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건 멸치의 품질 개선에 대한 산성 전해수의 영향
Effect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boiled-dried anchovy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1 no.3, 2014년, pp.357 - 364  

이수정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성낙주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강신권 (한국국제대학교 식품의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건 멸치의 제조 시 산성 전해수로 자숙함으로써 멸치의 품질 개선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멸치의 표면색은 전해수 처리 멸치에서 명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전체적인 색차(${\Delta}E$)에서 전해수 처리 멸치는 대조구에 비해 5.08의 차이를 보였다. 추출물의 갈색도는 지용성 추출물이 수용성 추출물에 비해 훨씬 높았다. In vitro에서 칼슘 흡수율은 대조구에서 10.77%였으며, 전해수 처리 멸치는 12.61%였다. 저장 온도($20^{\circ}C$, $4^{\circ}C$$-20^{\circ}C$) 및 기간(5주, 10주 및 5개월)을 달리하여 멸치를 저장하는 동안, 멸치 추출물의 지용성 갈색도는 $20^{\circ}C$$4^{\circ}C$ 저장 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20^{\circ}C$ 저장 시에 전해수 처리 멸치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휘발성 염기질소(VBN)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20^{\circ}C$ 저장 시에 전해수 처리 멸치는 대조구에 비해 VBN의 함량이 작았다.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기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되었는데, 전반적으로 전해수 처리 멸치에서 함량 증가가 작았다. 따라서 멸치의 가공과정에서 산성 전해수 처리는 멸치의 색택 개선, VBN 및 지질과산화물의 함량 변화를 감소시켜 품질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boiled-dried anchovy treated with acidic electrolyzed water (AEW) was investigated. The L value was higher in the anchovy treated with AEW than in the control. Moreover, its ${\Delta}E$ value was 5.08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lipophilic brown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산물의 가공 시 원재료의 색택 유지와 비린내 제거 등은 품질유지와 관련하여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데, 지금까지 산성 전해수가 채소류의 살균에 주로 사용되어온 바 수산물에 대한 이용은 상당히 제한적이었으며, 멸치의 자숙과정 시 산성 전해수의 사용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건 멸치의 가공 시 산성 전해수로 자숙하므로서 멸치의 표면색 및 지질산화 정도를 측정하여 산성 전해수 처리에 의한 자건 멸치의 품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수산 가공품 제조 시 산성 전해수 처리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자건 멸치의 제조 시 산성 전해수로 자숙함으로써 멸치의 품질 개선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멸치의 표면색은 전해수 처리 멸치에서 명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전체적인 색차(ΔE)에서 전해수 처리 멸치는 대조구에 비해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른 멸치 총 생산량의 90%를 차지하는 형태는?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수산가공품인 멸치는 일시 다획성의 어류로 대부분이 염장품인 젓갈이나 건제품인 마른 멸치로 가공되고 있으며, 특히 마른 멸치는 조직 중의 자가소화 효소를 실활시키고 부착 미생물의 사멸, 육단백질의 응고로 건조를 용이하도록 한 자건품의 형태가 총 생산량의 90%를 차지한다(1). 또한 멸치는 육질이 연하고 자가소화 효소 활성이 높아 단기간에 선도저하가 진행되므로 멸치 가공에 어려움이 크며, 처리시설 부족으로 사료화되는 경향이 크다(2).
산성 전해수로 자숙한 전해수 처리 멸치의 이화학적 특성을 대조구와 비교한 결과는 어떠한가? 산성 전해수로 자숙한 전해수 처리 멸치의 이화학적 특성을 대조구와 비교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대조구와 전해수 처리 멸치간에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회분 함량과 염도는 전해수 처리 멸치, 조지방 함량과 pH는 대조구에서 통계적인 유의차에 의해 높았으나, 큰 차이는 아니었다. 특히 전해수 처리 멸치의 자숙과정에 사용된 산성 전해수의 pH가 3.04인 것을 고려해 볼 때 자숙용 물의 pH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나, 멸치 시료간에는 차이가 적어 전해수 자체의 pH가 자건 멸치제품의 pH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멸치는 대부분 어떤 제품으로 가공되는가?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수산가공품인 멸치는 일시 다획성의 어류로 대부분이 염장품인 젓갈이나 건제품인 마른 멸치로 가공되고 있으며, 특히 마른 멸치는 조직 중의 자가소화 효소를 실활시키고 부착 미생물의 사멸, 육단백질의 응고로 건조를 용이하도록 한 자건품의 형태가 총 생산량의 90%를 차지한다(1). 또한 멸치는 육질이 연하고 자가소화 효소 활성이 높아 단기간에 선도저하가 진행되므로 멸치 가공에 어려움이 크며, 처리시설 부족으로 사료화되는 경향이 크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im JT, Kang ST, Kang JG, Choe DJ, Kim SM, Oh KS (2003) Food compone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iled-dried anchovies caught by pound n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186-1192 

  2. Pyeun JH, Heu MS, Cho DS, Kim HR (1995) Proteolytic properties of cathepsin, chymotrypsin, and trypsin from the muscle and viscera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J Korean Fish Soc, 28, 557-568 

