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 규제 태도 영향 요인에 대한 고찰: 제 3자 효과를 중심으로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Supports for Regulation Toward Girl Groups' Suggestiv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Third-person Effec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7, 2014년, pp.137 - 150  

이성준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두 가지 주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 영향력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 차원에서의 제 3자 효과가 실제로 발생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선정적인 퍼포먼스에 대한 지각적 편향이 선정적 퍼포먼스 규제 태도와 어떤 연관성을 지니는 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가 수용자가 지각하는 자기 자신, 주위 동료 및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력 정도의 차이를 검증하였고, 지각 정도의 차이가 규제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 모델과 가설을 수립하고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해서 최근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를 본 305명을 중심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 다중, 위계적 회귀 방법에 의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용자들은 선정적인 퍼포먼스가 자신과 동료, 그리고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력 정도가 다르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지각 정도가 규제지지 태도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중요 요소임이 증명되었다. 결과가 지니는 함의에 대해서도 토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two major purposes. First, this research empirically tests whether there are the impacts of the third-person effects on individuals' perceptions of the girl groups' suggestive performance.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ptual bias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2>는 부정적 영향력에 대한 지각적 편향이 실제로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에 대한 규제지지 태도와 어떤 연관성을 지니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자신과 동료 및 타인에 대한 영향력 중 어떠한 영향력 지각이 규제 지지에 영향을 주는 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 영향력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 차원에서의 제 3자 효과가 실제로 발생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 더불어 이러한 제 3자 효과 혹은 지각적 편향이 선정적 퍼포먼스에 대한 규제 지지 태도와 어떤 연관성을 지니는 지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개인의 제 3자 효과 정도 혹은 지각적 편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걸그룹의 선정적인 퍼포먼스 규제지지 태도와 또한 어떤 연관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 또한 세분화된 집단에 대한 영향력과 규제 지지와의 영향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표 4]와 같이 남자 동료에 대한 영향력(β = .
  • 이는 일반적인 미디어 수용자에게는 기본적으로 자기 스스로가 남들보다 더 합리적이라 생각하는 ‘자기 고양’과 같은 인지적 작동기제가 있는 것을 의미하는 바라 하겠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인지적 차원의 제 3자 효과가 실제 영향력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보다 규제 지지와 같은 사회적 개입을 찬성하는 주요 요인임을 실증하는 바라 하겠다.
  • 본 연구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선정적인 걸그룹의 퍼포먼스에 대한 제 3자 효과 및 이러한 제 3자 효과와 이에 대한 규제지지 태도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제 3자 효과를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인구 통계학적 특성, 자기 통제력, 미디어 이용 패턴이 제 3자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및 이들 요인들이 선정적인 퍼포먼스 규제지지 태도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의 결과와 그에 따른 함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 마지막으로 은 제 3자 효과의 크기와 방향성에 영향 가능성이 있는 인구 통계학적 특성, 자기 결정성 및 미디어 이용 패턴이 제 3자 효과가 어떻게 규제지지 태도와 연관되어 있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가 지닌 함의에 대해서도 논의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걸그룹 퍼포먼스의 선정성이 자주 제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러한 선정적인 퍼포먼스에 대한 영향력을 수용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지를 제 3자 효과 이론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선정적 퍼포먼스에 대한 규제 지지가 반드시 수용자의 객관적인 판단만을 통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아니라, 타인에 대한 편향된 지각에서도 얼마든지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증명함으로서, 선정적 퍼포먼스 관련 규제 논의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또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본 연구는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들의 선정적 퍼포먼스의 영향력에 대한 수용자들의 의식을 제 3자 효과(Third-Person Effect)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제 3자 효과란 미디어 메시지가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다른 정도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일종의 지각적 편향을 의미한다[9].
  • 본 연구는 걸그룹의 선정적인 퍼포먼스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의 부정적 영향력과 연관되어 수용자들의 인식 차원에서의 제 3자 효과가 실제로 발생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많은 선행 연구들[9][11][26][27]에서 실증했듯이 부정적 메시지로서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에 대해서 수용자들이 자신들에 비해 타인들이 더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는 지를 살펴본다.
