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액상법을 이용한 구상의 Sr4Al14O25:Eu2+ 형광체의 합성 및 발광 특성
Preparation and Luminescence Properties of Spherical Sr4Al14O25:Eu2+ Phosphor Particles by a Liquid Synthesis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4 no.7, 2014년, pp.351 - 356  

이정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본부) ,  최성호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본부) ,  남산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정하균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pherical $Sr_4Al_{14}O_{25}:Eu^{2+}$ phosphor for use in white-light-emitting diodes was synthesized using a liquid-state reaction with two precipitation stages. For the formation of phosphor from a precursor, the calcination temperature was $1,100^{\circ}C$. The particle 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형광체 입자를 두 단계의 침전 반응으로 이루어진 액상법에 의해 구상으로의 합성을 시도하였다. 또한 근자외선 여기 하에 고상법으로 제조된 형광체와 발광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구형의 형광체를 사용한 LED 칩을 제작하여 응용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청록색을 발광하는 Sr4Al14O25:Eu2+ 형광체 입자를 두 단계의 침전 반응으로 이루어진 액상법에 의해 구상으로의 합성을 시도하였다. 또한 근자외선 여기 하에 고상법으로 제조된 형광체와 발광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구형의 형광체를 사용한 LED 칩을 제작하여 응용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 측정 장비는 Rigaku사의 CuKα radiation D/MAX-2200으로 40 kV와 40 mA의 측정 조건을 적용하였다. 온도에 따른 침전물의 열적 거동을 TGA Q500 TG/DTA 장비를 이용해 공기 분위기에서 5 ℃/min의 승온 조건 하에 분석하였다. 형광체의 입자 형상을 관찰하기 위해 TERACAN사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현미경(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Mira 3 LMU FEG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ELS-Z Plus를 통해 입자의 크기 및 분포도를 측정하였다.
  • 제조된 형광체의 전계 발광 특성은 형광체 변환 LED로 실장하여 관찰하였다. 형광체 0.
  • 측정 장비는 Rigaku사의 CuKα radiation D/MAX-2200으로 40 kV와 40 mA의 측정 조건을 적용하였다.
  • 합성된 형광체에 대해 근자외선 LED 칩 실장에 의한발광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구형의 Sr3.8Al14O25:0.2Eu2+ 형광체와 390 nm의 근자외선 LED 칩을 이용해 형광체 변환 LED를 제작하였다. LED를 5-170 mA의 범위로 전류를 인가했을 때 나타나는 전계 발광 스펙트럼을 Fig.
  • 제조된 형광체의 전계 발광 특성은 형광체 변환 LED로 실장하여 관찰하였다. 형광체 0.1 g을 에폭시(Dowhitech Co., EG6301A)와 경화제(EG6301B)가 1 : 1 부피비로 혼합된 0.2 ml의 결합 수지와 함께 혼합하고 LED 칩 위에 봉지하여 160℃에서 12시간 동안 소성시켜 LED 칩을 제작하였다. 형광체 변환 LED 또한 동일한 장비를 이용하여 인가 전류 변화에 따른 발광 강도를 적분구 내에서 관찰하였다.
  • 2 ml의 결합 수지와 함께 혼합하고 LED 칩 위에 봉지하여 160℃에서 12시간 동안 소성시켜 LED 칩을 제작하였다. 형광체 변환 LED 또한 동일한 장비를 이용하여 인가 전류 변화에 따른 발광 강도를 적분구 내에서 관찰하였다.
  • 형광체의 입자 형상을 관찰하기 위해 TERACAN사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현미경(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Mira 3 LMU FEG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ELS-Z Plus를 통해 입자의 크기 및 분포도를 측정하였다. 형광체의 발광 특성은 제논(Xe) 램프를 사용한 PSI photo-luminescence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출발 물질로는 Sr(NO3)2 (99 %, Sigma-Aldrich), Eu(NO3)3·5H2O (99.9%, Sigma-Aldrich) 및 Al(NO3)3·9H2O (99.9 %, High Purity Chemicals)를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구형의 Sr4Al14O25:Eu2+ 형광체를 두 단계의 침전 반응으로 이루어진 액상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Eu2+의 농도는 3, 5, 7 및 10 mol%로 변화하였다.
  • 근자외선 LED에 의해 효과적으로 여기되는 Sr4Al14O25:Eu2+ 청록색 형광체를 액상법을 이용하여 구상으로 합성하였다. 형광체 입자의 합성은 두 단계로 구성된 액상 법에 의해 이루어졌고 입자 형상 및 발광 강도에 근거한 최적 열처리 온도는 1100 ℃였다.
  • 합성된 형광체의 결정구조는 X선 회절 분석법(XRD)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장비는 Rigaku사의 CuKα radiation D/MAX-2200으로 40 kV와 40 mA의 측정 조건을 적용하였다.
  • 온도에 따른 침전물의 열적 거동을 TGA Q500 TG/DTA 장비를 이용해 공기 분위기에서 5 ℃/min의 승온 조건 하에 분석하였다. 형광체의 입자 형상을 관찰하기 위해 TERACAN사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현미경(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Mira 3 LMU FEG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ELS-Z Plus를 통해 입자의 크기 및 분포도를 측정하였다. 형광체의 발광 특성은 제논(Xe) 램프를 사용한 PSI photo-luminescence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자외선 LED 칩 위에 형광체를 도포하여 고연색성의 백색광을 구현하는 기술을 보다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은? 4) 이에 근자외선 LED 칩(380-420 nm) 위에 적, 녹, 청색 형광체를 도포하여 고연색성의 백색광을 구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 방식은 넓은 영역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 우수한 색온도와 색좌표를 갖는 백색광 제조가 가능하다.5) 하지만 이렇게 삼색 형광체를 조합하여 구현한 백색광의 발광 스펙트럼에는 녹색과 청색 영역 사이에 비어있는 공간이 존재하는데, 이 구간을 채울 수 있는 청록 발광 형광체를 포함하여 백색광을 제조하면 더 높은 연색지수를 갖는 백색 LED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자외선 영역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강한 청록 발광을 나타내는 형광체가 필요하다.
백색 발광 다이오드는 어떤 장점을 가지는가? 최근 백색 발광 다이오드(white light-emitting diodes) 는 높은 효율과 긴 수명, 화학적 안정성, 친환경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2) 백색 LED는 일반적으로 청색을 발현하는 LED와 그 빛의 일부를 흡수하여 황색 빛을 내는 형광체를 조합하여 만들어진다.
백색 LED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최근 백색 발광 다이오드(white light-emitting diodes) 는 높은 효율과 긴 수명, 화학적 안정성, 친환경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2) 백색 LED는 일반적으로 청색을 발현하는 LED와 그 빛의 일부를 흡수하여 황색 빛을 내는 형광체를 조합하여 만들어진다.3) 이러한 방식의 백색 LED 는 높은 발광 강도를 나타내지만 청색과 황색의 넓은 파장 간격으로 인한 색분리로 인하여 동일한 색좌표를 나타내는 백색의 LED 제조가 어렵고 색온도와 연색지수의 조절에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T. Nishida, H. Saito and N. Kobayashi, Appl. Phys. Lett., 79(6), 711 (2001). 

