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쇼핑시설 유형별 이용자의 통행행태 차이 분석과 정책적 제언: 수원시를 대상으로
An Analysis of Access Travel Behavior to Shopping Facilities and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the Types of Shopping Facilities: Case Study in Suwon, Korea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2 no.3, 2014년, pp.187 - 197  

이규진 (아주대학교 TOD기반 지속가능 도시.교통연구센터) ,  이문영 (아주대학교 TOD기반 지속가능 도시.교통연구센터) ,  최기주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박성진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업형 슈퍼마켓(Super Supermarket: SSM), 재래시장, 대형마트 이용자의 통행행태와 접근수단별 이용권역을 비교 분석하고, 쇼핑시설에 대해 도시 교통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각 쇼핑시설별로 가장 높은 분담율을 보이는 수단의 경우, SSM은 보행(84.5%), 재래시장은 버스(20.1%), 대형마트는 승용차(46.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중교통수단의 이용권역의 경우 SSM은 667m, 재래시장은 1.6km, 대형마트는 4.2km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SSM, 재래시장, 대형마트 이용자들의 선호 교통수단 및 통행특성은 통계적으로 뚜렷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의 고유 통행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행과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녹색교통 중심의 도시계획 설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vel behaviors of customers accessing to three different types of shopping facilities - traditional markets(TM), hyper markets(HM), and super supermarkets(SSM) - and also to find out the most desirable location for each type of shopping facilities th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및 교통 계획적 관점에서 쇼핑 통행에 대한 연구, 구체적으로는 쇼핑시설 유형별로 이용자의 통행행태와 접근수단별 이용권역의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보행 및 대중교통 접근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쇼핑시설에 대해 도시 및 교통 계획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쇼핑시설에 대한 이용자의 통행행태와 접근수단별 이용권역의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보행 및 대중교통 접근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 시하고, 쇼핑시설에 대해 도시 및 교통 계획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쇼핑시설 유형 및 접근수단별 이용권역의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어떻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에 따른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1) 모든 교통수단의 이용권역을 분석한 결과, SSM은 667m, 재래시장은 2.0km, 대형마트는 7.5km 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쇼핑시설별 이용권역은 1종 근린상업시설의 영향권 설정에 활용될 수 있다. 다만, 경쟁력을 잃어 가고 있는 재래시장의 경우는 선택 옵션이 줄어들면서 기존 이용자들의 이동거리가 증가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를 영향권 추정의 근거로 직접 이용하는 데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대중교통수단의 이용권역을 분석한 결과, SSM은 667m, 재래시장은 1.6km, 대형마트는 4.2km 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중교통망 구축과 운영에 활용될 수 있으며, 대중교통 노선 증설에 제약이 있는 주거권역에 대해서는 친환경 셔틀버스 운영을 위한 권역 설정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재래시장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율은대중교통 접근거리에 상당히 탄력적인 것으로 나타난바, 쇼핑시설 중에서 재래시장에 대해 대중교통 접근성을 우선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 무동력수단의 이용권역을 분석한 결과, SSM과 재래시장은 667m, 대형마트는 1.3km로 나타났다. SSM과 재래시장의 이용권역은 TOD 계획의 관습적역세권 범위(catchment)로 알려져 있는 1/2mile3) (Cervero, 2007)과는 이용권역이 비슷하기 때문에 함께 개발될 경우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보행접근을 증가 시킬 수 있는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아파트 거주자들에 대해 재래시장 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차별화된 방안이 필요한 이유는? 최근 서민경제를 살리기 위한 방안으로 재래시장 활성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데, Table 4의 결과에 근거하면, 재래시장은 단독 주택지와 연립 주택지에 조성되는 것이 이용 활성화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으로는 재래시장 이용자의 아파트 거주자는 52.5%에 불과하기 때문에, 아파트 거주자들에 대해 재래시장 이용을 유도시키기 위한 차별화된 방안이 필요하겠다.
최근 대형 유통업체들에서 기업형 슈퍼마켓의 점포수를 크게 늘리는 이유는? 아울러, 최근 대형 유통업체들은 새로운 대형마트 부지 확보와 출점이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기업형 슈퍼마켓(Super Supermarket, SSM)의 점포수를 크게 늘리고 있는 상황에서, SSM의 확장․규제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쇼핑시설 이용자의 통행특성에 대해서도 연구되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대형마트의 경우도 독일에서는 입점에 따른 교통 혼잡분석 및 환경영향평가 등을 통해 철저한 검증 후 계획되며, 프랑스에서는 연면적 300㎡ 이상의 대형마트는 도시 외곽에 국한하여 입점이 허가되는 등1) 쇼핑시설의 입점 여부 및 위치는 도시․교통계획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cker V. V., Witlox F. (2011), Commuting Trips within Tours: How is Commuting Related to Land Use?, Transportation, 38(3), 465-486. 

