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장애인 회복에 초점을 둔 당사자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Peer-Leadership Program focused on Recovery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6, 2020년, pp.256 - 265  

김민 ,  이근희 (송국클럽하우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회복을 위한 당사자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검토와 선행프로그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신장애에 대한 이해-셀프리더십-역량강화-자기 주도 실천계획을 포함하는 Brown의 회복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당사자주도 활동, 장애의 이해와 인식개선 활동, 당사자 실천계획개발 등을 주제로 2박 3일 동안 총 6회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회복의 가치를 기반으로 당사자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역량강화를 위해 교육-이해-계획-실행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정신재활시설 이용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낙인, 역량강화, 셀프리더십, 장애수용 척도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자들의 낙인(p < .05), 역량강화(p < .05), 셀프리더십(p < .01), 장애수용(p <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발된 당사자 리더십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에 대한 이해 증가, 역량강화, 리더십 능력향상을 포함하는 회복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당사자 리더십 프로그램의 확대를 위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a peer-leadership program on the recovery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To develop the program, a literature review and an analysis of developed programs were performed.Brown's recovery framework was applied, including an und...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 번째 회기는 ‘삶에 대한 연결’을 주제로 일을 하는 것과 자신이 하고 싶은 일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그리고 일을 하면서 주변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는 것과 동료로부터 지원을 받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특히, 동료들 간의 관계와 동료들과 함께 일하면서 관계를 맺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 다섯 번째 회기는 ‘희망’에 대해 논의하고 삶의 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대부분의 회복 프로그램들은 희망을 1회기에 실시하는데, 본 프로그램은 1-4회기를 통해 실제로 자신이 회복할 수 있고, 스스로 무언가를 할 수 있음을 보여준 뒤에 회복을 논의하여 실제적으로 회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의지를 높이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은 희망을 가지고 자신만의 회복의 의미에 대해 적고 이야기하였다.
  • 본 연구는 전문가와 당사자가 함께 진행하는 정신장애인 회복프로그램을 국내에서 처음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와 함께 정형화되지 않은 인터뷰를 통해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변화와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의견을 수집하여 회복에 초점을 둔 증거기반 실천 프로그램을 제안한 것에 사회복지 실천영역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회복을 기반으로 당사자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8년 10월~2019년 2월까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2019년 3-5월 간 3차(2박 3일)에 걸쳐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고, 6-7월 간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회복을 기반으로 정신장애인을 위한 당사자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현재 국외에서 운영되고 있는 회복 프로그램들과 문헌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에 따른 결과를 기반으로 5가지 사항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회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로 적용한 뒤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 네 번째 회기는 ‘의미 있음’에 초점을 두고 당사자가 지역사회에서 역할을 찾고 삶의 의미를 확인해가는 과정임을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참여자들은 거대하거나 큰 꿈을 가지는 것이 아닌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하루하루 실천할 수 있는 보다 현실적인 삶의 계획과 목표를 세우고 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 세 번째 회기는 첫 번째 회기의 연장선으로 ‘협력’에 초점을 두고 다양한 사람들 혹은 기관들과 지지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어떠한 능력, 행동 혹은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교육하였다. 이를 위해 혼자/함께 일하는 장점과 단점, 내가 얻을 수 있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은 관계형성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였다.
  • 특히, 동료들 간의 관계와 동료들과 함께 일하면서 관계를 맺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참여자들은 질병 이전의 삶과 같이 다양한 관계들을 연결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적고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에 따른 결과를 기반으로 5가지 사항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회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로 적용한 뒤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회복관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탐색한 연구들은 당사자의 장애에 대한 인식, 장애수용, 낙인 정도, 삶의 질, 변화정도, 역량강화, 가족 및 외적지지, 증상감소 등을 탐색하였으며, 긍정적인 변화를 보고하였다[6-10].
  • 또한, 질병 여부와 관계없이 삶은 중요하며, 삶의 목적을 찾는 것이 다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임을 설명하였다. 최종적으로 자신만의 실천계획을 세우고 세부목표에 대해 이야기하고 계획하였다.
  • 그리고 일을 하면서 주변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는 것과 동료로부터 지원을 받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특히, 동료들 간의 관계와 동료들과 함께 일하면서 관계를 맺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참여자들은 질병 이전의 삶과 같이 다양한 관계들을 연결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적고 논의하였다.
  • 많은 회복관련 프로그램들이 정신장애로부터 회복할 수 있으며, 다시 삶을 시작할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주는 회기을 초반에 실시한다. 하지만, 본 프로그램은 현재 한국사회의 정신장애에 대한 깊숙한 대중의 편견과 당사자의 높은 자기낙인을 낮추고, 장애를 이해시킨 뒤 회복을 위한 전략을 교육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회복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더욱 강조하기 위해 희망에 대한 회기을 후반에 배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정신장애의 주요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정신장애는 개인의 잘못이나 나약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아닌 삶에서 소중한 것을 잃어버리거나 극한의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견딜 수 없는 상황을 겪은 뒤 우울이나 공황증상을 경험하는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장애발생 원인이 변화되고 있다. 특히, 여러 연구자들은 정신장애에 대한 발생원인과 만성화는 개인에서 사회로의 문제로, 낮은 치료효과에서 사회적 낙인이 원인으로 인해 나타나고 있음을 강조한다[3,4].
리더십프로그램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회복을 위한 당사자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검토와 선행프로그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신장애에 대한 이해-셀프리더십-역량강화-자기 주도 실천계획을 포함하는 Brown의 회복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당사자주도 활동, 장애의 이해와 인식개선 활동, 당사자 실천계획개발 등을 주제로 2박 3일 동안 총 6회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정신장애 치료가 어려운 이유는? 특히, 여러 연구자들은 정신장애에 대한 발생원인과 만성화는 개인에서 사회로의 문제로, 낮은 치료효과에서 사회적 낙인이 원인으로 인해 나타나고 있음을 강조한다[3,4].즉, 대중들은 장애가 개인의 잘못에 의해 발생하며, 약물치료나 속박과 같은 강압적인 치료로 인해 정신장애를 드러내지 말고, 증상의 만성화로 인해 꿈과 삶을 포기해야만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P. Deegan, "Recovery: The lived experience of rehabilitatio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Journal , Vol.14, No.4, pp.11-19, 1988. DOI:https://doi.org/10.1037/h0099565 