  • 본 연구는 걸그룹의 선정적인 퍼포먼스의 제 3자 효과와 이에 따른 규제 태도를 검증하고자 2014년 3월 10일부터 1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중심으로 온라인 설문 전문 업체인 엠브레인(www.embrain.com)에 의뢰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는 전국에 거주하는 20대 남녀를 중심으로 각종 매체를 통해 최근 선정적인 걸그룹의 퍼포먼스를 본 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선정적인 걸그룹의 퍼포먼스에 대한 제 3자 효과 및 이러한 제 3자 효과와 이에 대한 규제지지 태도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제 3자 효과를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인구 통계학적 특성, 자기 통제력, 미디어 이용 패턴이 제 3자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및 이들 요인들이 선정적인 퍼포먼스 규제지지 태도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해 보았다.
  • )[40]의 연구에 따르면 안전운전캠페인 TV광고에 대해서 남성은 제 3자 효과를 보였지만, 여성은 오히려 역 3자 효과가 나타남을 발견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성별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요소가 제 3자 효과의 크기와 방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바라 할 수 있다.
  • 또한 결과론적으로 이러한 요소들은 지각적 편향 정도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이에 따른 결과로서 규제 태도와도 연관될 가능성이 높다[11].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걸그룹의 선정정인 퍼포먼스에 대한 제 3자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개인상황적 요인으로 성별, 교육 수준, 자기 통제력 및 미디어 이용 패턴을 정의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선정적인 퍼포먼스의 지각적 편향의 영향과 함께 이에 대한 규제지지 태도에 어떤 연관성을 지니는지 살펴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들을 제시한다.
  • 첫 번째는 자신보다 타인이 더 영향을 많이 받을 거라고 인지하는 지각적 편향이 여러 가지 상황 속에서 실재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두 번째는 이러한 지각이 과연 개인의 행동이나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를 연구한다. 연구자들에 따라서는 이를 제 3자 효과의 지각적 요소(Perceptual Component) 연구와 행위적 요소(Behavioral Component) 연구로 나누어 명명하기도 한다[30].
  • 선행 연구들[33-37]은 부정적 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제 3자 효과 혹은 부정적 영향력에 대한 지각적 편향은 실제로 이러한 메시지에 대한 규제지지 태도와 유의미한 연관성을 지닐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에 대해 단순 수용자들의 인식 차원에서의 제 3자 효과 혹은 지각적 편향이 실제로 발생하는 지를 살펴보는 것 외에 지각적 편향이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 규제지지 태도와의 연관성을 살펴본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제 3자에 대한 영향력이 크게 인지할수록 선정적 퍼포먼스에 대한 규제지지 정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 영향력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 차원에서의 제 3자 효과가 실제로 발생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 더불어 이러한 제 3자 효과 혹은 지각적 편향이 선정적 퍼포먼스에 대한 규제 지지 태도와 어떤 연관성을 지니는 지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개인의 제 3자 효과 정도 혹은 지각적 편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걸그룹의 선정적인 퍼포먼스 규제지지 태도와 또한 어떤 연관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 제 3자 효과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크게는 두 가지 문제에 초점을 가진다. 첫 번째는 자신보다 타인이 더 영향을 많이 받을 거라고 인지하는 지각적 편향이 여러 가지 상황 속에서 실재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두 번째는 이러한 지각이 과연 개인의 행동이나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를 연구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1: 수용자들은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에 대해 자신보다 주위 동료들이 더욱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지각할 것이다.
  • 가설 1-2: 수용자들은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에 대해 자신보다 타인들이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지각할 것이다.
  • 가설 1-3: 수용자들은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에 대해 주위 동료들보다 타인들이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지각할 것이다.
  • 기존 연구들은 제 3자 효과의 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로 타인과의 사회적 거리감을 제시하였으며, 부정적인 메시지에 있어 사회적인 거리감이 클수록 제 3자 효과는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주장해왔다[26][33][38].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도 응답자들이 부정적 메시지에 있어 자기 자신이 가장 적은 영향을 받고, 자신과 상대적으로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주위 동료들이 그 다음, 그리고 사회적인 거리가 더 먼 주위 동료들을 제외한 일반 타인들이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가설들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 3자 효과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들의 선정적 퍼포먼스의 영향력에 대한 수용자들의 의식을 제 3자 효과(Third-Person Effect)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제 3자 효과란 미디어 메시지가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다른 정도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일종의 지각적 편향을 의미한다[9].
충분한 인지도와 유명세를 누리지 못했던 걸그룹들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선정성 논란의 대표적인 예로 무엇이 있는가? 특히, 그 동안 충분한 인지도와 유명세를 누리지 못했던 걸그룹들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지나친 섹시 퍼포먼스 경쟁 양상은 선정성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대표적으로, 4인조 걸그룹 ‘스텔라’가 2014년 1월에 공개한 ‘마리오네뜨’ 뮤직 비디오는 멤버의 가슴골로 우유가 흘러가는 등의 성인방송에 준하는 노골적인 묘사로 걸그룹 선정적 안무와 영상에 대한 규제 논의를 촉발시켰다[5].
한국방송개발원의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선정성은 무엇이라 정의되었는가? 또한, 미디어 선정성과 관련된 많은 기존의 많은 연구들의 경우 ‘선정성’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의 없이 혹은 연구자들마다 상이한 개념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17]. 예를 들어, 한국방송개발원의 연구 보고서[19]에 따르면, 선정성은 성적 욕구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대상물의 속성으로 정의되었다. 반면 이기웅과 박웅진[20]은 성적 동작이나 시각적 자극이 지나치게 상품화되고 흥밋거리로만 묘사되는 경우를 ‘선정성’ 으로 정의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김영찬, 오현주, "'아이돌 장르'의 부상에 따른 아이돌 스타덤 연구: KBS 드라마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6호, pp.125-161, 2011. 

