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요양시설 실무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도
Perception of Workers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Degree of Patient Safety in Nursing Homes in Korea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3, 2014년, pp.247 - 256  

윤숙희 (인제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소) ,  김세영 (국립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오향련 (인제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nursing homes in Korea by measuring the patient safety culture of nursing homes and understanding its influencing factors.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of a descriptive research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Yoon, Kim, Kim[18]의 한국형 노인요양시설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개발 연구의 자료를 2차 분석하여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도의 영향 요인을 확인한 서술적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노인요양시설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나 환자안전 문제를 정확하게 조사할 수 없는 현실에서, 노인요양시설의 실무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시설 거주자의 전반적인 안전 정도를 환자안전도로 측정하였다. 그러나 Handler 등[11]의 연구에서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 결과로써 사고보고 빈도와 전반적인 환자안전 등급을 측정하여 병원과 비교하였으며, Nieva와 Sorra[28]는 자가보고 형식의 설문조사를 통해서 보건의료 종사자들의 업무환경에 대한 인식을 끌어낼 수 있다고 했다.
  • 본 연구는 국내 노인요양시설의 실무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 실태를 파악하고 시설의 전반적인 환자안전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노인요양시설 실무종사자들은 어르신의 안전을 중요시하고 사고를 예방하는 관리자와 자신들의 태도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이에 비해 어르신을 돌보는 직원들의 업무량, 피로도, 급여 등에 대하여 배려하는 관리활동은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실무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도를 파악하였으며, 환자안전도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국 70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실무종사자 982명을 조사한 결과, 이들의 평균 연령은 4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노인요양시설의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를 측정하고 환자안전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을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에 대하여 조사한 선행연구들에서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질은 수준 이하이며[4-6], 직원들의 업무량이 많고 이직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7]. 국내에서 양로원 노인의 낙상 사고율은 30.
노인요양시설의 위해사건의 유형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3%로 나타났으며[8], 노인요양시설의 실무종사자의 40.7%가 지난 3개월간 1회 이상 사고를 경험하였고[9], 사고 유형은 낙상, 타박상, 골절 등으로 나타났다[10]. Handler 등[11]의 연구에서 병원보다 노인요양시설의 위해사건 발생률이 높으며, 환자안전도가 낮게 나타났다.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병원과 달리 대부분의 노인요양시설에서는 간호보조 인력에 의해 직접적인 간호가 제공되고, 의사가 상주하지 않기 때문에 노인의 건강상태 변화와 투약의 결과에 대한 의사소통은 주로 전화로 이루어진다. 특히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인지, 감각의 장애와 복합적인 질병으로 인한 다수의 투약과 관련해서 의료과오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2]. 또한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은 치매, 망상, 우울, 분노, 공격과 같은 행동적/정신적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3],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astle NG. Nurse aides' ratings of the resident safety culture in nursing home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6;18(5):370-376. http://dx.doi.org/10.1093/intqhc/mzl038 

  2. Bonner AF, Castle NG, Perera S, Handler SM. Patient safety culture: A review of the nursing home literature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The Annals of Long-Term Care. 2008; 16(3):18-22. 

  3. Kim JS, Oh HY. Perceptions and attitude on use of physical restraints among caregiv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6;26(2):347-360. 

  4. Castle NG, Ferguson JC. What is nursing home quality and how is it measured?. The Gerontologist. 2010;50(4):426-442. http://dx.doi.org/10.1093/geront/gnq052 

  5. Institute of Medicine (IOM), Committee on Quality of Health Care in America. Crossing the quality chasm: A new health system for the 21st centur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1. 

  6. Maas ML, Specht JP, Buckwalter KC, Gittler J, Bechen K. Nursing home staffing and training recommendations for promoting older adults' quality of care and life: Part 2. Increasing nurse staffing and training. Research in Gerontological Nursing. 2008;1(2):134-152. http://dx.doi.org/10.3928/19404921-20080401-04 

  7. Gruneir A, Mor V. Nursing home safety: Current issues and barriers to improvement.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008;29:369-382. http://dx.doi.org/10.1146/annurev.publhealth.29.020907.09 0912 

  8. Kim MC, Cho H, Sunwoo S, Kim SW, Cho HJ.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fall among the elderly in nursing hom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1999;3(4):29-38. 

