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의 장기요양시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통제감이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afety Culture Perception, Safety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s Perceived for Nurses in Nursing Home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9, 2015년, pp.303 - 311  

서영숙 (대구보건대학교) ,  도은수 (대구보건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융복합의 장기요양시설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의 안전문화인식과 안전통제감을 파악하고, 이들 변인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장기요양시설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46명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통제감 등을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환자안전문화인식(${\beta}=.40$, p<.001), 안전통제감(${\beta}=.27$, p=.002), 최근 안전교육 경험(${\beta}=.19$, p=.015)과 연령(${\beta}=.19$, p=.027)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은 대상자의 안전관리활동에 34.5% 설명하였다(F=5.51, p<.001). 장기요양시설 간호사의 안전관리활동은 환자안전문화인식 및 안전통제감과 관련성이 높았으며, 이들 변인을 고려한 안전관리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been done to identify the effect of safety culture perception, safety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s perceived by nursing home nurses. A total of 146 cases recruited safety culture perception, safety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간호사의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안전관리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안전관리활동에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인은 환자안전문화인식, 안전통제감, 최근 안전교육 경험과 연령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은 안전관리활동을 34.
  •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실무종사자와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인식 개념분석과 상관관계 등의 단면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노인환자 질병의 간호와 간호중재계획을 설정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간호사를 대상으로 안전관리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장기요양시설 환자의 안전관리활동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환자의 안전은 의료서비스와 요양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주의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로써, 환자의 안전관리활동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간호사를 대상으로 안전관리활동에 관련요인을 알아보고, 확인된 관련요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장기요양시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안전통제감과 안전관리활동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 관련된 내외적 보상과 관련하여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는 이유는? 따라서 장기요양시설의 안전관리자는 간호사의 안전사고 경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이들 변수를 고려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급여는 직무에 대한 외재적 보상을 의미하며, 이러한 외재적 보상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동기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내외적인 보상은 직무수행의 기여인자로[32] 보고됨에 따라 환자의 안전관리활동에도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직무 관련된 내외적 보상과 관련하여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이란? 안전사고의 위험요인은 노인환자, 인지장애, 기능상태변화, 환경변화와 약물복용 등의 환자의 내적, 외적요인[10]과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2,11],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도[2] 등이 중요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은 환자안전에 대한 규범과 신념을 의미한다[12,13]. 이는 환자안전문화인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환자를 돌보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행위를 중요시 여기게 되므로[12,13,14], 환자의 안전관리활동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2,11,12,13].
안전통제감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안전통제감은 업무수행시 안전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자기통제능력을 의미하며[21], 본 연구에서 Anderson 등[21]이 개발한 도구를 Chung [22]이 번안하고 타당도 검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7문항으로,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 점수 범위를 가지며, 최저 7점에서 최고 3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안전통제감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W. D. Seon, "Evaluation outcome for long-term care insurance and its implications", http://www.kihasa.re.kr/html/jsp/publication/periodical/focus/list.jsp (October 3, 2014) 

  2. S. H. Yoon, H. Oh, "Content analysis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9, No. 1, pp. 118-127, 2013. 

  3. Korea Federation of Senior Welfare, "Order of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eoul: Author, 2010. 

  4. M. R. Kim,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1, No. 1, pp. 1-8, 2011. 

  5. A. F. Bonner, N. G. Castle , S. Perera, S. M. Handler, "Patient safety culture: A review of the nursing home literature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nals of Long-term Care, Vol. 16, No. 3, pp. 18-22, 2008. 

  6. A. J. Park, N. Y. Lim, Y. S. Kim, Y. K. Lee, J. H. Song, "Incidence and predictors of falls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Vol. 18, No. 1, pp. 50-62, 2011. 

  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habilitation program-Health care of frail elderly", Seoul: Author, 2010. 

  8. C. C. Kim, M. J. Suh,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Vol. 9, pp. 210-228, 2002. 

  9. S. M. Handler, N. G. Castle , S. A, Studenski, S. Perera, D. B. Fridsma, D. A. Nace, J T. Hanlon, "Patient safety culture assessment in the nursing home",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Vol. 15, No. 6, pp. 400-404, 2006. 

