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외로움과 자살생각: 희망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3, 2021년, pp.227 - 233  

정혜경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외로움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청소년의 자살 예방 및 관리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청소년 338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이 지각하고 있는 외로움과 희망, 희망과 자살생각은 각각 부적 상관관계, 외로움과 자살생각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희망은 외로움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이 당면하고 있는 위기상황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청소년 자살생각 감소를 위한 희망증진 프로그램개발 등의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oneliness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uicidal ideation and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on the relation between lonelines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suicidal ideation to carry out preliminary data for preventing and controlling adolescents' ...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4)

  1.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2020). 2020 Suicide Prevention White Paper. 

  2. M. S. Gould, T. Greenberg, D. M. Velting & D. Shaffer. (2003). Youth suicide risk and preventive interventions :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2(4), 386-405. DOI : 10.1097/01.chi.0000046821.95464.cf 

  3. B. O. Choi, E. Y. Koh, S. Y. Rhie, E. J. Lee & Y. S. Seo. (2011). Maladaptive Perfectionism, Hopelessness, Depression, Psychache, and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3(3), 693-716. UCI : G704-000523.2011.23.3.004 

  4. J. G. LEE & S. H. Cho. (2020).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Non-Suicidal Self-Injury.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8(2), 233-255. DOI : 10.35151/kyci.2020.28.2.011 

  5. Y. M. Lee. (2011). Relationship Self-control, Stress, Loneli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2), 5541-5549. DOI : 10.5762/KAIS.2011.12.12.5541 

  6. O. S. Kim. (1997). Loneliness : Concept Analysis. Health & Nursing, 9(2), 28-38. 

  7. D. N. Lee & N. Y. Kim. (2018). The Effects of Economic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Suicidal Ideation of Older Adul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9(2), 997-1009. DOI : 10.22143/HSS21.9.2.79 

  8. V. Tzouvara, C. Papadopoulos & G. Randhawa. (2015). A narrative review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loneliness.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20, 329-334. DOI : 10.12968/bjcn.2015.20.7.329 

  9. C. R. Snyder. (1994). The psychology of hope: You can get there from here. New York. 

  10. J. Kim & C. S. Lee. (2014).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6), 539-547. http://dx.doi.org/10.14400/JDC.2014.12.6.539 

  11. A. R. Kim & H. J. Song. (2014). The Influence of Stress on Suicide Ide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Hope Disposition as a Moderator,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1(3), 647-664. UCI : G704-SER000009521.2014.21.3.012 

  12. E. C. Chang. et al (2019). The positive role of ho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unhappy conditions in Hungarian young adults: How pathways thinking matters!.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4(6), 724-733. DOI: 10.1080/17439760.2018.1545042 

  13. J. H. Hur & J. S. Kim.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oneliness Scale for Adolesc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5(4), 1549-1570. DOI : 10.15703/kjc.15.4.201408.1549 

  14. K. H. Kwon. (2008).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Hope for the Adolescence.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5. A. T. Beck, M. Kovacs & A. Weissman.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 Th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Consultation and Clinical Psychology, 47, 343-352. 

  16. K. B. Park & M. S. Shin. (1990). College Goal and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9(1), 20-32. 

  17.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18. M. E. Sobel.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d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290-312, Washington. 

  19. H. K. Chung. (2016). The Influences of Loneliness, Anger and Suicidal Ideation on Juvenile Delinquency.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11(4), 89-99. DOI : 10.21097/ksw.2016.11.11.4.89 

  20. S. H. Kim & E. H. Lee. (2018). The Influence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5(1), 35-47. UCI : I410-ECN-0101-2018-180-001900143 

  21. J. H. Jhang & J. H. Ko. (2010). Adolescents' Stress and Mental Health: Hope as a Moerate.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 101-116. DOI : 10.35151/kyci.2010.18.2.007 

  22. J. U. Kim & M. S. Choi. (2014). Relationship among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Hope, Peer Relation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2(1), 201-226. DOI : 10.35151/kyci.2014.22.1.009 

  23. H. An & H. L. Kim. (2018).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between Crisis in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uicidal Ideation, The Journal of Welfare and Counselling Education, 7(2), 171-188. DOI : 10.20497/jwce.2018.7.2.171 

  24. C. R. Synder. (2002). Hope theory: Rainbows in the mind. Psychological Inquiry, 13, 249-275. DOI : 10.1207/S15327965PLI1304_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