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개발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smart education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39 no.1, 2014년, pp.102 - 127  

전미애 (충남대학교) ,  맹준희 (한국과학기술원) ,  천세영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스마트교육 수업능력 향상을 위하여,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하여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 의 다섯 단계로 구성된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절차를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구성을 위하여 환경분석, 학습자분석, 과제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스마트교육 이론과 실제, 스마트교육 플랫폼 활용, 스마트 교수 학습 솔루션, 스마트교육 학교교실 운영사례, 스마트교육실습과 스마트 디바이스 중독의 5개 주제와 12개의 학습과제를 설계하였다. 요구분석 및 설계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교재와 수업매체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은 교원연수기관으로 지정된 스마트교육 연구센터를 통하여 D시의 초등 및 중등교사 72명에게 적용하여 연수를 실시하였다. 연수결과에서 나타난 참여교사들의 평가와 전문가 협의를 통하여 스마트 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통해 나타난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on smart education for teachers, which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nd promoting smart education in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researchers set up a process composed of five phas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s implementation an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목적은?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스마트교육 수업능력 향상을 위하여,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하여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 의 다섯 단계로 구성된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절차를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구성을 위하여 환경분석, 학습자분석, 과제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스마트교육 이론과 실제, 스마트교육 플랫폼 활용, 스마트 교수 학습 솔루션, 스마트교육 학교교실 운영사례, 스마트교육실습과 스마트 디바이스 중독의 5개 주제와 12개의 학습과제를 설계하였다.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구성을 위해 어떻게 하였는가?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스마트교육 수업능력 향상을 위하여,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하여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 의 다섯 단계로 구성된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절차를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구성을 위하여 환경분석, 학습자분석, 과제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스마트교육 이론과 실제, 스마트교육 플랫폼 활용, 스마트 교수 학습 솔루션, 스마트교육 학교교실 운영사례, 스마트교육실습과 스마트 디바이스 중독의 5개 주제와 12개의 학습과제를 설계하였다. 요구분석 및 설계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교재와 수업매체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은 교원연수기관으로 지정된 스마트교육 연구센터를 통하여 D시의 초등 및 중등교사 72명에게 적용하여 연수를 실시하였다.
스마트교육 시행의 목적은? 스마트교육은 ICT기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와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노력이라 할 수 있으며(임희석, 2012), 미래사회의 교육은 사회변화, 테크놀로지 변화, 학습자특성의 변화에 따라 과거 교육에 비해 매우 다양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겪을 것이 예상되는데(김영애, 2011),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노력으로 스마트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2012). 스마트교육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보고자료. 

  2. 권현범, 천세영(2013). 스마트교육 연구동향 분석: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적용. 교육연구논총. 34(2). 103-125. 

  3. 교육과학기술부(2011a).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보도자료. 

  4. 교육과학기술부(2011b).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실행계획. 보도자료. 

  5.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교원연수 중점추진방향. 

  6. 교육과학기술부(2012. 2. 17). 스마트교육 중앙선도교원 연수. 보도자료 

  7. 교육과학기술부(2010). 교육정보화백서. 

  8. 기영화(2011).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 서울; 학지사. 

  9. 김기태(1995). 21세기를 대비한 한국교육의 과제. 서울; 보경문화사. 

  10. 김영애(2011). 우리의 교실혁명 : 스마트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교육개발원 OR 2011-02-7. 

  11. 김진모 외(2007). ISD 모델에 기초한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3), 69-95. 

  12. 김현진 외(2012). 스마트교육 교원연수 프로그램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CR 2012-7. 

  13. 김현진 외(2013). 스마트교육 교사연수를 위한 역량기반 연수 프로그램 개발. 한국열린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3(1), 149-153. 

  14. 김현철(2011).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관리 및 교수학습 모형 개발 이슈. 한국학술정보원 연구자료 RM 2011-20. 

  15. 백영균(2002). ICT활용교육론. 서울; 문음사. 

  16. 변창진(1994). 프로그램 개발. 대구; 홍익출판사. 

  17. 서정화(1987). 교육인사행정. 서울; 세영사. 

  18. 성노현 외(2012). ICT 기술변화에 따른 사회전망 연구.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19. 오인경, 최정임(2009).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법론. 서울; 학지사. 

  20. 이화정, 양병찬, 변종임(2011).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서울; 학지사. 

  21. 임희석(2012). 스마트교육. 서울; 휴먼싸이언스. 

  22. 천세영 외(2012). 스마트교육혁명. 서울; 21세기 북스. 

  23. 천세영 외(2013a). 스마트교육 정책성과지표 개발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R 2013-1. 

  24. 천세영 외(2013b). 초등 교과교육 지원을 위한 방과후 스마트교육 효과성분석 연구. 두산동아 CR 2013-01. 

  25. Caffarella, R. (2001). Planning programs for adult learners. San Francisco; Jossey-Bass. 

  26. Orlich, D, C. (1989). Staff development: Enhancing human potential. Boston; Allyn and Bacon. 

  27. Sussman, S. (2001). Handbook of program Development for Helth Behavior: Research & Practice. New York;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