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선나무 잎과 줄기의 성분 분석 및 안전성 평가
Analysis on the Components and Safety Evalua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Leaves and Stem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0 no.3, 2014년, pp.234 - 244  

권순복 (용인대학교) ,  강희주 (한국식품연구원) ,  김민정 (한국식품연구원) ,  김진희 (한국식품연구원) ,  신해식 (우리나무영농조합법인) ,  김강성 (용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the leaves and stem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ith the aim of obtaining basic data for utilizing the plant as a food ingredient, as well as for processing. Methods: Leaves and stems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생지 지역 민간에서 식용과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인공 증식의 성공으로 활발한 연구가 가능해진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를 대상으로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물질 등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되었다.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 분석 결과 조회분, 조단백, 조지방 함량, fructose, glucose 등 당의 함량 및 ascorbic acid함량은 미선나무 줄기보다는 잎에서 더 높았다.
  • 미선나무의 잎과 줄기 부위 등을 소재로 한 체계적인 성분 규명은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식용식물의 개발과 더불어 세계 유일의 종인 미선나무가 우리나라 고유의 천연자원임을 알리는 기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선나무 잎과 줄기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을 분석하여 미선나무에 관한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며,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미선나무를 활용한 식품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더불어 미선나무 재료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시료의 유전 독성을 예측할 수 있는 염색체 이상 시험과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단회 경구 투여 독성실험을 실시함으로써 미선나무 재료의 안전성에 관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선나무란 무엇인가?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한국 특산식물이다.1) 자생식물은 자연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식물을 의미하는데, 특정 지역의 환경에 대한 높은 적응성과 생물학적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자생식물의 특징은 무엇인가?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한국 특산식물이다.1) 자생식물은 자연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식물을 의미하는데, 특정 지역의 환경에 대한 높은 적응성과 생물학적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2) 1917년 정태현박사가 충북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서 미선나무를 처음 발견하였고, 1924년 일본인 학자 이시토야 쓰토무[石戶谷勉]가 학계에 처음 보고하여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이라는 학명을 얻었다.
미선나무를 식품 소재로써 활용하기 위해 분석과 검증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미선나무의 유효성분에 관한 연구로는 미선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연구가12) 있으나, 꽃, 잎, 줄기 뿌리 등의 부위별 일반성분 및 기능성 성분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자생지 주변의 민간에서 미선나무의 추출물을 육류 및 가금류에 첨가하여 누린내를 없애고 육질을 부드럽게 하며, 생선조리의 비린내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등 식용으로 활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품 소재로써의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미선나무를 식품 소재로써 활용하기 위한 영양 및 기능성 성분 분석과 생리활성에 관한 과학적 검증이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Lee TB. E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in Korea. Bulletin of the Arboretum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3; 4: 71-113. 

  2. Kim EJ, Choi JW, Yu MR, Kim MY, Lee SG, Lee BH.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2012; 44(3): 337-342. 

  3. Lee TB. Conservation of threatened plants in Korea. Bulletin of the Arboretum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0; 3: 190-196. 

  4. Kim YS.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 tics of Abeliophyllum destichem Nakai populations in Korea. J Resource Development. 1998; 17(1): 67-81. 

  5. Jin YH, You JH, Cho HW, Lee CH. Flower col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eliophyllum spp. Kor Flower Res Soc. 2005; 13(2): 83-89. 

  6. Lee WT, Kil BS. The investigation on natural growth reg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Kor J Plant Tax. 1991; 21(1): 1-8. 

  7. Lim DO, Hwang IC, Choi HW, Kim YS.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roposal of Abeliophyllum distichum subpopulation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 J Environ Ecol. 2009; 23(2): 116-126. 

  8. Park CM, Park SH, Oh HK, Soh MS.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ethod of Abeliophyllum distichum new habitats in the Byeonsanbando. J Agric Life Sci. 2010; 41(2): 58-66. 

  9. Lee HY, Kim TG, Oh CH. Recently Augmented natural habitat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Yeoju-si, Gyunggi-do, Korea. Kor J Environ Ecol. 2014; 28(1): 62-70. 

  10. Yoo YK, Kim KS.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cutting conditions on rooting of softwood and semihardwood cutting in white forsythia. J Kor Soc Hort Sci. 1997; 38(3): 263-271. 

  11. Yoo YK, Kim KS. Germination inhibitors in the seed coat of white forsythia (Abeliophyllium destichum Nakai. J Kor Soc Hort Sci. 2001; 42(1): 6-10. 