  2. 정소하, 유영선, "K-Pop 걸그룹의 패션에 나타난 이미지 연출 특성에 대한 분석", 복식, 제63권, 제2호, pp.98-109, 2013. 

  3. 김수경, "여성 아이돌 그룹 의상의 특성", 한국디자인포럼, 제33권, pp.329-342, 2011. 

  4. 김수아, "소녀 이미지의 볼거리화와 소비 방식의 구성: 소녀 그룹의 삼촌 팬 담론 구성",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5호, pp.79-119, 2010. 

  5.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262774 

  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793316 

  7.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I71&newsid01341526606020040&DCDA407&OutLnkChkY 

  8. 박수경, 최명일, 정은정, "소셜테이너 활동 관련 보도와 제3자 효과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제85호, pp.135-163, 2013. 

  9. W. P. Davison, "The Third Person Effect in Communication," Public Opinion Quarterly, Vol.47, pp.1-15, 1983. 

  10. 유홍식, "악성 댓글에 대한 제 3자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5호, pp.238-278, 2010. 

  11. 정재민, "대부업 광고에 대한 제 3자 효과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6호, pp.111-134, 2007. 

  12. 하승태, 이정교,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와 비보 호시간대의 TV 선정성 수준 비교: 등장인물의 인구학적, 사회관계적, 언어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4호, pp.133-157, 2009. 

  13. S. Martino, R. L. Collins, M. N. Elliot, A. Strachman, D. N. Kanouse, and S. H. Berry, "Exposure to Degrading Versus Nondegrading Music Lyrics and Sexual Behavior among Youth," Pediatrics, Vol.118, No.2, pp.430-441, 2006. 

  14. 이세용, "인터넷과 청소년의 성의식", 정보와 사회, 제2권, pp.154-182, 2000. 

  15. 이성식, "청소년 인터넷음란물 접촉이 성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조건적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1권, 제2호, pp.22-45, 2000. 

  16. D. Linz, E. Donnerstein, and S. Penrod, "The Effect of Multiple Exposure to Filmed Viloence against Wome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4, pp.130-147, 1984. 

  17. 한균태, 차동필, 최수진, "포르노마? 공중파와 케이블 자체제작 드라마의 선정성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3집, 제3호, pp.252-282, 2007. 

  18. 하승태, 박범길, 이정교, "한국 지상파 텔레비전에 나타난 선정성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1호, pp.73-112, 2010. 

  19. 송경희, 방송프로그램 등급체제 마련을 위한 수용자 연구, 한국방송영상진흥원, 1997. 

  20. 이기현, 박웅진, 텔레비전 모니터 보고서 99-2, 한국방송영상진흥원, 1999. 

  21. 이대식, 국내 뮤직비디오 표현양식에서의 선정성 및 폭력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2. 김형지, 윤영민, "청소년 대상 음악프로그램의 선정성 연구: 지상파 방송 3사를 중심으로", 제25권, 제5호, pp.49-88, 2011. 