  10. J. Y. Kim, Y. W. Lee, O. K. Ham, "Factors related to fall in elderly patients with osteoporosis", Journal of Korean Adult of nursing, Vol. 21, No. 2, pp. 257-267, 2009. 

  11. N. Anna, T. Kersti, W. L. Bodil, N. Gun, "Health care staff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hospital settings and factors of importance for this", Open Journal of Nursing, Vol. 3, pp. 28-40, 2013. 

  12. Castle, N. G., Sonon, K. E. "A culture of patient safety in nursing homes", Quality & Safety Health Care. Vol. 15, No. 6, pp. 405-408, 2006. 

  13. S. H. Yoon,, B. S. Kim, S. Y.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patient safety culture scale for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3, No. 3, pp. 379-388, 2013. 

  14. Y. M. Lee, "Safety accident occurrence to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1, pp. 117-124, 2012. 

  15. R. Ramanujam, K. Abrahamson, J. A. Anderson, "Influences on nursing perception of hospital unit safety climate: An HLM approach. Regenstief Center for Healthcare Engineering RCHE Publication", http://docs.lib.purdue.edu/rche_rp, 2007. 

  16. Y. Huang, M. Ho, G. S. Smith, P. Y. Chen, "Safety climate and self-reported injury: assessing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safety control",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8, pp. 425-433, 2006. 

  17. S. H. Yoon, B. S. Kim, S. Y. Shin, X. L. Wu, "Measuring patient safety culture in Korea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9, No. 2, pp. 315-327, 2013. 

  18. S. H. Yoon, S. Kim, X. L. Wu, "Perception of workers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degree of patient safety in nursing hom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0, No. 3, pp. 247-256, 2014. 

  19. C. M, Hughes, K. L. Lapane, "Nurses' and nursing assistant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nursing home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Vol. 18, pp. 281-286, 2006. 

  20.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Nursing home surveys on patient safety culture. Rockville, MD: AHRQ.", 2012. http://www.ahrq.gov/professionals/quality-patientsafety/patientsafetyculture/nursing-home/index.html 

  21. L. Anderson, P. Chen, S. Finlinson, A.D. Krauss, Y. H. Huang, "Roles of safety control and supervisory support in work safety. In: Paper presented at Society of Industrial/Organizational Psychology (SIOP), Chicago, IL", 2004. 

  22. S. K. Chung, "A structural model of safety climate and safety compliance of hospital organization employee.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09. 

  23. G. O. Lee, "The study on nurse manager leadership and patient safety-related nursing activities.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2009. 

  24. J. H. Choi, K. M. Lee, M. A. Le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7, No. 1, pp. 64-72, 2010. 

  25. J. Jeong, Y. J. Seo, E. U. Nam,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nursing divisions of two university hospital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 11, No. 1, pp. 91-109, 2006. 

  26. J. H. Choi, K. M. Lee, M. A. Le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7, No. 1, pp. 64-72, 2010. 

  27. H. H. Park, "A structural model of nurse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h.D. dissertation", Eulji University, 2013. 

  28. S. H. Lim, S. O. Chang, K. H. Seo, S. J. Lee, "Nurses' perceptions regarding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change in the condition of residents at risk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2, No. 1, pp. 81-94, 2010. 

  29. H. W. Cho, J. H. Yang,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health personnel",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9, No. 1, pp. 35-45, 2012. 

  30. J. Sorra, V. F. Nieva,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Quality Safety Health Care, Vol. 12, pp. ii17-ii23, 2003. 

  31. K. K. Kim, M. S. Song, J. S. Lee, Y. S. Kim, S. Y. Yoon, J. E. Back, H. K. Hur,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n prevention of malpractice using precedent cases related to patient safety in safety perception, safety control, autonomy and accountability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8, No. 1, pp. 67-75, 2012. 

  32. M. K. Jang, Y. K. Choi, J. I. Hwang, J. H. Hwang, E. K. Kim, N. H. Park, J. Y. Lee,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employe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0, pp. 63-81,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