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스피스 간호사의 직무만족 관련 영향 요인: 감정노동과 소진을 중심으로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in Hospice Nurses: Focus o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3, 2014년, pp.322 - 331  

정복례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한지영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in hospice nurses. The focus was o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Methods: Between September 30 and October 18, 2013, hospice nurses (n=63) in 5 hospitals in 4 cities completed measures of emotional labor, burno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호스피스 간호사들의 감정노동, 소진 및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감정노동이 소진과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호스피스 간호사들의 감정노동, 소진 및 직무만족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0%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간호사의 감정노동, 소진 및 직무만족을 확인하고 소진이 직무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함으로써, 호스피스 간호사의 감정노동을 인지하고 소진을 예방함으로써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인적자원관리 차원의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간호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 소진 및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감정노동 및 소진을 중심으로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호스피스 간호사의 감정노동, 소진 및 직무 만족도를 파악하고 감정노동과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호스피스 간호사의 감정노동을 관리하고 소진을 예방함으로써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들에게 총체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호스피스 간호사의 감정노동 및 소진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호스피스 간호사의 감정노동, 소진 및 직무만족을 알아보고 감정노동과 소진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노동이란 무엇인가?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이란 대인접촉을 하는 동안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노력, 계획 및 통제 정도로서[6,7], 간호사가 환자와의 관계를 형성하고 환자의 정신적, 육체적 안녕과 회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환자에게 믿음을 줄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으나, 직무만족을 떨어뜨리고 이직의도를 높이며 정신적 소진을 야기하는 부정적인 측면이 더 강조되고 있다[4]. 그에 반해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은 자신 및 타인의 느낌 및 감정을 감시하고 이들을 구별하며 자신의 생각 및 행동을 인도하도록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는 능력으로 감성지능이 높은 사람은 긍정적인 기분 및 자기존중성에 대한 상황적 위협에 적절히 저항할 수 있게 하여 직무 스트레스, 소진을 감소시킨다[8].
감성지능이란 무엇인가?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이란 대인접촉을 하는 동안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노력, 계획 및 통제 정도로서[6,7], 간호사가 환자와의 관계를 형성하고 환자의 정신적, 육체적 안녕과 회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환자에게 믿음을 줄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으나, 직무만족을 떨어뜨리고 이직의도를 높이며 정신적 소진을 야기하는 부정적인 측면이 더 강조되고 있다[4]. 그에 반해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은 자신 및 타인의 느낌 및 감정을 감시하고 이들을 구별하며 자신의 생각 및 행동을 인도하도록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는 능력으로 감성지능이 높은 사람은 긍정적인 기분 및 자기존중성에 대한 상황적 위협에 적절히 저항할 수 있게 하여 직무 스트레스, 소진을 감소시킨다[8].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위한 질적인 간호가 이루어지기 위해 우선적으로 호스피스 간호사의 감정노동을 관리하고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호스피스 간호사는 더 이상 치료가능성이 없는 간호대상자를 대상으로 하여 간호하는 만큼 일반 다른 부서의 간호사와는 다른 형태의 소진을 경험할 수 있으며[16], 헌신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고통이 경감되지 않을 때나 상태 호전이 없는 환자를 돌보는 경우 환자에 대한 책임감과 부담감이 높을수록 좌절감을 더 많이 경험하며 직무에 불만족하게 되어 환자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기보다는 무관심해지거나 회피할 수도 있다[17]. 또한, 어려운 업무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경험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으로 탈진상태에 이르게 되고, 부정적인 업무태도로 인해 업무 효율성이 저하되면 업무만족도도 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간호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초래 할 수도 있다[18]. 따라서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위한 질적인 간호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호스피스 간호사의 감정노동을 적절히 관리하고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un YJ, Kim IA, Han KS. Lim JY. The effects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focusing on followership sty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5;11(1):23-31. 

  2. Kim C-H, Yang S-S, Kim Y-J, Son Y-J, You M-A, Song J-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 (4):550-562. 

  3. Lee KJ, Lee E.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empowerment,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2): 130-142. http://dx.doi.org/10.5807/kjohn.2011.20.2.130 

  4. Wi S-M, Yi Y-J.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intent to leav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3):310-319. 

  5. Schaffer M, Norlander L. Being present: A nurse's resource for end-of-life communication. Indianapolis, In: Sigma Theta Tau International; 2009. p. 246. 

  6. Byun D-S, Yom YH.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 Focused on emotional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3):444-454. 

  7.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6;21(4):986-1010. http://dx.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8. Lee KH, Song JS.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f nurses -Mediating role of self effica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1):17-25. 

  9. Gray B. The emotional labour of nursing- defining and managing emotions in nursing work. Nurse Education Today. 2009;29(2):168-175. http://dx.doi.org/10.1016/j.nedt.2008.08.003 

  10. Kim I-S.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turn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4):515-525. 

  11. Kim H-J, Gu J-I, Byun J-H, Kim S-M, Choi H-S. Nurse's experience of changing role in the hospice unit of medical ward.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8;11 (1):30-41. 

  12. Maslach C, Goldberg J. Prevention of burnout: New perspectives.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1998;7(1):63-74. http://dx.doi.org/10.1016/S0962-1849(98)80022-X 

  13. Malakh-Pines A, Aronson E, Kafry D.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A Division of Macmillian Publishing Co. Inc.; 1981. p. 202-222. 

  14. Lavandero R. Nurse burnout: What can we learn?.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981;11(11-12):17-23. 

  15. Kim H-K, Ji H-S, Ryu E-K, Lee H-J, Yun S-E, Jeon M-K, et al.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of the nurses in hospital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5;10(2):7-18. 

  16. Pereira SM, Fonseca AM, Carvlalho AS. Burnout in palliative care: A systematic review. Nursing Ethics. 2011;18(3):317-326. http://dx.doi.org/10.1177/0969733011398092 

  17. Park MS, Yu YS. Burde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5;8(1):8-17. 

  18. Han HS. Role accomplishment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ce nurse[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8. 

  19. Yang Y-K. A study on burn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23-431. 

  20. Baik DW, Yom Y-H.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3):271-280. 

  21. Kim MJ. Effects of the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upon the job-related attitude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1998; 21(2):129-141. 

  22. Ryan MA. Professional survival. Supervisor Nurse. 1981;12(2): 16-17. 

  23. Peek EH.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levels among nurs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1983. 

  24. Slavitt DB, Stamps PL, Piedmont EB, Hasse AM.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1978;27 (2):114-120. 

  25.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26. Kim SP. Emotional labor: Control mechanisms, employee's psychological responses, methodological issue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000;13(4):195-214. 

  27. Park HJ. Emotional labor, emotional expression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2):225-232. 

  28. Yom YH. Analysis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based on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1):114-122. http://dx.doi.org/10.4040/jkan.2013.43.1.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