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오프라인 브라우징에 따른 소비자 집단의 쇼핑성향과 구매행동 연구
Consumer's Shopping Orientation and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On/Offline Browsing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8 no.3, 2014년, pp.321 - 333  

이영선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고순화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grouped on/offline browsing consumer types according to on/offline browsing consumer behavior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shopping orientation, impulse buying, and fashion goods expenditure ratio in on/offline markets based on on/offline browsing types. Data were obtained from 37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점포 하나만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의 브라우징 행동을 규명하였으며, 또한 멀티채널 소비자의 쇼핑행동을 정보탐색 단계와 구매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의 이용채널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브라우징 행동에 대한 실증연구는 미흡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온/오프라인 정보탐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온/오프라인에서 브라우징을 하는 소비자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소비자를 온/오프라인 브라우징 정도에 따라 유형화하여 각 유형별 인구통계적 특성, 소비자들의 쇼핑성향, 충동구매, 온/오프라인 구매금액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온/오프라인 브라우징 군집별 소비자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기업에 세분시장별 적합한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점포 하나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므로 멀티채널 이용소비자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온/오프라인 두 점포를 동시에 브라우징하는 소비자 행동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오프라인 브라우징을 패션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특정한 계획 없이 정보 혹은 재미나 기분전환을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쇼핑몰을 방문하는 행위로 간주하여 온/오프라인 점포를 브라우징하는 소비자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 다.
  • 현재까지 연구되어온 의복구매행동의 변인들을 살펴보면 구매동기, 정보탐색, 의복평가기준, 구매처, 구매시기 및 상황, 구매빈도, 구매가격 및 지불방법, 의복행동 및 불평행동 등 매우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Ko & Koh, 2009). 멀티채널과 관련해서는 제품구매 시 멀티채널 이용과 총 구매횟수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Joo, 2008) 본 연구 에서는 구매행동변수로 온/오프라인 평균 구매금액비율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비자를 온/오프라인 브라우징 정도에 따라 유형화하여 쇼핑성향, 충동구매, 구매금액비율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소비자의 멀티채널 브라우징 정도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하여 인구통계적 특성, 패션제품 쇼핑 성향, 충동구매와 온/오프라인 평균 구매금액비율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온/오프라인 두 채널을 병행하여 브라우징을 하는 소비자들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멀티채널 이용소비자들의 정보탐색행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온/오프라인 정보탐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온/오프라인에서 브라우징을 하는 소비자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소비자를 온/오프라인 브라우징 정도에 따라 유형화하여 각 유형별 인구통계적 특성, 소비자들의 쇼핑성향, 충동구매, 온/오프라인 구매금액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온/오프라인 브라우징 군집별 소비자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기업에 세분시장별 적합한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선행연구에서 의복쇼핑성향 하위차원들이 다양하게 도출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Kim(2003)의 연구를 참고하여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경제적 차원, 쾌락적 차원, 편의적 차원과 인터넷 쇼핑성향 연구를 참고하여 멀티채널 이용소비자들의 쇼핑성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2-1. 유형화된 소비자 브라우징 집단별 인구 통계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라우징이란 무엇인가? 소비자들의 정보탐색행동은 목적이 있는(goal-directed) 행동과 탐색적 행동(exploratory search)으로 구분된다. 목적적 행동은 특정한 혹은 계획된 행동을 말하는 반면, 탐색적 행동은 구매에 대한 계획 없이 정보적 혹은 오락적 목적을 위해 방문/쇼핑경험 그 자체를 즐기는 것으로 (Bloch et al., 1986) 이러한 탐색유형을 브라우징 또는 지속적 탐색(on-going search)이라 한다(Moe, 2003).
Kim(2011)의 연구에서 의류제품 웹 브라우징을 어떻게 분류하였는가? 인터넷 맥락에서 살펴보면 Kim(2011)의 연구에서 의류제품 웹 브라우징은 쾌락적 브라우징, 정보적 브라우징, 여가적 브라우징으로 분류되었고, 브라우징은 방문자를 구매로 유도하는데 중요한 탐색단계임을 제안하고 있다. Park(2000)의 연구에서 인터넷 브라우징의 효용적 가치가 높을수록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의 방문빈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loch et al.(1989)은 브라우저들이 어떠한 이유로 연구자들과 마케터들에게 흥미롭다고 제안하였는가? (1989)은 브라우저들은 몇몇 이유에서 연구자들과 마케터들에게 흥미롭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첫째, 소비자는 점포 내의 판매촉진과 새로운 상품의 노출 때문에 특정한 구매계획 없이 비계획구매를 할 수 있다. 둘째, 브라우징하는 동안 획득된 제품, 브랜드, 점포에 대한 정보는 문제가 인지된 후 다른 날 구매를 촉진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소비자 그룹은 구전활동으로 다른 사람들의 구매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nother growth opportunity 'Multi-channel Distribution Strategy'. (2008, October 7). Economychosun. Retrieved March 12, 2013, from http://www.economychosun.com/special/special_view_past.php?boardNameC05&t_num3360&myscrap&img_ho48 

