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에서 자기 효능감 척도 개발 및 적용
Measuring and Applying the Self-efficacy in Computer Programming Education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18 no.1, 2014년, pp.111 - 120  

김갑수 (서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1세기 지식 정보 사회에서 컴퓨터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컴퓨터 활용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많이 되어 있고, 컴퓨터 활용교육에 대한 자기 효능감 척도들은 많이 개발 되어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창의성과 논리력 개발을 위하여 컴퓨터 활용 교육보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이 더 중요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을 위한 자기 효능감 척도 개발이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을 위한 자기 효능감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척도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을 하면 자기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들을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을 시키면 매우 타당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formation and knowledge society in the 21st century computer education is very important. Until now, much research on computer applications in education and training in computer literacy are a lot of self-efficacy scal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reativity and re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Bandura는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과거의 성공 경험, 간접 경험, 언어적 설득, 감성적 생리적인 각성으로 보았다. 따라서 자기 효능감에 이 네 가지 요소가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초등학교에서 컴퓨터의 기본 원리와 알고리즘을 학습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대부분의 컴퓨터 교육은 컴퓨터 활용 교육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컴퓨터 기술의 변화에 따라 교육 내용들이 너무 많이 변화하고 있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학습한 컴퓨터 활용 도구들은 성인되었을 때에 컴퓨터 환경이 너무 변화되어 컴퓨터 교육의 효과가 반감된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컴퓨터의 기본 원리와 알고리즘을 학습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9].
자기 효능감이란? 자기 효능감은 행동 변화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자기 효능감은 어떤 사람이 주어진 상황에서 적당한 행동을 할 수 있는 기대와 신념이다. 자기 효능감은업 성취도 자기 효능감(academic self-efficacy)은 Bandura[5]의 이론에 유래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llen TuckerA(2003),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New York, CSTA. 

  2. Angela Carbone, Linda Mannila, and Sue Fitzgerald(2007), "Computer science and IT teachers' conceptions of successful and unsuccessful teaching: A phenomenographic study" Computer Science Education, 17-4 December 2007, 275-299. 

  3. Baldwin, J. A., Ebert-May, D., & Burns, D. J. (1999). The development of a college biology self-efficacy instrument for nonmajors. Science Education, 83-4, 397-408. 

  4. Bandura, Albert(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2, Mar 1977, 191-215. 

  5. CAS(2013), Compu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A guide for primary teachers, London. 

  6. Diane Jass Ketelhut(2011), Assessing Gaming, Computer and Science Inquiry Self-Efficacy in Virtual Environment, Serious Educational Game Assessment, SENSE Publishers, Rotterdam/Boston/Taipei, 1-16. 

  7. Dona M. Kagan(1989), "Research on Computer Programming as a Cognitive Activity: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classroom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15-3, 177-189. 

  8. Jeroen Keppens, David Hay(2008), "Concept map assessment for teaching computer programming", Computer Science Education, 18-1, 31-42. 

  9. Kapsu Kim(2010), "A Study on Programming Language Instruction Strategies of Improving the creative and logical thinking for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4-1, 89-97. 

  10. Midgley, C., Maehr, M.L., Hruda, L., Anderman, E.M., Anderman, L., Freeman, K.E., Gheen, M., Kaplan, A., Kumar, R., Middleton, M.J., Nelson, J., Roeser, R. 

  11. Midgley,C. eat(1998)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s Assessing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e",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3, 113-131. 

  12. Miltiadou, M., & Yu, C. H.(2000). Validation of the Online Technologies Self-Efficacy Scale (OTSES)(Publication no. ED445672). Retrieved January 15, 2004. 

  13. Nong Ye Gavriel Salvendy(1996), "Expertnovice knowledge of computer programming at different levels of abstraction", Ergonomics, 39-3, 461-481 

  14. Salomon G & Perkins D.N(1987). Transfer of cognitive skills from programming : When and how?.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3. 149-169. 

  15. Susan Brooks-Young(2007), National Education -al Technology Standards for Students, Second Edition, ISTE. 

  16. Urdan, T.(2000). Manual for the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Scales(PALS). 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