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살예방을 위한 인식개선 캠페인의 국가 간 비교: 뉴질랜드·미국·아일랜드·스코틀랜드·호주 및 대한민국의 캠페인 전략 및 내용 분석
Cross-National Comparison of Public Awareness Campaigns for Suicide Prevention: Analysis of Campaign Strsategies and Contents of New Zealand, USA, Ireland, Scotland, Australia, and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7, 2014년, pp.253 - 270  

송인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보건.보건복지연구실) ,  권세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보건.보건복지연구실) ,  김정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보건.보건복지연구실) ,  유정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보건.보건복지연구실) ,  박장호 ,  김리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보건.보건복지연구실) ,  김우식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  김현지 (일산백병원) ,  김현진 (대전복지재단) ,  김지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보건.보건복지연구실) ,  안상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보건.보건복지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살예방을 위한 인식개선 캠페인은 국가적 자살예방대책의 핵심사업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자살예방 국가전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뉴질랜드 미국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호주의 5개국과 우리나라의 캠페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미국 보건복지부가 제시한 보건커뮤니케이션 캠페인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각국의 캠페인을 (1) 목표의 명확성, (2) 표적화 전략의 적절성, (3) 메시지 전략의 적합성, (4) 이행의 효율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해외 캠페인들의 공통적 요소로 (1) 분명한 목표가 포함된 캠페인 명칭, (2) 사회 맥락을 고려한 캠페인 대상의 표적화, (3) 구체적인 행동지침을 포함한 슬로건, (4) 정부와 민간의 유기적 협력이 발견되었다.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 캠페인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략적 체계를 갖추고, 구체적인 대상에게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대중적인 매체를 활용하고, 민간 및 지방조직과의 유기적 협력을 강화하며, 체계적인 효과성 평가를 병행할 것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blic awareness campaign is the core factor of the national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Korea's current campaign needs to be more systematically developed. This study analyzed the national-level campaigns for suicide prevention of New Zealand, USA, Ireland, Scotland, and Australia whose campaig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이란 무억인가요? 자살예방 인식개선 캠페인은 자살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공공커뮤니케이션(public communication) 캠페인의 한 형태이다. 공공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이란 “다수의 개인들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특정 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 미디어와 메시지, 그리고 일련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활용하는 것”[10]을 의미한다. 즉, 자살예방 인식개선 캠페인의 개념을 다시 정리해보면, “다수의 사람들이 자살예방과 관련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이끄는 메시지를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이다.
자살예방 인식개선 캠페인이란 무엇인가요? 공공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이란 “다수의 개인들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특정 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 미디어와 메시지, 그리고 일련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활용하는 것”[10]을 의미한다. 즉, 자살예방 인식개선 캠페인의 개념을 다시 정리해보면, “다수의 사람들이 자살예방과 관련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이끄는 메시지를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이다.
자살예방 인식개선 캠페인은 어떠한 특성을 갖추어야 하나요? 첫째, 광범위한 궁극적 목표는 물론, 명확한 실천적 과제가 설정되어야 한다. 문제 상황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토대로, 자살예방 미디어캠페인을 통해 이끌어내고자 하는 변화가 무엇인지 정하고, 측정가능한 성과 목표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표적화 전략을 적절히 구사해야 한다. 공공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특성상 불특정 다수가 대상이 될 수 밖에 없지만, 메시지가 전달될 필요가 있는 주요 대상을 파악해 그들과 관련된 정보를 가능한 한 많이 확보하여야 한다. 또, 그들에게 메시지가 보다 잘 전달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셋째, 메시지 전략이 목표와 표적 집단에 적합해야 한다. 표적 집단에 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그들이 자살예방과 관련된 구체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와 행동지침을 제시하는 메시지를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메시지가 얼마나 많이 노출되느냐가로 캠페인의 결정적인 요소인 만큼, 표적 집단에게 가장 적절한 소통매체를 고려하여야 한다[17]. 넷째, 캠페인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민관, 혹은 중앙-지방 조직간의 파트너십이 유기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해야만 효과적인 캠페인 전략을 세울 수 있고, 캠페인이 실제 개입 프로그램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대인 접촉이 가능한 지역사회 전문가 조직들과의 튼튼한 유대가 필요하다. 또, 캠페인 시작 단계에서부터 체계적인 효과성 평가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공커뮤니케이션 캠페인과 같은 비영리 프로그램에 있어서 효과성 평가는 예산 투입에 따른 책무성 이행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며, 캠페인의 지속이나 수정·보완의 근거로서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http://www.who.int/mental_health/prevention/suicide/suicideprevent/en 