  2. Agrawal A. W., Schlossberg M., Irvin K. (2008), How Far, by Which Route and Why? A Spatial Analysis of Pedestrian Preference. J. Urban Des., 13(1), 81-98. 

  3. Cao X. J., Xu Z., Douma F. (2012), The Interactions between E-shopping and Traditional In-store Shopping: An Appl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s Model, Transportation, 39(5), 957-974. 

  4. Cervero R. (2007), Transit Oriented Development's Ridership Bonus: A Product of Self-selection and Public Policies, Environ. and Plan. A, 39(9), 2068-2085. 

  5. Cheon G. S. (2004), A Study on the Effects of Attributes in Retail Selection of Consumers: Focused on the Comparison in Retail, A doctoral Thesis of Jeonju University, 100-128. 

  6. Choi C. G., Lim D. I. (2008), Using Patterns of Leisure and Shopping Facilities by Life Style as well as household Income, J.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1(2), 348-369. 

  7. Choung E. H., Noh S. H. (2000), Location Large Discount Store and Difference of accessibility to Daily Shopping Place, J. Korean Geographical Society Association, 35(4), 585-598. 

  8. Kim D. K., Ahn K. H. (2004), Impacts of Discount Stores on Shopping Behavior and Spacial in New Town,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39(1), 33-44. 

  9. Kim H. J. (1996), A Study on Pass-by Trips of Shopping Centers,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25, 79-90. 

  10. Kim S. G. (2006), Travel Demand and Transportation Cost of Household According to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and to Service Facilities, J. Korean Soc. Transp., 24(6), 65-74. 

  11. Kim T. Y., Jang C. H. (1997), A study on the Function of Traditional Markets in Urban Spatial Structure: The Case Study of Taegu City,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32(3), 87-105. 

  12. Oh Y. P., Ahn Y. J. (2005),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Choice Behavior and its Model Establishment, J.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18(3), 97-118. 

  13. Park K. M. (2011), Influences of User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n Behavior of Shopping and Leisure Facilities, Master's Thesis of Hanyang University. 

  14. Seo M. H., Kim S. Y. (2011),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ing Elements of Urban Form and Travel Behavior Characteristics,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4), 223-243. 

  15. Shin K. S., Sung H. G. (2011), Analysis on the Structural Impact of Choice Factors for Shopping Behavior on Walking Activity and Its Comparison with Commuting Behavior,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5), 249-260. 

  16. Simma A., Axhausen K. W. (2001), Successive Days, Related Travel Behaviour?, IVT ETHZ. 

  17. Sung H. G., Shin K. S., Rho J. H. (2008), Impacts of the Type and Location of Shopping and Leisure Facilities on Travel Mode Choice,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43(5), 107-121. 

  18. Yun K. S., Kim K. H., Kim K. S. (1996), Modelling the Choice Behavior of Shopping Destination and Travel Mode,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31(5), 253-2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