  2. J. S. Kim, P. E. Jeon, J. C. Choi, H. L. Park, S. I. Mho and G. C. Kim, Appl. Phys. Lett., 84(15), 2931 (2004). 

  3. P. Schlotter, R. Schmidt and J. Schneider, Appl. Phys. Mater. Sci. Process., 64(4), 417 (1997). 

  4. S. Lee and S. Y. Seo, J. Electrochem. Soc., 149(11), J85 (2002). 

  5. Y. Uchida and T. Taguchi, Opt. Eng., 44(12), 124003 (2005). 

  6. G. Blasse, J. Solid State Chem., 62(2), 207 (1986). 

  7. T. Katsumata, K. Sasajima, T. Nabae, S. Komuro and T. Morikawa, J. Am. Ceram. Soc., 81(2), 413 (1998). 

  8. F. C. Palilla, A. K. Levine and M. R. Tomkus, J. Electrochem. Soc., 115(6), 642 (1968). 

  9. A. L. N. Stevels and A. D. M. S. Pauw, J. Electrochem. Soc., 123(5), 691 (1976). 

  10. B. Smets, J. Rutten, G. Hoeks and J. Verlijsdonk, J. Electrochem. Soc., 136(7), 2119 (1989). 

  11. V. Abbruscato, J. Electrochem. Soc., 118(6), 930 (1971). 

  12. W. R. Liu, C. C. Lin, Y. C. Chiu, Y. T. Yeh, S. M. Jang and R. S. Liu, J. Chem. Chem. Eng., 5(7), 638 (2011). 

  13. D. Jia, Y. Wang, X. Guo, K. Li, Y. K. Zou and W. Jia, J. Electrochem. Soc., 154(1), J1 (2007). 

  14. H. K. Jung, D. W. Lee and Y. C. Park, Solid State Phenom., 124, 391 (2007). 

  15. D. Jia, Electrochem. Solid State Lett., 9(10), H93 (2006). 

  16. M. Capron, F. Fayon, D. Massiot and A. Douy, Chem. Mater., 15(2), 575 (2003). 

  17. J. H. Jean and T. A. Ring, Colloid. Surface., 29(3), 273 (1988). 

  18. C. -S. Fang and Y. -W. Chen, Mater. Chem. Phys., 78(3), 739 (2003). 

  19. C. Chang, Z. Yuan and D. Mao, J. Alloy. Comp., 415(1), 220 (2006). 

  20. D. Wang, M. Wang and G. Lu, J. Mater. Sci., 34(20), 4959 (1999). 

  21. M. S. Jang, W. H. Kim, Y. R. Kang, S. B. Song, J. P. Kim and J. H. Kim, Int. J. Appl. Ceram. Tech., 10(4), 617 (2013). 

  22. W. Minquan, D. Wang and L. Guanglie, Mater. Sci. Eng. B., 57(1), 18 (1998). 

  23. D. Wang, Q. Yin, Y. Li and M. Wang, J. Lumin., 97(1), 1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