과 메시지 소구유형에서 상호작용효과가 확인되었다. 끝으로, 모델 제품 적합도를 분석결과, 모델유형과 제품의 성 정체성 그리고 메시지 소구유형에는 주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광고효과를 효율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모델전략에 의미 있는 결과를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recently been issued to businesses and consumers who examined the effects of cross-advertising model. Experimental design, the model type (2) ${\times}$ sexuality products (2) ${\times}$ advertising message appeal form (2) is a factorial design. The results ar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광고 속 모델유형이 일반모델이냐, 크로스모델이냐 그리고 제품의 성 정체성이 여성제품이냐, 남성제품이냐 및 메시지소구 유형이 이성적 메시지냐, 감성적 메시지냐에 따른 모델・제품 적합도는 어떠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변인들 간에 주 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삼원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 광고 속 모델이 제품의 성 정체성과 모델의 성이 동일한 일반모델이냐, 제품의 성 정체성과 모델의 성이 다른 크로스모델이냐 그리고 메시지 소구유형에서는 이성적 메시지와 감성적 메시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성적 메시지에서 광고주목도는 일반모델(M=2.
  • 셋째, 광고 메시지는 메시지 소구유형에 따라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를 사용하였다. 넷째, 실험자극물에 제시되는 광고모델과 제품 그리고 광고 메시지의 크기와 위치가 외생변수로써 연구 결과에 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일한 크기와 위치로 레이아웃을 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실험설계는 광고모델 2(일반모델/크로스모델)* 제품의 성 정체성 2(여성제품/ 남성제품)* 광고메시지 소구유형 2(이성적 메시지/감성적 메시지)로 구성 되었다.
  • 광고모델의 역할은 광고주를 대신하여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소비자들을 설득하며, 태도를 형성시키고 강화시키며 변화시키는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광고모델 효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정보원의 신빙성이나 매력이 소비자와 광고 속 제품과의 관계를 접목시켜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키고자 함이다[5].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광고모델 전략에 변화가 찾아왔다.
  • 이는 소비자들이 광고에서 접하게 되는 광고모델의 이미지와 메시지의 상징적 의미를 통해 제품을 평가하며 구매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케터는 광고모델을 통해 자사 제품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더 매력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특정 모델의 이미지를 소비자 마음속에 감정이입 시킴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키고자 한다[1].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마케터와 소비자들에게 이슈화되고 있는 크로스모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품의 성 정체성이 일반화되어 있는 제품과 모델의 성 유형 그리고 광고메시지 소구에 따른 광고 인지 반응, 광고 주목도 그리고 모델・제품 적합도는 어떠한지 이들 변인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기업과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크로스모델에 관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자극물 제작과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제품 사용자와 다른 이성모델을 사용하며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크로스모델은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이슈와 관심을 모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제품 사용자의 성과 동일한 모델을 사용한 일반모델과 제품 사용자의 성과 다른 크로스모델일 경우 그리고 광고메시지 소구유형의 이성적 메시지와 감성적 메시지에 따른 광고 인지반응, 광고주목도, 제품・모델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마케터와 소비자들에게 이슈화되고 있는 크로스모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품의 성 정체성이 일반화되어 있는 제품과 모델의 성 유형 그리고 광고메시지 소구에 따른 광고 인지 반응, 광고 주목도 그리고 모델・제품 적합도는 어떠한지 이들 변인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광고 모델유형과 제품 그리고 메시지 소구유형을 고려한 효과적인 광고전략 수립 및 마케팅 실무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 제품의 성 정체성에서 남성제품과 여성제품 그리고 메시지 소구 유형의 이성적 메시지와 감성적 메시지에 따른 광고주목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Fig 2]와 같다.
  • 제품의 성 정체성이 남성제품이냐, 여성제품이냐 그리고 메시지소구 유형이 이성적 메시지냐, 감성적 메시지냐에 따른 모델・제품 적합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어떠한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남성제품에서 이성적 메시지 (M=2.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3. 광고 메시지 소구유형에 따른 인지반응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광고효과는 누가 어떻게 메시지를 전달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럼으로 앞서 제시한 논점에서 광고모델의 성과 제품의 성 정체성에 따른 광고효과는 광고메시지 소구 방법에 따라 광고효과는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메시지는 실증적, 논리적 자료들을 토대로 인지적 정보처리에 호소하는 이성적 메시지와 감정이나 느낌, 다양한 분위기에 호소하는 감성적 메시지로 구분된다[14].
  • 연구가설 3-2. 모델유형과 메시지 소구유형에 따른 모델・제품 적합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있을 것이다.
  • 연구가설 3-1. 모델유형과 제품 정체성에 따른 모델・ 제품 적합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있을 것이다.
  • 연구가설 2-1. 모델유형과 제품의 성 정체성에 따른 광고주목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있을 것이다.
  • 연구가설 1-1. 일반모델과 크로스모델에 따른 광고 인지반응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가설 2-2. 제품의 성 정체성과 메시지 소구에 따른 광고주목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있을 것이다.
  • 연구가설 1-2. 제품의 성 정체성에 따른 광고 인지반응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광고업무의 특징 중 하나는 무엇입니까? 우리나라 광고업무의 특징 중 하나는 광고전략에 있어 모델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것이다. 특히 유명인의 긍정적 이미지가 광고태도나 제품태도에 호의적인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은 다수의 연구에서 검증된 바 있다[4].
광고모델 전략에서 크로스모델 전략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최근 등장한 크로스모델 전략이다. 이는 제품 사용자의 성과 다른 이성모델의 매력이 소비자들에게 독특한 감성적 의미를 이입시킴으로써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혹하는 모델전략이다. 즉, 제품에 관한 메시지 전달을 통해 설득효과를 높이려는 정보 제공자로서의 역할보다, 소비자들의 구매동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6]. 그럼으로 이러한 현상은 광고모델의 역할이 달라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광고모델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광고모델의 역할은 광고주를 대신하여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소비자들을 설득하며, 태도를 형성시키고 강화시키며 변화시키는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광고모델 효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정보원의 신빙성이나 매력이 소비자와 광고 속 제품과의 관계를 접목시켜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키고자 함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ee Se-Jin, Jung Jin-Wan, & Bang Hye-Jin, The Effects of Endorsers in the CSR Advertising, Advertising Research, Spring, 88, 223-247, 2011. 

