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6, 2014년, pp.539 - 547  

김윤정 (한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이창식 (한서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5월부터 8월 사이에 청소년 399명을 대상으로 전국 10개 도시에서 설문조사를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스트레스는 자살생각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희망은 자살생각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스트레스가 희망보다도 자살생각에 더 높은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살생각은 2점이 되지 않아 낮은 편이라 할 수 있고 스트레스는 중간수준이며, 희망인 경로사고와 주도사고는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다. 셋째,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경로사고와 주도사고가 매개되었다. 즉 스트레스로 인해 자살생각이 높다 해도 경로사고와 주도사고가 높은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자살생각은 낮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자살생각에 서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나타난 대도시 및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간의 관계에서 주도사고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나 경로사고는 검증되지 않았다. 청소년의 자살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For the study, 399 adolescents were surveyed at 10 cities of Korea from May to August in 2010.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in the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out that stress of 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정신건강에서 가장 부정적이라 할 수 있는 자살생각의 점수가 2점(그렇지 않다)보다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최근 급증하는 청소년의 자살로 사회적 우려가 가중되고는 있으나 본 연구결과 전반적인 청소년의 자살위험정도는 낮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서론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청소년의 자살은 한 사회구성원의 감소만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봤을 때 우리 사회의 정신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자살수준이 높은 청소년을 찾아내고 이들의 자살생각을 낮추기 위한 국가적, 사회적 노력만이 아니라 학교 현장과 가정 내에서의 주의가 필요함을 다시 강조하고자 한다. 현재 청소년의 자살을 막기 위해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센터를 설립하고 정책적 위원회를 발족하고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가하는 청소년 자살은 우리사회의 어두운 일면이다.
  • Reinherz, Tanner, Berger, Beardslee, Fitzmaurise[3]은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를 통해, 15세 때 자살생각을 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성인기 때의 자살생각만이 아니라 우울, 문제행동이 높았고, 자존감과 대인관계망도 낮았다는 점을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변수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에서 희망변인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전국 10개 지역에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청소년 399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청소년의 스트레스, 자살생각, 희망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스트레스가 높고 자살생각이 많은 청소년 집단에서 희망의 매개역할은 어떠한가?이다.
  • 이지연, 김효창, 현명효[27], Rudd[28]의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Cheng[29]의 연구에 의하면 스트레스는 무망감, 낮은 자존감, 문제해결 등의 조절변인을 통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선행연구자들은 자살생각의 매개 혹은 보호요인으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자존감의 효과를 검증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들이 스트레스에 직면한 상황에서 가장 힘이 되는 자원이 희망인 이유는? 청소년에게 희망은 자신과 타인을 위해 존재하는 긍정적인 미래에 대한 신념이자 편안한 마음과 삶을 유지시키는 것으로[32] 살기 위한 긍정적인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에 직면한 상황에서 가장 힘이 되는 자원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희망[33]이며, 스트레스와 위기에 대한 효과적인 반응의 한 요소로서 신체적, 정신적인 방어를 강화[34]시키는 힘이 있다.
희망이란? 희망이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경로를 모색하고, 이러한 경로를 활용하는 동기를 생성하는 목표지향적인 사고이다[30]. Snyder, LaPointe, Crowson, Early[31]은 희망을 경로사고(pathway thought)와 주도사고(agency thought)로 나누어 설명하였는데, 경로사고는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경로를 찾아내고 활용하는 것, 주도사고는 목표 달성을 위해 이런 경로를 사용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각을 의미한다.
희망을 경로사고와 주도사고로 나누어 설명하시오. 희망이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경로를 모색하고, 이러한 경로를 활용하는 동기를 생성하는 목표지향적인 사고이다[30]. Snyder, LaPointe, Crowson, Early[31]은 희망을 경로사고(pathway thought)와 주도사고(agency thought)로 나누어 설명하였는데, 경로사고는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경로를 찾아내고 활용하는 것, 주도사고는 목표 달성을 위해 이런 경로를 사용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각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Statistical office, Survey on Youth, 2013 

  2. Statistical office, Survey on Youth, 2012. 

  3. H. Z. Reinherz, L. Tanner, S. R. Berger, W. R. Beards Lee, G. M. Fitzmaurice, Adolescent suickdal ideation as predictive of psychopathology, suicidal behavior, and compromised functioning at age 30.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63, pp. 1226-1232, 2006. 

  4. Song Hanna, Family factors of suicid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3. 

  5. H. S. Kim, & B. S. Kim,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of Suicidal Ideation to Its Related Variable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hy, Vol. 20, No. 2, 201-219, 2008. 

  6. D. A. Brent, Correlates of medical lethality of suicide attemp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Vol. 26, pp. 87-89, 1987. 

  7. J. A. Bridge, T. R. G Old stein, D. A. Brent, Adolescent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Journal of Child Psycholgy and Psychiatry, Vol. 47, pp. 372-394, 2006. 

  8. G. M. Blau, T. P. Gullotta, Adolescent dysfunctional behavior: Causes, interventions, and prevention. Sage Publications, 1996. 

  9. R. C. Kessler, R. H. Price, C. B. Wortman, Social factors in psychopathology: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proces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36, pp. 531-572, 1985. 

  10. R. F. Baumeister,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 Review, Vol.97, pp90-113, 1990. 

  11. Sohn Jung Nam, Discriminating Power of Suicidal by Life Stress, Coping strategy,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 Vol.16, No. 3, pp. 267-275, 2007. 

  12. K. H, Kim, & M. H. Jeon, Study on the teenage suicid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Vol. 25, No. 2, pp. 127-152, 2000. 