  2. Beautty, S. E., & Ferrell, M. E. (1998). Impulse buying: Modelling its precursors. Journal of Retailling, 74, 169-191. 

  3. Bellenger, D. N., Robertson, D. H., & Hirschman, E. C. (1978). Impulse buying varies by product.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8(6), 15-18. 

  4. Bloch, P. H., Ridgway, N. M., & Sherrell, D. L. (1989). Extending the concept of hopping: An investigation of browsing activity.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7(1), 13-21. 

  5. Bloch, P. H., Sherrell, D. L., & Ridgway, N. M. (1986). Consumer search: An extended framework.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1), 119-126. 

  6. Choi, J., & Rha, J. Y. (2012). How do consumers search for information in multi-channel environment?: Consumer typology based on their choice of information channe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3(2), 135-164. 

  7. Choi, J. Y. (2004). Consumer multichannel choice behavior in the information search and purchasing stag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5(4), 103-120. 

  8. Chung, H. Y. (2001). A study on apparel store browser's browsing motives, shopping leadership and preferred store attribut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1), 86-99. 

  9. Darden, W. R., & Howell, R. D. (1987). Socialization effects of retail work experience on shopping orientation.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5(3), 52-63. 

  10. Gutman, J., & Mills, M. K. (1982). Fashion life style, self concept,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patronage: An integrated analysis. Journal of Retailing, 58(2), 64-86. 

  11. Hwang, J. S., & Joung, J. H. (2005). The internet and TV home-shopping perceived risk segments: Shopping orientation,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5), 637-648. 

  12. Jang, J. I. (2004). Selection of on-line and/or off-line channels of the consumers during the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appar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Jarboe, G. R., & McDaniel, C. D. (1987). A profile of browsers in regional hopping mal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5(1), 46-53. 

  14. Jeon, J. O. (1998). An empirical study on the measurement & influence variables of impulse buying.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3(1), 135-160. 

  15. Jeon, Y. J., & Sung, H. W. (2008). How do internet fashion shoppers and non-shoppers differ?-Emphasis on their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and shopping site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9), 1387-1396. 

  16. Joo, Y. H. (2008). The emperical study of the multichannel shopping on customer retailer loyalty.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23(4), 1-22. 

  17. Kim, E. Y. (2011). Effects of web browsing motivation and retail strategy on purchase conversion behavior for apparel. Korean Journal of Ecology, 20(4), 849-860. 

  18. Kim, S. H. (2003). Development of conceptual structure and measurement scale fo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Kim, S. H. (2009). The differences i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shopping behaviors by the multi-store selection of internet and offline sto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5), 764-774. 

  20. Kim, S. H., Park, G. Y., & Park, H. J. (2007). Factors influencing buyer's choice of online vs. offline channel at information search and purchase stages. Journal of Channel and Retailing, 12(3), 69-90. 

  21. Kim, S. H., & Rhee, Y. S.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 leadership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pping-related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1), 162-172. 

  22. Kim, S. S., & Rhee, E. Y. (2003). The study about apparel shopping behavior types of internet shopp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9/10), 1036-1047. 