  2. Sun Young Hwa, Ko Min Jeong, & Kim Young Chan, The Effects of model Gender and Message Type in Advertising Based on Women's Gender Role Identity, The Korea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3(6), 237-258, 2012. 

  3. Doh Sun Jae, & Hwang Jang Sun, A Content Analysis of Model Usage in Domestic TV Commercials, The Korea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9(5), 49-74, 2008. 

  4. Kamins, M, Celebrity and Noncelebrity Advertising in a Two-sided Context,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June/July, 34-42, 1989. 

  5. Atkin, C. & Block. M, Effectiveness of Cele-brity Endorser,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3(1), 57-61, 1983. 

  6. Seong Young Shin, Jang Young, & Sin Ju Ri,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Eye-Gaze Direction and Gender of Celebrity Endorser, Advertising Research, 70, 119-146, 2006. 

  7. Kim Hee Jeong, A Content Analysis of the Women´s Sex-role Image in Magazine Advertisements, Chung-Ang University, 1999. 

  8. Sun Young Hwa, Ko Min Jeong, & Kim Young Chan, The Effects of Model Gender and Message Types in Advertising Based on Women's Gender Role Identity,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3(6), 237-258, 2012. 

  9. Morrison, M. M., & Shaffer, D. R, Gender-Roles Congruence and Self-Referencing as Determinant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Sex Roles, 49, 265-275, 2003. 

  10. McCraken, G, Who Is the Celebrity Endors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Endorsement Proc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6, 310-321, 1989. 

  11. Till, B. D., & Busler, M, Matching Product with Endorsers: Attractiveness Versus Expertise, Th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5(6), 576-586, 1998. 

  12. Desarbo, W. S., & Harshman, R. A, Celebrity-Brand Congruence Analysis, Current Issues & Research in Advertising, 1.8, 17-52, 1985. 

  13. Erdogan, B. Z., Baker, M J., & Tagg, S, electing Celebrity Endorsers: The Practitioner′s Perspectiv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1(3), 39-48, 2001. 

  14. Belch, G. E., & Belch, M. A, Advertising and promotion: An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Perspective. 5th ed., Irwin: Mcgraw-Hill, 2001. 

  15. McGuire, W. J, The Nature of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in G. Lindzey and E. Aronson(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2nd ed., Vol. 3) Reading, Mass.: Addison-Wesley, 1969. 

  16. An Kwang Ho, Yi Yu Jae, & Yu Chang Jo, Advertising management, Beopmunsa, 2009. 

  17. Homer, P. M,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Some Additional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7(2), 78-86, 1990. 

  18. Kim Ji Young, Kim Jae Hwi, & Cha Young Ran, Advertising Effects of Sexual Banner Advertising on Internet, Korea Journal of Psychology, 10(3), 321-344, 2005. 

  19. Lee, J. G., & Thorson, E, The Impact of Celebrity-Product Incongr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Product Endorsement.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8(3), 433-449, 2008. 

  20. Till, B. D., & Busler, M, The match-up Hypothesis: Physical Attractiveness, Expertise, and The Role of fit on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 and Brand Beliefs. Journal of Advertising, 29(3), 1-13,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