  2. WHO, Public Health Action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A Framework, Geneva: WHO Press, 2012. 

  3. 한균태, 마정미, "국내 공중건강 캠페인 메시지의 구성요인에 대한 연구", 광고연구, 제47호, pp.7-35, 2000. 

  4. 송인한, 권세원, 김정수, 유정원, 박장호, 김리자, 김우식, 김현지, 김현진, 김지은, 안상민, 자살예방 미디어 캠페인 국가간 비교 연구: 뉴질랜드. 미국.아일랜드.영국.호주 및 대한민국의 캠페인 전략 및 평가 분석,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건복지부 연구비 지원, 2012. 

  5. H. Dumesnil and P. Verger, "Public Awareness Campaigns About Depression and Suicide: A Review," Psychiatric Services, Vol.60, No.9, pp.1203-1213, 2009. 

  6. E. Jenner, L. W. Jenner, M. Matthews-Sterling, J. K. Butts, and T. E. Williams, "Awareness Effects of a Youth Suicide Prevention Media Campaign in Louisiana,"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40, No.4, pp.394-406, 2010. 

  7. 유현재, 임재성, 김인기, "자살예방웹사이트에 활용되는 메시지와 모델의 효과성 연구", 광고PR연구, 제6권, 제1호, pp.109-113, 2013. 

  8.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aking Health Communication Programs Work, 2002. http://www.cancer.gov/cancertopics/cancerlibrary/pinkbook/Pink_Book.pdf 에서 인출. 

  9. J. Mann, A. Apter, J. Bertlolte, A. Beautrais, D. Currier, and A. Haas,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294, No.16, pp.2064-2074, 2005. 

  10. J. Coffman, Public Communication Campaign Evaluation, Cambridge:Harvard Family Research Project, 2002. 

  11. 김재휘, 김희연, 부수연,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공공캠페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해석수순이론에 따른 메시지 구성과 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거리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3권, 제1호, pp.183-205, 2012. 

  12. 권중록, "공익광고캠페인 주제와 수용자 비용 및 유익성과의 관계: 인구통계학 변수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5권, 제1호, pp.5-42, 2005. 

  13. 김형수, 허평화, "노인자살예뱡전략에 대한 모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3호, pp.309-317, 2011. 

  14. 임현빈, "공익광고에서 은유표현형태에 따른 효과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11호, pp.190-201, 2006. 

  15. 유현재, 조은선, 안선희, "공익광고에 활용되는 자살예방메시지 정교화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춘계학술세미나 자료집, pp.24-30, 2011. 

  16. U.S. Suicide Prevention Resource Center, "Safe and Effective Messaging for Suicide Prevention," Suicide Prevention Resource Center, 2006. 

  17. S. Durkin, E. Brennan, and M. Wakefield, "Mass media campaign to promote smoking cessation among adults: An integrative review," Tobacco Control, Vol.21, No.2, pp.127-138, 2012. 

  18. T. Matsubayashi and M. Ueda, "The effect of national suicide prevention programs on suicide rates in 21 OECD nation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73, No.9, pp.1395-1400, 2011. 

  19. 보건복지가족부, 제2차 자살예방종합대책(2009-2013), 보건복지가족부, 2008. 

  20. Health Service Executive of Ireland, National Office for Suicide Prevention Annual Report, Dublin; National Office for Suicide Prevention, 2010. 

