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 공감반응 척도 개발: 이야기 광고를 중심으로
Measuring Consumer Empathic Response to Advertising Dram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1, 2014년, pp.133 - 142  

소현진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광고에 대한 소비자 공감을 개념 정의하고 이야기 광고에 대한 소비자 공감반응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관련 문헌과 소비자 조사 결과 이야기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공감은 공감적 이해, 동일시, 대리적 감정반응의 세 하위 요인으로 이루어진 다차원적 개념임을 제시하였고, 소비자 실증조사를 통하여 총 11개의 항목과 세 하위 요인으로 이루어진 소비자 공감반응 척도를 개발하였다. 소비자 공감반응 척도는 기존 척도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동일시 요인을 반영하여 측정도구의 내용타당도를 제고한 점에서 학문적 기여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measuring consumer empathic response to advertising drama. Through a series of consumer surveys and factor analyses, the Consumer Empathic Response to Advertising Scale (the CERA scale) containing 11-Likert format items was deve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체계적인 소비자 공감 연구의 활성화를 위하여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공감을 개념 정의하고, 다단계 실증연구를 통하여 이야기 광고에 대한 소비자 공감반응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소비자 공감반응 척도 개발을 통하여 광고에 대한 소비자 공감 연구의 활성화를 꾀하고 소비자와 공감대를 형성하는 이야기 광고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수집의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본 연구는 소비자 공감을 개념 정의하고 다단계 연구디자인을 통하여 소비자 공감반응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공감의 개념 탐구결과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공감은 공감적 이해, 동일시, 대리적 감정반응의 세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다차원적 개념임을 제시하였고, 소비자 실증조사를 통하여 총 11개의 항목과 세 하위 요인으로 이루어진 소비자 공감반응 척도를 개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체계적인 소비자 공감 연구의 활성화를 위하여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공감을 개념 정의하고, 다단계 실증연구를 통하여 이야기 광고에 대한 소비자 공감반응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소비자 공감반응 척도 개발을 통하여 광고에 대한 소비자 공감 연구의 활성화를 꾀하고 소비자와 공감대를 형성하는 이야기 광고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수집의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그리고 광고 영역에서 이루어진 소비자 공감 연구의 분석을 통해 소비자 공감의 특수성을 탐색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정의한 소비자 공감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제시하였다.
  • 탐색연구에서 도출된 요인 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이 실시되었다. 확인적 요인 분석에서는 보다 다양한 유형의 광고자극물을 사용하여 개발된 척도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따라서 제품 관여도 수준(고/저)과 광고소구 유형(이성소구/감성소구)이 다른 4편의 이야기 광고를 선택하였다.

가설 설정

  • ● 17개 문항 중 최종 11개 문항에 포함되지 못하고 탈락된 6개 문항은 다음과 같다. 1. 등장인물이 찾은 욕구해결 방법에 동의했다, 2. 등장인물의 외양이 나와 비슷한 점이 있다고 느꼈다, 3.
  • 1. 등장인물이 찾은 욕구해결 방법에 동의했다, 2. 등장인물의 외양이 나와 비슷한 점이 있다고 느꼈다, 3. 등장인물의 생활방식이 나와 비슷한 점이 있다고 느꼈다,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고효과 발생 과정에 있어서 이야기 광고와 주장 광고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이야기 광고와 주장 광고는 광고효과를 발생하는 데 있어 서로 상이한 과정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주장 광고의 메시지는 객관적인 평가의 과정을 거쳐 소비자의 동의를 얻을 때 수용되는 반면 이야기 광고의 메시지는 주관적 경험의 과정을 거쳐 소비자의 공감을 얻을 때 그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이다[4].
특성 공감이란 무엇인가? 공감에 관한 기존의 연구주제는 크게 특성 공감(trait empathy)과 상태 공감(state empathy)으로 나뉜다. 특성 공감이란 개인이 다른 이와 공감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성향으로 이는 상황의 변화와 관계없이 비교적 일관되게 나타는 특성이다. 한편 상태 공감은 특정한 상황에서 드러나는 가변적인 공감반응을 말한다.
광고는 메시지 전략에 따라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광고는 소비자를 설득하기 위하여 다양한 메시지 전략을 사용한다. 메시지 전략으로 광고를 분류해 보면 제품 관련 정보로 소비자를 설득하는 주장 광고와 이야기를 통해 소비자와의 공감대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이야기 광고, 그리고 이 둘의 요소를 모두 가진 복합형 광고로 나눌 수 있다[1]. 최근 모바일과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브랜드 홍보활동의 확대와 소비자의 매체 노출 선택자유의 증가로 인해 소비자의 시선을 붙잡기 위한 전략으로 이야기 광고기법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W. D. Wells, Lectures and Dramas, in Cognitive and Affective Responses to Advertising, eds. P. Cafferata and A. Tybout, Lexington Books, 1989. 