  12. Park JH.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 on oxidative DNA damage of extracts from Abeliophylli distichi folium. Kor J Herbology. 2011; 26(4): 95-99. 

  13.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Washingto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Press; 2000. p.17-24. 

  14.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tive activity. J Agric Food Chem. 2002; 50: 3010-3014. 

  15. Nieva MMI,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2000; 71(1-2): 109-114. 

  16. Kim J, Jeong CH, Bae YI, Shim KH. Chemical component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Zanthoxylum piperitum leaves.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2000; 7(2): 189-194. 

  17. Jeong CH, Shim KH. Chemical components in leaf and Fruit stalk of Hovenia dulcis Thunb.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1999; 6(4): 469-471. 

  18. Kim JB, Cui CB, Lee DS, Ham SS. Ham SS. Studies on the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effect of leaves from Korean Rosa davurica Pall. Kor J Food Preserv. 2004; 1(1): 106-110. 

  19. Yoon KY, Hong JY, Shin SR.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Elaeagnus multiflora Thunb. leaves. Kor J Food Preserv. 2007; 14(6): 639-644. 

  20. Jeong CH, Hur JY, Shim KH.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leaves. Kor J Food Preserv. 2002; 9(1): 234-239. 

  21. Lee YS, Joo EY, Kim NW. Analysis on the components in stem of the Lespedeza bicolor. J Kor Soc Food Sci Nutr. 2005; 34(8): 1264-1250. 

  22. Lee OH, Lee HB, Lee JS, Son JY, Rhee SK, Kim HD, et al. Chemical properties of olive and bay leaves. J Kor Soc Food Sci Nutr. 2005; 34(4): 503-508. 

  23. Hur CH, Jeong Ch, Shim KH. Chemical components of Humulus Japonicus leaves and stalks. J Agric Life Sci. 2003; 37(1): 1-7. 

  24. Shin KK, Yang CB, Park H. Studies on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Perilla leaves (Pen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Kor J Food Sci Technol. 1992; 24(6): 610-615. 

  25. Byers T, Perry G. Dietary carotenes, vitamin C, and vitamin E as protective antioxidants in human cancers. Annu Rev Nutr. 1992; 12: 139-159. 

  26. Lee YJ, Ahn MS, Hong KH. A study on the content of general compounds, amino acid, vitamins, catechins, alkaloids in green, oolong and black tea. J Food Hygiene Safety. 1998; 13(4): 377-382. 

  27. Lee JS, Han GC, Han GP, Nobuyuki K.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Cudrania tricuspidat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7; 17(5): 696-702. 

  28. Park SK, Cho YS, Park JR, Chun SS, Moon JS. Non-volatile organic acids, mineral, fatty acids and fiber compositions in dolsan leaf mustard(Brassica juncea). J Kor Soc Food Nutr. 1993; 22(1): 53-57. 

  29. Wang Q, Kuang H, Su Yang, Sun Y, Feng J, Guo R, et al. Naturally derived anti-inflammatory compounds from Chinese medicinal plants. J Ethnopharmacol. 2013; 146(1): 9-39. 

  30. Pyo YH, Lee TC, Logendra L, Rogen RT.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Swiss chard extracts. Food Chem. 2004; 85(1): 19-26. 

  31. Elzaawely AA, Xuan TD, Koyama H, Tawata S. Antioxidant activity and contents of essential oil and phenolic compounds in flowers and seeds of A. zerumbet (Pers.). Food Chem. 2007; 104(4): 1648-1653. 

  32. Hertog M, Feskens E, Kromhout D. Antioxidant flavonols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Lancet. 1997; 349(9053): 699-705 

  33. Lee YS. Analysis of components in the different parts of Ailanthus altissima. Kor J Food Preserv. 2008; 159(2): 261-268. 

  34. Tian S, Wang Y, Nakamura k. Correlation of polyphenolics content to antioxidant activity of Forsythia Suspensa leaves. In: Shinshu University International Symposium. Matsumoto: Shinshu University Press; 2010. p.79-84. 

  35. Kim EJ, Choi JY, Yu MR, Kim MY, Lee SH, Lee BH.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2012; 44(3): 337-342. 

  36. Hong SG, Chung SG, Hyun SH. The micronucleus test of the diglyceride preparation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by using mice. J Kor Soc Food Sci Nutr. 2008; 37: 853-857 

  37. Kim SJ, Cho HW, Rim KT, Maeng SH, Kim HY. Bacterial reverse mutation test of 1,2,4-trimethylbenzene. J Environ Toxcol. 2006; 21: 317-3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