  21. http://www.yourmentalhealth.ie 

  22. http://www.likeminds.org.nz 

  23. Ministry of Health, New Zealand Suicide Prevention Strategy 2006-2016, Wellington: Ministry of Health, 2006. 

  24. Ministry of Health, Like Minds, Like Mine National Plan 2007-2013: Programme to Counter Stigma and Discrimination Associated with Mental Illness, Wellington: Ministry of Health, 2007. 

  25. National Office for Suicide Prevention, Annual Report 2009: Even in these difficult times our individual and collective efforts will make a difference, Dublin: National Office for Suicide Prevention, 2009. 

  26. National Office for Suicide Prevention, Annual Report 2010: We are hearing from many organizations not traditionally involved in suicide prevention...Many are seeking advice, training and support. Suicide prevention is becoming everyone's responsibility because it now impacts on everyone, Dublin: National Office for Suicide Prevention, 2010. 

  27. J. Nearn, R. Lewis, and G. Martin, Measuring the Impact of R U OK? Day Suicide Prevention Message, The Annual National Suicide Prevention Conference(Sydney), 2012. 

  28. New Zealand Ministry of Health, Suicide Facts: Deaths and intentional self-harm hospitalizations, Manatu Hauora: Ministry of Health, 2010. 

  29. Press Data Ltd, 'Suicide. Don't hide it. Talk ab out it' Choose Life National TV Campaign MEDIA EVALUATION, 2010. http://www.chooselife.net/uploads/documents/27-mediaEvaluati onReportNationalTVCampaign2010.pdf 에서 인출. 

  30. The Scottish Government, Evaluation of the First Phase of Choose Life, Edinburgh: The Scottish Government, 2006. 

  31. http://www.suicidepreventionlifeline.org 

  32.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 National Action Alliance for Suicide Prevention, National Strategy for Suicide Prevention: Goals and Objectives for Actions,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2. 

  33. Ministry of Health, New Zealand Suicide Prevention Action Plan 2008-2012: Second progress report, Ministry of Health, 2011. 

  34.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OECD Health Data 2013, 보건복지부, 2013. 

  35. G. M. G. McClure, "Changes in suicide in England and Wales, 1960-1997,"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76, pp.64-67, 2000. 

  36. NHS Health Scotland, Suicide statistics in Scot land, http://www.chooselife.net/Evidence/statisticssuicideinscotland.aspx 에서 인출. 

  37.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and Ageing, Living Is For Everyone (LIFE) Framework (2007): A framework for prevention of suicide in Australia, Commonwealth of Australia, 2008. 

  38. 원시연, 자살예방대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현안보고서, 2011. 

  39. 중앙자살예방센터, 2012년 중앙자살예방센터 연간보고서, 중앙자살예방센터, 2013. 

  40. R. Brown, J. Howearth, and A. Wyllie, Impacts of National Media Campaign to Counter Stigma and Discrimination Associated with Mental Illness, Survey 11: Initial Response to Fifth Phase of Campaign, Ministry of Health, 2011. 

  41. National Office for Suicide Prevention, Annual Report 2007: Reducing suicide requires a collective, concerted effort from all groups in society, National Office for Suicide Prevention, 2007. 

  42. Scottish Executive, Choose Life: A National Strategy and Action Plan to Prevent Suicide in Scotland, Scottish Executive, 2002. 

  43. MediaCom Explore, Choose Life Campaign Spotlight Post-Campaign Results, NHS Health Scotland, 2010. http://www.chooselife.net/uploads/documents/39-evaluationMediaCampaign2010.pdf 에서 인출. 

  44. 서미경, "2005년 정부 주도 금연홍보캠페인 현황 및 평가",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보건교육, pp.4-28, 2006. 

  45. 보건복지부.한국자살예방협회, 2011 대한민국 자살현황연간보고서, 보건복지부, 2011. 

  46. 중앙자살예방센터, 자살예방 공익광고 인지도 및 인식변화 조사보고서, 중앙자살예방센터, 2012. 

  47. 김성종,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310-321,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