  2. H. Yu and Y. Chang, "How to Influence the Brand Attitude of the Audience by Micro-Films," J. of Promotion Management, Vol.19, pp.674-686, 2013. 

  3. T. Mooradian, K. Matzler, and L. Szykman, "Empathetic Responses to Advertising: Testing a Network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Marketing Letters, Vol.19, pp.79-92, 2008. 

  4. J. Deighton, D. Romer, and J. McQueen, "Using Drama to Persuade," J. of Consumer Research, Vol.16, pp.335-343, 1989. 

  5. 김은주, 김정일, 우훈식, 남승규, "소비자 공감과 메시지 전략",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광고, Vol.13, No.4, pp.729-750, 2012. 

  6. 안의진, "TV드라마광고의 광고효과: 사실감, 공감, 광고태도", 인문연구, Vol.53, pp.449-480, 2007. 

  7. 조재현, "유명인 모델에 대한 호감도 및 공감정도가 금연캠페인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0, No.3, pp.295-317, 2008. 

  8. M. Davis,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4, pp.113-126, 1983. 

  9. J. Escalas and B. Stern, "Sympathy and Empathy: Emotional Responses to Advertising Dramas," J. of Consumer Research, Vol.29, pp.566-578, 2003. 

  10. 이재신, 김지은, 최문훈, "보도사진 속 감정과 댓글이 공감을 통해 태도와 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경제와 문화, Vol.9, No.1, pp.135-170, 2011. 

  11. G. Boller and J. Olson, "Experiencing Ad Meanings: Crucial Aspects of Narrative/Drama Processing,"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8, No.1, pp.172-175, 1991. 

  12. R. Campbell and A. Babrow, "The Role of Empathy in Responses to Persuasive Risk Communications: Overcoming Resistance to HIV Prevention Messages," Health Communication, Vol.16, No.2, pp.159-182, 2004. 

  13. J. Bryant and D. Zillmann, Responding tp the screen: Reception and Reaction Proces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1. 

  14.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15. 강두선, 장기훈, "TV드라마 여성음주장면에 대한 공감과 감정이입이 음주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성별 비교연구: 관여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광고, Vol.12, No.2, pp.349-378, 2011. 

  16. 박성희, 공감학:어제와 오늘, 학지사, 2004. 

  17. R. Ang and D. Goh, "Cyberbullying Among Adolescents: The Role of Affective and Cognitive Empathy, and Gender,"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Vol.41, pp.387-397, 2010. 

  18. 남승규, "소비자 공감에 대한 이론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광고, Vol.11, No.4, pp.619-636, 2010. 

  19. R. Horgan, "Development of an empathy scale," J.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33, pp.307-316, 1969. 

  20. N. Feshbach, "Empathy in children: Some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 J. of Counseling Psychologist, Vol.5, pp.25-30, 1975. 

  21. M. Tansey and W. Burke, "Projective Identification and the Empathic Process," Contemporary Psychoanalysis, Vol.21, No.1, pp.42-69, 1985. 

  22. A. Mehrabian and N. Epstein, "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 J. of Personality, Vol.40, pp.525-543, 1972. 

  23. A. Smith,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in human behavior and evolution," Psychological Record, Vol.56, No.1, pp.3-21, 2006. 

  24. H. Spiro, "What is empathy and can it be taugh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16, No.10, pp.843-846, 1992. 

  25. P. Stout and J. Leckenby, "Measuring Emotional Response to Advertising," J. of Advertising, Vol.15, No.4, pp.35-42, 1986. 

  26. 유성덕, 신광수, 나운봉, "광고메시지 유형에 따른 정서적 반응에 관한 연구: 동감과 공감반응을 중심으로",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마케팅학회, 2009. 

  27. B. Englis, "The play's the thing: Elements of Drama in Advertising and Their effects on Audience Respons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21, 1994. 

  28. L. Shen, "Mitigating Psychological Reactance: The Role of Message-Induced Empathy in Persuas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36, pp.397-422, 2010. 

  29. R. Dymond, "A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Empathic Ability," J. of Consulting Psychology, Vol.13, No.2, pp.127-133, 1949. 

  30. B. Stern, "Classical and Vignette Television Advertising Dramas: Structural Models, Formal Analysis, and Consumer Effects," J. of Consumer Research, Vol.20, March, pp.601-615, 1994. 

  31. 김대업, AMOS A to Z: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학현사, 2008. 

  32.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ed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33. 황인호, 장성화,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공감능력, 직무효율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2, pp.232-24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