  2. K. Egeland, T. Ruud, T. Ogden, R. Farding, J. Lindstrom, K. Helervang, "How to implement illness management and recovery (IMR) in mental health service settings: evaluation of the implementation strategy",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Systems , Vol.11, pp.13-23, January 2017. DOI:https://doi.org/10.1186/s13033-017-0120-z 

  3. M. Farkas, C. Gagne, W. Anthony, J. Chamberlin, "Implementing recovery oriented evidence based programs: Identifying the critical dimensions",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Vol.41, No.2, pp.141-158, April 2005, DOI:https://doi.org/10.1007/s10597-005-2649-6 

  4. M. Kim, A. Byrne J. Jeon, "Predictors of treatment participation rate of substance use disorders among Whites and African Americans", Journal of Ethnicity in Substance Abuse , Vol.21, pp.1-14, May 2019. DOI:https://doi.org/10.1080/15332640.2019.1612300 

  5. M. Kim, K. Ha, "Study on mental health delivery system reform for deinstitutionaliza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Social Welfare Policy , Vol.43, No.3, pp.31-57, September 2016. DOI:https://doi.org/10.15855/swp.2016.43.3.31 

  6. J. Boardman, G. Shepherd, "Putting recovery into practice: Organizational change and commissioning", Journal of Mental Health Training , Vol.6, No.1, pp.7-16, March 2011. DOI:https://doi.org/10.1108/17556221111136125 

  7. D. Hutchinson, D. Wilbur, M. Farkas, Z. Russinova, V. Gidugu, "Vocational illness management and recovery: A promising new practice", Boston University center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Boston, MA, 2014. 

  8. 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 "Road to recovery: Employment and mental illness", Arlington, VA: NAMI, 2014. 

  9. J. Francisco, G. Helen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ecovery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Mental Health and Mental Health Services Research , Vol.46, No.6, pp.724-752, November 2019. DOI:https://doi.org/10.1007/s10488-019-00956-9 

  10. D. Hutchinson, M. Farkas, C. Gagne, "Vocational illness management and recovery", Boston, MA: Boston University Center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2015. Available at https://cpr.bu.edu/store/curricula/vocational/vimr/ 

  11. T. Kim, Y. Yang, "Korean translation of Mental Health in Korea: OECD review and commendations 2013 summary",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3, No.3, pp.236-239, September 2013. Available at http://www.kjfp.or.kr/journal/view. 