  13. K. G. Wilson, J. Berman, J. N. Kral, M. Inayatullah, C. A. Ellot, Problem solving, stress, and coping in adolescent suicide attemp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25, pp2. 41-252, 1995. 

  14. K. E. Bostik, R. D. Everall, Healing from suicide.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ing, Vol. 35, No. 1, pp. 79-96, 2007. 

  15. K. Y. Lee, S. C. Choi, & J. S. Kong, The effects of parents-children dysfunction al Communication and academic stress on adolescents' suicide ideation-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gender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8, No. 5, pp. 83-107, 2011. 

  16. M. Kitzrow, The mental Health needs of today's college students: Challenges and recommendations. NASPA Journal, Vol.41, No.1, pp.165-179, 2003. 

  17. J. Y. Choi, Adolescent' School Bullying Experience and Suicidal Ideation. Social research, Vol. 14, pp. 223-238, 2007. 

  18. S. J. Kim,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Vol. 32, pp. 413-437, 2009. 

  19. B. G. Park, Exploratory Study of Eco-System Factors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buk University, 2006. 

  20. S. H. Jang, & M. A. Lee,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e Ideation: Focusing on Social support and buffering effects of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7, No. 8, pp. 27-55, 2010. 

  21. M. G.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related stress, negative emotion and suicidal ide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Forum for Youth Culture, Vol. 9, 2011. 

  22. M. Y. Sim, K. H. Kim,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of Korean adolescent; Moderating effect of sex and development period. The Korean Health Psychol, Vol.10, No.3, pp313-325, 2005. 

  23. Y. S. Hong, S. Y. Jeon,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for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19, pp.125-149, 2005. 

  24. C. C. Edward, Predicting suicid eideation in an adolescent population: examining the role of social problem solving as amoderator and a mediat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 32, pp. 1279-1291, 2002 

  25. M. S. Gould, T. Greenberg, D. M. Velting, D. Shaffer, Youth suicide risk and preventive interventions: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dolescent Psychiatry, Vol. 42, pp. 386-405, 2003. 

  26. A. Metha, E. H. McWhirter, Suicide ideation, depression, and stressful life events among gifted adolescent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Vol.20, No. 3, pp. 284-304, 1997. 

  27. Ji Yeon Lee, Hyo Chang Kim, Myoung Ho Hyun, The Relationship of Stres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uicide Ideation among Adolesc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0, No.4, pp.375-394, 2005. 

  28. M. D. Rudd, An interactive model of suicidal ideation.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 20, pp.16-30, 1990. 

  29. S. K. Cheng, Life stress, problem solving, perfection ism, and de Pressivesymptom inchinese. Cognitive Therapy an Research, Vol.25, No.3, pp.303-310, 2001. 

  30. C. R. Snyder, The Psychology of hope: You can get there from here. New York: Free Press, 1994. 

  31. C. R. Snyder, A. B. LaPointe, J. J. Crowson, S. Early, Preferences of high-hope and low-hope people for self-referential input. Cognition and Emotion, Vol.12, pp.807-823, 1998. 

  32. P. S. Hinds, Adolescent hopefulness in illness and healt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10, No.3, pp.79-88, 1988. 

  33. S. Breznitz, The effect of hope on coping with stress. In Dynamics of Stress. Springer US, pp.295-306, 1986. 

  34. R. F. McGee, Hope: A factor influencing crisis resolution. 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6, No.4, pp.34-44, 1984. 

  35. M. E. P. Seligman, The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The Consumer Reports study. American Psychologist, Vol.50, pp.965-974, 1995. 

  36. S. H. Jin,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Moderating Effects of Hop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Ajoo University, 2010. 

  37. H. J. Cho, The Effects of Hope on Life Stress, Psychopathology and Life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9, No. 3, pp. 839-852, 2010. 

  38. J. H. Jang, Adolescents' Stresses and Mental Health: Hope as a Buffer,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Gyungnam University, 2008. 

  39. G. Affleck, H. Tennen, Construing benefits from adversity: Adaptotional significance and disposltional underpinnings. Journal of personality, Vol.64, No.4, pp. 899-922, 1996. 

  40. H. Tennen, G. Affleck, Finding benefits in adversity. Coping: The Psychology of what works, 1999. 

  41. C. R. Snyder, Parenteau, C. Stacy, Shorey, S, Hal, Kahle, E. Kristin, Berg, Carla, Hope as the underlying process in the psychotherapeutic change process. International Gestalt Journal, Vol.25, No.2, pp.11-29, 2002, 

  42. L. L. Harlow, M. D. Newcomb, P. M. Bentler, Depression, self-derogation, substance use, and suicide idention; Lack of purpose in life as a mediational fact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42, No.1, pp.5-21, 1986. 

  43. H. S. Kim, A Study on epistemology of Korean elder`s suicidal thought.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22, No.1, pp.159-172, 2002. 

  44. C. R. Snyder, C. Harris, J. R. and erson, S. A. Holleran, L. M. Irving, S. T. Sigmon, L. Yoshinobu, J. Gibb, C. Langelle, P. Harney,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differences measure of ho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0, pp.570-585, 1991. 

  45. A. J. Venning, J. Eliott, L. Kettler, A. Wilson, Normative data for the Hope Scale using Australian adolescents.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Vol.61, No.2, pp.100-106, 2009. 

  46.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3, 1986. 

  47. M. E. Sobel,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 In S. Leinhar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pp. 290-312. SanF rancisco: Jossey-Bass,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