  23. A. C. Gunther, "Overrating the X-Rating: The Third-Person Perception and Support for Censorship of Pornography,"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5, No.1, pp.21-39, 1995. 

  24. 양승목, "여론조사와 제 3자효과: 여론조사의 영향에 대한 국회의원의 지각적 편향을 중심으로", 언론과사회, 제18호, pp.6-28, 1997. 

  25. 한균태, 차동필, "금연광고와 제 3자 효과: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56호, pp.263-286, 2002. 

  26. 김인숙, "연예인 자살보도와 제 3자 효과: 언론의 연예인 자살보도에 대한 태도, 미디어 이용, 미디어 규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3호, pp.5-36, 2009. 

  27. 윤태일, 심재철, 글렌 레슈너, "안티 사이트의 제3자 효과: 타인반응에 대한 지식과 동의수준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1호, pp.31-55, 2003. 

  28. 한미정, 김종은, "미디어 효과 지각과 광고규제 및 보도강화에 대한 태도: 음주, 흡연, AIDS이슈에 대한 제 3자 효과, 제1자 효과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58권, pp.301-328, 2004. 

  29. 유홍식, "인터넷게임에 대한 제3자 편향적 지각과 규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2호, pp.333-364, 2011. 

  30. W. Peiser and J. Peter, "Third-Person Perception of Television-Viewing Behavior,"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0, No.1, pp.25-43, 2000. 

  31. 양승찬, "제 3자 효과 가설과 침묵의 나선 이론의 연계성-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제 3자 효과 지각과 공개적 의견 표명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3권, 제2호, pp.109-141, 1998. 

  32. 김옥태, 김규찬, "언론의 신종플루 보도가 대학생의 예방위생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 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6호, pp.344-367, 2010. 

  33. D. M. McLeod, W. P. Eveland, and A. I. Nathanson, "Support for Censorship of Violent and Misogynic Rap Lyrics: An Analysis of the Third-Person Effect," Communication Research, Vol.24, No.2, pp.153-174, 1997. 

  34. 탁진영, "과장광고의 설득효과와 제 3자 효과: 규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1호, pp.398-441, 2010. 

  35. 이병관, 백혜진, 김봉철, "광고에서 유명인 모델의 부정적 정보와 유명인 모델 광고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광고주의 지각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65호, pp.147-169, 2004. 

  36. 송경희, 이수영, "외국위성방송 수신과 제3자 효과", 한국방송학보, 제10권, pp.229-256, 1998. 

  37. D. V. Shah, R. J. Faber, and S. Youn, "Susceptibility and Severity: Perceptual Dimensions Underlying the Third-Person Effect," Communication Research, Vol.26, No.2, pp.240-267, 1999. 

  38. 박신영,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제 3자 효과",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6호, pp.290-331, 2011. 

  39. W. Eveland, A. Nathason, B. Detender, and D. M. McLeod, "Rethinking the Social Distance Corollary-Perceived Likelihood of Exposure and the Third-Person Percep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26, No.3, pp.275-302, 1999. 

  40. I. Lewis, B. Watson, and R. Tay,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Threats in Road Safety Advertising: The Role of the Third-Person Effect, Gender, and Ag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Traffic Psychology and Behavior, Vol.10, pp.48-60, 2007. 

  41. 차동필, "신종 조류독감 보도에 대한 제 3자 효과 연구", 홍보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88-211, 2014. 

  42. 안세근, 조정희,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 통제력과의 연구", 한국교육논단, 제6권, 제2호, pp.87-103, 2007. 

  43. 주정민, "인터넷 포르노그래피의 이용과 지각적 편향",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4호, pp.563-603, 2005. 

  44. 박재영, 김세은, "열독신문에 대한 비판이 독자의 신뢰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5호, pp.295-318, 2004. 

  45. M. Gottfredson and T. Hirschi. A General Theory of Crime, Palo Alto: Standford University Press, 1990. 

  46. 심재웅, "포르노그래피 이용이 성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6호, pp.167-188, 2008. 

  47. 홍종필, 이시연, "잡지 속의 신체 이미지 광고에 대한 노출이 20대 여성의 기분과 신체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젠더&문화, 제4호, pp.72-118, 2005. 

  48.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스마트세대 20대의 미디어 이용 행태, KISDI stat report, 2013. 

  49. 올리버 브라이언트, 김춘식,양승찬, 이강형 역, 미디어 효과 이론, 나남,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