  12. M. Kim, M. Choi, Y. Kim, "Recovery in mental illness: Transforming peer-run-program",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 Vol.42, No.4, pp.204-232, December 2014. Available at http://www.dbpia.co.kr/NODE06292286 

  13. M. Kim, K. Ha, "A study on mental health delivery system reform for deinstitutionaliza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Social Welfare Policy, Vol.43, No.3, pp.31-57, September 2016. DOI:https://doi.org/10.15855/swp.2016.43.3.31 

  14. W. Anthony, "A recovery-oriented service system: Setting some system standards", Psychosocial Rehabilitation Journal , Vol.24, No.2, pp.159-168, 2000. DOI:https://doi.org/10.1037/h0095104 

  15. N. Jacobson, D. Greenley, "What is recovery? A conceptual model and explication", Psychiatric Services, Vol.52, No.4, pp.482-285, April 2001, DOI:https://doi.org/10.1176/appi.ps.52.4.482 

  16. P. Chester, C. Ehrlich, L. Warburton, D. Baker, E. Kendall, D. Crompton, "What is the work of recovery oriented practic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 Vol.25, No.4, pp.270-285, July 2016, DOI: https://doi.org/10.1111/inm.12241 

  17. M. Ellison, L. Belanger, B. Niles, L. Evans, M. Bauer, "Explication and definition of mental health recovery: A systematic review.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Mental Health and Mental Health Services Research , Vol.45, No.1, pp.91-102, January 2018. DOI:https://doi.org/10.1007/s10488-016-0767-9 

  18. G. Morse, M. Monroe-DeVita, M. York, R. Peterson, J. Miller, M. Hughes, E. Carpenter-Song, C. Akiba, G. McHugo, "Implementing illness management and recovery within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teams: A qualitative study",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Advance online publication, 2019. DOI:https://doi.org/10.1037/prj0000387 

  19. K. Egeland, T. Ruud, T. Ogden, R. Fardig, J. CLindstrom, K. Heiervang, "How to implement Illness Management and Recovery (IMR) in mental health service settings: evaluation of the implementation strategy",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Systems , Vol.11, No.13, December 2017. DOI:https://doi.org/10.1186/s13033-017-0120-z 

  20. M. Kim, "The experience of recovery from severe mental illness: A qualitative meta-summary",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34, No.1, pp.85-110. February 2018. DOI:https://doi.org/10.18859/ssrr.2018.02.34.1.85 

  21. J. Park, "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with recovery among persons with mental illnes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8, No.12, pp.535-546, December 2018. Available at http://www.dbpia.co.kr/NODE07588555 

  22. L. Brown, "Consumer-run mental health framework for recovery", New York, NY: Springer. DOI:https://doi.org/10.1007/978-1-4614-0700-3 

  23. K. Lee, "Study on the stigma about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y",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Ewha University, February 2001. Available at http://www.riss.kr/614db49013bc8b46 

  24. S. Choi, T. Hwang, W. Lee,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empowerment scale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Society Psychiatry , Vol.10, No.1, pp38-47, 2005. Available at http://journal.kisep.com/05006.pdf 

  25. Y. Shin, M. Kim, Y. Han,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RSLQ)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 Vol.6, No.3, pp.313-340, December 2009. DOI:https://doi.org/10.16983/kjsp.2009.6.3.377 

  26. Y. Kang, J. Park, I. Koo, "Self-awareness andself-acceptance test validation study",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Seongnam, October 2008. 

  27. H. Yang, Y, Ko, Y. Park, H. Lee,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and self-efficacy on people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y's acceptance of disability - Focusing on conditional process modeling through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Disability and Employment, Vol.27, No.3, pp.89-112, 2017. DOI:https://doi.org/10.15707/disem.2017.27.3.004 

  28. H. Gilburt, M. Slade, V. Bird, S. Oduola, T. Craig, "Promoting recovery-oriented practice in mental health services: a quasi-experimental mixed-methods study", BMC Psychiatry, Vol.13, No.167, December 2013. DOI:https://doi.org/10.1186/1471-244X-13-167 

  29. N. Chang, P. Grant, L. Luther, A. Beck, "Effects of a recovery-oriented cognitive therapy training program on inpatient staff attitudes and incidents of seclusion and restraint",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Vol.50, No.4, pp.415-421, May 2014. DOI:https://doi.org/10.1007/s10597-013-9675-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