  3. Louie DS (1996) Intestinal bioavailability and absorption of calcium. In: Calcium and Phosphorus in Health and Disease, Anderson JJB, Garner SC (Editor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45-62 

  4. Allen LH (1982) Calcium bioavailability and absorption: a review. Am J Clin Nutr, 35, 783-808 

  5. Jin TY, Oh DH, Rhee CO, Chung DO, Eun JB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omponents in the cereals of saengsik, uncooked food by washing with electrolyzed wa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06-512 

  6. Hanaoka K (199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lectrolyzed functional water and its application. Fragrance journal, 27, 18-22 

  7. Jung SW, Park KJ, Park KJ, Park BI, Kim YH (1996) Surface sterilization effect of electrolyzed acid water on vegetabl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045-1051 

  8. Cho SY, Joo DS, Kim OS, Choi YS (2004) Cleaning and storage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manufactured by various electrolytic diaphragm. Korean J Food Preserv, 11, 160-169 

  9. Lee NG (2006) Water properties of electrolytic machine by stainless diaphragm and effects of electrolytic ice water storage for keeping freshness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J Fish Mar Sci Edu, 18, 293-301 

  10. Chung YC, Kang SK, Chun SS, Choi JH, Cheon EW, Bae JS (2010) Manufacturing method of dried anchovy with improved preservability. Korea Patent No. 10-0952406 

  1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p 36 

  12.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13. Miller DD, Schricker BR, Rasmussen RR, Campen DV (1981) An in vitro method for estimation of iron availability from meals. Am J Clin Nutr, 34, 2248-2256 

  14. Chung MJ, Shin JH, Lee SJ, Hong SK, Kang HJ, Sung NJ (1998) Chemical components of wild and cultivated Horned Rampion, Phyteuma japonicum Miq. Korean J Food Nutr, 11, 437-443 

  15. Short EI (1954) The estimation of total nitrogen using the Conway micro-diffusion cell. J Clin Pathol, 7, 81-83 

  16. Kim JS, Heu MS, Kim HS (2001)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boiled-dried anchovies processed on Korea and Japan. J Korean Fish Soc, 34, 685-690 

  17. Yoo UH, Kang ST, Choe DJ, Nam KH, Roh TH, Oh KS (2007)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iled-dried anchovies with green tea extract. J Agric Life Sci, 41, 33-40 

  18. Kang KH, No BS, Seo JH, Hu WD (2002) Food Analysis. Sung Kyun Kwan University Academic Press, Seoul, Korea, p 387-394 

  19. Heu MS, Lee JH, Kim HJ, Jung IK, Park YS, Ha JH, Kim JS (2008)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boiled-dried silver-stripe round herr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91-899 

  20. Kim JS, Kim HS, Heu MS (2006) Introductory Foods. Hyoil Publ Co., Seoul, Korea, p 109-116 

  21. Kim JS, Yang SK, Heu MS (2000)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plain dried anchovies on the mark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20-25 

  22. Lee YS, Moon JY, Jang SJ, Park MN, Park HY (2007) Effects of supplemental agents enhancing calcium absorption on bioavailability of starfish calciu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32-839 

  23. Jang HJ, Jung EB, Seong KS, Han CK, Jo JH (2006) Effect of anchovy treated with ethanol, citric acid and dietary calcium supplements on calcium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860-865 

  24. Kim YM, Yoon GA, Hwang HJ, Chi GY, Son BY, Bae SY, Kim IY, Chung JY (2004) Effect of bluefin tuna bone on calcium metabolism of the r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01-106 

  25. Kang ST, Cho YJ, Choi CY, Kang JY, Yun JU, Oh KS (2008) Storage stability and shelf-life of the boiled-dried anchovies with green tea extract. J Agric Life Sci, 42, 27-34 

  26. Park YJ, Yoo JY, Jang KI (2010) Storage attribute of Angelica keiskei juice treated with various electrolyzed wat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846-1853 

  27.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0)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Hyoil Publ Co., Seoul, Korea, p 256-261 

  28. Murray CK, Gibson DM (1972) An investigation of the method of determining trimethylamine in fish muscle extracts by the formation of its picrate salt - Part I. Int J Food Sci Tech, 7, 35-46 

  29. Noh JE, Byun MW, Kwon JH (2002) Quality and thermoluminescence properties of ${\gamma}$ -irradiated boiled-dried anchovi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9, 19-27 

  30. Ponce de Leon S, Inoue N, Shinano H (1994) Shelf-life of sardine and bacterial flora in brine containing acetic acid during immersed storage. Fish Sci, 60, 429-433 

  31.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1998) Research on Food Standardization (KS) of the Processed Seafood Products.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 21-185 

  32. Kim DH (1994) Rancidity of Edible Oils and Fats. Korea Univ. Press, Seoul, Korea, p 453 

  33. Cha YJ, Cho SY, Oh KS, Lee EH (1983)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foods. 2. The taste compound of low salt fermented sardine. Bull Korean Fish Soc, 16, 140-145 

  34. Oh KS, Ro RH, Lee EH, Park HY (1989) Processing of the intermediate product(frozen seasoned anchovy meat) derived from anchovy.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493-5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