  9. Yoon SH, Kim B, Shin SY, Wu XL. Measuring patient safety culture in Korea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2):315-327.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2.315 

  10. Yoon SH, Wu XL. Content analysis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1):118-127.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1.118 

  11. Handler SM, Castle NG, Studenski SA, Perera S, Fridsma DB, Nace DA, et al. Patient safety culture assessment in the nursing home.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6;15:400-404. http://dx.doi.org/10.1136/qshc.2006.018408 

  12. Flin R, Yule S. Leadership for safety: Industrial experience.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4;13:45-51. http://dx.doi.org/10.1136/qshc.2003.009555 

  13. Castle NG, Sonon KE. A culture of patient safety in nursing homes. Quality & Safety Health Care. 2006;15(6):405-408. http://dx.doi.org/10.1136/qshc.2006.018424 

  14. Seago JN, Williamson A, Atwood C. Longitudinal analyses of nurse staffing and patient outcomes: More about failure to rescue.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36(1): 13-21. 

  15. Hughes CM, Lapane KL. Nurses' and nursing assistant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nursing home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6;18:281-286. 

  16. Scott-Cawiezell J, Vogelsmeier A, McKenney C, Rantz M, Hicks L, Zellmer D. Moving from a culture of blame to a culture of safety in the nursing home setting. Nursing Forum, 2006;41(3):133-140. http://dx.doi.org/10.1111/j.1744-6198.2006.00049.x 

  17. Kim JE, Kang MA, An KE, Sung YH.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 (3):169-179. 

  18. Yoon SH, Kim BS, Kim S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patient safety culture for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3):379-388. http://dx.doi.org/10.4040/jkan.2013.43.3.379 

  19.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Nursing home surveys on patient safety culture [Internet]. Rockville, MD: AHRQ. 2008 [cited 2012 May 9]. Available from: http:// www.ahrq.gov/professionals/quality-patient-safety/patientsafetyculture/ nursing-home/index.html 

  20.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Long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4 March 12]. Available from: http://kosis.kr/ 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6_N022&v w_cdMT_ZTITLE&list_id350_35006_A004&scrId&seqNo &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 

  21. Nicklin W, McVeety JE. Canadian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in hospitals. Canadian Journals of Nursing Leadership. 2002;15(3):11-21. 

  22. Pronovost P, Weast B, Rosenstein B, Sexton JB, Holzmueller CG, Paine L, et al. Implementing and validating a comprehensive unit-based safety program. Journal of Patient Safety. 2005;1(1):33-40. 

  23. Blegen MA, Gearhart S, O'Brien R, Sehgal NL, Alldredge BK. AHRQ's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Psychometric analyses. Journal of Patient Safety. 2009;5(3):139-144. http://dx.doi.org/10.1097/PTS.0b013e3181b53f6e 

  24. Stone P, Walker PH. Focus on patient safety. In: Fitzpatrick JJ, editor. Annual review of nursing research, v. 24. New York: Springer; 2007. 

  25. Cooper MD, Phillips RA. Exploratory analysis of the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relationship. Journal of Safety Research. 2004;35(5):497-512. http://dx.doi.org/10.1016/j.jsr.2004.08.004 

  26. Gore DC, Powell JM, Baer JG, Sextone KH, Richardson CJ, Marshall DR, et al. Crew resource management improve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in the operating room. American Journal of Medical Quality. 2010;25(1):60-63. http://dx.doi.org/10.1177/1062860609351236 

  27. McFadden KL, Henagan SC, Gowen CR. The patient safety cha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effect on patient safety culture, initiatives, and outcomes.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009;27(5):390-404. http://dx.doi.org/10.1016/j.jom.2009.01.001 

  28. Nieva VF, Sorra J.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3;12(Suppl. 12):ii17-ii23. http://dx.doi.org/10.1136/qhc.12.suppl_2.ii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