  23. Ko, S. J., & Koh, A. R. (2009) A study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s as related to the fashion lifestyle of the new generation of indian women living in Mumba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0), 1590-1600. 

  24. Ko, S. Y. (2008). An exploratory study categorizing types of unplanned buying-by means of the purchasing decisionmaking process for clothing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9(3), 147-162. 

  25. Kumar, R. V., & Ravishanker, N. (2007). Multichannel shopping: Cause and consequences. Journal of Marketing, 71(2), 114-132. 

  26. Kumar, V., & Venkatesan, R. (2005). Who are the multichannel shoppers and how do they perform? correlates of multi-channel shopping behavior.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19(2), 44-62. 

  27. Lee, H. J., & Kim, S. M. (2006).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impulse purchase of clothing product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6), 917-931. 

  28. Lim, H. J., & Hong, K. H. (2004). A study on information search and impulse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internet clothing shopping mot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8), 1065-1075. 

  29. Lim, S. J. (1992).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of korean college women: Concentrating on the clothing behavioral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0. Lumpkin, R. J., & Greenberg, B. A. (1982). Apparel-shopping patterns of the elderly consumer. Journal of Retailing, 58(4), 68-69. 

  31. Moe, W. W. (2003). Buying, searching, or browsing: Differentiating between online shoppers using in-store navigational clickstream.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3(1/2), 29-39. 

  32. Na, Y. K., & Suh, H. S. (2008). A study on-line consumer's shopping propensity and satisfaction based on apparel product attributes and price attribut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0(2), 164-172. 

  33. National Internet Shopping Market Analysis and Forecasts. (2004, May).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Retrieved April 9, 2013, from http://www.kisdi.re.kr/kisdi/fp/kr/publication/selectResearch.do?cmdfpSelectResearch&sMenuType3&controlNoSer3&controlNo8337&langdiv1 

  34. Park, C. (2000). The internet navigation value and internet shopping behavior.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15(1), 143-162. 

  35. Park, E. J. (2005). Mediating effects of browsing on impulse buy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9/10), 1340-1348. 

  36. Park, E. J., Kang, E. M., & Ha, M. J. (2005). A study o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environments and purchase intention by shopping orient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4), 564-575. 

  37. Rook, D. W., & Gardner, M. P. (1993). In the mood: Impulse buying's affective antecedents. Research in Consumer Behavior, 6(1), 1-28. 

  38. Shim, S., & Kptsiopulos, A. (1992). Patronage behavior of apparel shopping: Part 1. shopping orientations, store attributes, information sourc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2), 48-57. 

  39. Shopping Channel the per capita average 4.5 "Now, Nontrend is trend". (2014, January 3). MKnews. Retrieved January 3, 2014,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3838 

  40. Sin, H. S. (2006). (A) Study on the methods in terms of design aspect for revitalization of ecological riverfront sp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41. Tomas, J. S., & Sullivan, U. Y. (2005). Managing marketing communications with multichannel customers. Journal of Marketing, 69(4), 239-251. 

  42. Wallace, D. W., Giese, J. L., & Johnson, J. L. (2004). Customer retailer loyalty in the context of multiple channel strategies. Journal of Retailing, 80(4), 249-263. 

  43. Wansink, B. (1994). The dark side of consumer behavior: Empirical examinations of impulsive and compulsiv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1(1), 508. 

  44. Yoon, S. J., & Lee, D. H. (2008). An experiential approach to the determinants of impulse buying based on store type. Journal of Channel and Retailing, 13(3), 1-25. 

  45. Youn, S., & Faber, R. F. (2000). Impulse buying its relation to personality traits and cu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7, 179-185. 

  46. 2013 Internet access Survey Summary Report. (2013, December 13). 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 Retrieved January 2, 2014, from http://isis.kisa.or.kr/board/index.jsp?pageId040100&bbsId7&itemId797&pageIndex1 

  47. 2013 View retailing research. (2013, November 6). The coamber of commerce & industry. Retrieved March 5, 2013, from http://www.korcham.net/EconNews/KcciReport/CRE01102R.asp?m_menu&m_DataID20120925327&m_chamcdA001&m_query&m_queryText&m_page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