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과 회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Recovery for a Mental Disorder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6, 2014년, pp.457 - 465  

이정숙 (중원대학교 간호학과) ,  이선영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과 회복의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5월 20일부터 5월 27일까지였고, 조사 대상은 정신장애인 310명 이었으며 연구도구는 삶의 질, 회복 척도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과 회복의 정도는 중간보다 낮았고, 회복(${\beta}=.66$, p<.001)과 월 평균 수입(${\beta}=.09$, p=.039)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회복의 수준을 높이고 더불어 삶의 질의 수준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gree of quality of life and recovery of mental disorder,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0 to 27 2013.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aire from 310 individuals with mental disord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의 삶의 질과 회복의 정도, 관련성을 살펴보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정신장애인의 회복과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및 회복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및 회복의 정도를 확인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정신 장애인의 회복과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과 회복의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정신장애인의 회복과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보건기구는 삶의 질을 무엇이라고 하였는가? 세계보건기구[10]는 삶의 질을 개인이 살아가는 삶의 문화적 맥락과 가치체계 속에서 목표, 기대, 기준, 관심 등과 관련하여 인생에서의 그들의 위치에 대한 인식이라고 하였으며 개념이 광범위하고 여러 가지 복합적인 측면이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삶의 질은 개인의 주관적인 가치판단으로 인해 매우 추상적이고도 복합적인 속성을 지닌 개념이기 때문에[11]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삶의 질에 대한 정의는 통일되어 있지 않다[12].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구성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구성하는 요인을 살펴보면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의 삶의 과정 전체에 초점을 두는 개인의 주관적인 심리적 관점의 회복과 재활에 초점을 두어 기능수준을 평가하는 사회적 관점의 회복, 의료적 맥락에서 증상의 감소를 중요시하는 신체적 관점의 회복으로 구성되는데 심리적 관점의 회복은 긍정성/희망, 자아존중감, 임파워먼트, 사회적 관점의 회복은 대인관계, 사회적지지, 사회적응, 신체적 관점의 회복은 병식, 증상관리, 일상생활기술로 각각 구성된다[3].한 개인에게는 이러한 여러가지 관점의 회복이 동시에 존재하고, 서로 영향을 미치며[6]회복을 구성하는 요인들은 개인과 사회라는 삶 안에서 서로 상호작용하고,회복되어가도록 하는 토대가 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Y. J. Choi, Recovery strategiesfor the person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rough community integration.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2010. 

  2.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2012. 

  3. J. S. Le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ental disorder recovery scale(MDRS).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2013. 

  4. R. Bland, A. Tullgren, Recovery theory in practice: Consumer and practitioner perspectives. The Korean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Vol. 2013, pp. 111-141, 2013. 

  5. Y. A. Byeon, A study on the effects of insigh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mental disorder-mediation of treatment compliance and symptom coping-. Master's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011. 

  6. S. I. Kang, Influential factors for the recovery proces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the mediation effects of ego-identity on integration with local community.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2013. 

  7. S. J. Onken,, C. M. Craig, P. Ridgway, R. O. Ralph, J. A. Cook, An analysis of the definitions and elements of recovery: A Review of the literature.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Vol. 31, No. 1, pp. 9-22, 2007. 

  8. E. K. Byun, S. S. Jun,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using mental health center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20, No. 2, pp. 157-166, 2011. 

  9. K. S. Han,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with chronic mental illness in community.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11, No. 4, pp. 430-442, 2002.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 measuring quality of Life. 1997. 

  11. M. Y. Kim, A structural model of recovery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1. 

  12. J. I. Park, K. J. Lee,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for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Vol. 40, No. 2, pp. 33-62, 2012. 

  13. M. M. Barry, A. Zissi, Quality of life as an outcome measure in evaluating mental health services: a review of the empirical evidence.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Vol. 32, pp. 38-47, 1997. 

  14. J. K. Bae, M. J. Son, J. G. Lee,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 recovery on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est of mediating effects model.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8, No. 3, pp. 811-831, 2009. 

  15. S. K. Kahng, H. S. Jwa, Servic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mong Psychiatric Rehab Service Consum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33, pp. 185-213, 2007. 

  16. S. M. Kim,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and older persons with mental illness.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013. 

  17. Y. Y. Kim, The integrated psychiatry rehabilitation service sand their impact on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Ph.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2004. 

  18. H. S. Kim,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2012. 

  19. D. S. Yang, S. H. Kook, Y. Choi, H. Y. Lee, The relations among sociodemographic, clin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sychotic disorders and their caregiver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40, No. 6, pp. 1044-1054, 2011. 

  20. S. Y. Lee,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the mentally ill from the perspective of ecosystem. Ph.D.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2004. 

  21. M. S. Chung, S. I. Kang,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mentally disabled residents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24, pp. 81-108. 2010. 

  22. Y. Y. Kim, H. S. Park, The effects of insight and empowerment on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19, No. 1, pp. 11-21, 2010. 

  23. M. M. Choi, K. Y. Lee, T. W. Eom, Differences in empowerment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users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settings in Korea.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 24, pp. 94-124, 2006. 

  24. K. J. Kim, J. H. Seol, Y. S. Paik, J. H.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43, No. 5, pp. 603-610, 2004 

  25. S. H. Kim, S. S. Oh, E. H. Lee, H. J. Kim, The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quality of life: Focused on stress coping strategy, symptom, and family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4, No. 1, pp. 73-87, 2005. 

  26. S. H. Kook, C. N. Son, The development of Happy-QoL scal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schizophrenic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1, No. 3, pp. 665-691, 2002. 

  27. S. J. Baek, The effects of personality and stress coping styles on quality of life of schizophrenia patient'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Daegu. 2008. 

  28. S. H. Lee,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rehabilitation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Focusing on the recovery factor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010. 

  29. Y. J. Choi, S. S. Choi, A study on the recovery attitude and factors affecting the recovery attitude in mentally disabled.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 26, pp. 111-143, 2007. 

  30. S. Y. Min, A path analysis of the case management implementation factors with clie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mentally ill persons in the communi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1, No. 3, pp. 103-127, 2009. 

  31. C. S. Cardoso, W. T. Caiaffa, M. Bandeira, A. L. Siqueira, M. N. S. Abreu, J. O. P. Fonseca, Factors associated with low quality of life in schizophrenia. Cad. Saude Publica, Rio De Janeiro, Vol. 21, No. 5, pp. 1338-1348, 2005. 

  32. J. M. Narvaez, E. W. Twamley, C. L. McKibbin, R. K. Heaton, T. L. Patterson, Subjective and objective quality of life in schizophrenia. Schizophrenia Research, Vol. 98, No. 1-3, pp. 201-208,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