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산업체 남성 근로자의 영양교육에 대한 요구도 분석
Assessment of Need for Nutritional Education in Male Workers Living in Busa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7, 2014년, pp.1132 - 1137  

이은정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최희선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은순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산지역 산업체 5곳에 근무하는 남성 근로자들 310명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직장인들의 영양개선 및 바람직한 식생활을 유도할 수 있는 산업체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양교육 경험이 있는 근로자는 11.9%이었고 영양정보를 얻는 경로는 58.1%가 대중매체이었다. 연령별 차이에서 50대 이상의 91.7%가 영양정보를 대중매체를 통해서, 20대와 30대는 각각 42.9%, 46.9%가 인터넷을 통해서 얻었으며 유의적 차이(P<0.001)를 보였다. 영양교육 필요성에 대한 평균 인식 점수는 3.65/5.00점이었고 연령별 차이에서는 30대는 3.60/5.00점, 40대는 3.53/5.00점이었으며, 학력에 따라 전문대졸이 3.67/5.00점으로 고졸, 대졸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조사 대상 근로자들이 받기 원하는 영양교육 내용은 '균형 잡힌 식습관'(4.00/5.00점), '식품 안전성' 3.96/5.00점, '질환과 관련된 식사요법' 3.94/5.00점이었으나 '외식과 건강'은 3.30/5.00점, '건강보조식품'은 3.27/5.00점 이었다. '알코올과 건강'에 대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은 사무직이 생산직보다 필요성 점수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고, 전문대졸과 대졸 이상이 고졸보다 유의적(P<0.01)으로 높게 나타났다. 적당한 영양교육 횟수는 6개월에 한 번 29.0%, 일 년에 한 번 25.8%, 3개월에 한 번은 21.0%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할 때에는 근로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의 영양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근로자들의 영양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영양과 건강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함께 근로자들의 영양개선 및 바람직한 식생활 유도를 이끄는 영양교육이 근로자의 건강 유지를 위해 반드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need for nutritional education in male workers living in Busan, Korea. This study surveyed 310 industrial workers at five companies in Busan using a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s, need for nutritional education scored 3.60/5.00 points. The usa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부산지역 산업체 5곳에 근무하는 남성 근로자들 310명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직장인들의 영양개선 및 바람직한 식생활을 유도할 수 있는 산업체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남성 근로자의 영양교육의 경험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근로자들이 선호하는 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함으로써 앞으로 근로자들의 영양 개선 및 바람직한 식생활을 유도하는데 필요한 산업체에서의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임금근로자의 수는? 우리나라의 임금근로자는 2003년 14,624천 명이었으나 지난 2013년에는 18,414천 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6). 그러나 일반적으로 남성 근로자들은 좋지 않은 식습관과 육체적, 정신적으로 가중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낮은 영양지식, 건강관리 노력 부족 등으로 인해 뇌・심혈관계 질환, 고혈압, 당뇨 등 각종 성인병의 위험이 높다고 보고되었다(7).
건강이란? 세계보건기구(WHO)는 1946년에 발표한 헌장에서 ‘건강이란 병이 없거나 허약함이 없는 것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하게 양호한 상태를 말한다’고 정의하였다(1). 건강은 즐겁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며, 건강한 근로자는 산업 발전에 큰 역할을 한다.
남성 산업체 근로자들에게 효율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임금근로자는 2003년 14,624천 명이었으나 지난 2013년에는 18,414천 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6). 그러나 일반적으로 남성 근로자들은 좋지 않은 식습관과 육체적, 정신적으로 가중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낮은 영양지식, 건강관리 노력 부족 등으로 인해 뇌・심혈관계 질환, 고혈압, 당뇨 등 각종 성인병의 위험이 높다고 보고되었다(7). 산업체 근로자 중 이상지혈증 진단을 받은 근로자를 대상으로 영양교육 실시 결과 식습관, 생활습관, 영양 지식이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 산업체 근로자들에게 효율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함이 강조되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Mo SM, Koo JY, Park YJ, Park YS, Shon SM, Seo JS. 2009. Community nutrition. Kyomunsa, Paju, Korea. p 13. 

  2. Park MH, Choi YS, Choi BS. 2001. Influence of food behavior and life-style behavior on health status in male industrial workers. Korean J Community Nutr 6: 297-305. 

  3. Song JJ, Kim SK, Choi MK, Kim MH. 2006. Nutrition and meal management focused on diseases of modern. Kyomunsa, Paju, Korea. p 6.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V-1). p 51-60. 

  5. Choi HM, Kim KW, Kim CI, Kim HS, Shon JM, Choi KS, Hyeon TS. 2011. Community nutrition. Powerbook, Seoul, Korea. p 227. 

  6.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The employment trends.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accessed Jan 2014). 

  7. Choi MK, Kim JM, Kim JG. 2003. A study on the dietary habit and health of office workers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18: 45-55. 

  8. Sim KS, Lee KH. 2012.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and health improvement in dyslipidemic industrial employees. J Korean Diet Assoc 18: 43-58. 

  9. Jang JH, Cho SH. 1999. Effectiveness of worksite nutrition counseling for hyperlipidemic employees in Kyung-buk area. J Korean Diet Assoc 5: 1-9. 

  10. Cha HJ. 2008. Effects of short-term nutrition education on industrial workers in Chonbuk.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11. Kim HJ, Hong JI, Mok HJ, Lee KM. 2012. Effect of workplace- visiting nutrition education on anthropometric and clinical measures in male workers. Clin Nutr Res 1: 49-57. 

  12. Briley ME, Coyle E, Roberts-Gray C, Sparkman A. 1989.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s and menu planning skills of family day-home providers. J Am Diet Assoc 89: 694-695. 

  13. Axelson ML, Bringberg D. 1992.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nutrition knowledge. J Nutr Educ 24: 239-246. 

  14. Kim HG. 1995. Food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of men working at industry. Korean J Dietary Culture 10: 119-123. 

  15. Park MH, Choi YS, Lee MA, Choi BS, Jung HJ. 1999. A study on the food behaviors and nutritional status of industrial workers. Korean J Community Nutr 4: 194-206. 

  16. Oh HM, Yoon JS. 2000.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industrial workers. Korean J Community Nutr 5: 13-22. 

  17. Park YO, Choi IS, Lee SS, Oh SH. 2002. A study of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 of industrial workers who work day and night shifts. Korean J Community Nutr 7: 615-627. 

  18. Kim SK, Yone BY, Jang JH. 2003.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male industrial workers in Korea. J Korean Diet Assoc 9: 326-335. 

  19. Kim MY, Kim IS, Hwang EH. 2008. A study on interest regarding to health and nutrition knowledge of industrial workers. Proceeding of 2008 of Autumn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Seoul, Korea. p 138. 

  20. Jo DH. 2011. Eating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preference survey on workers in big cities. M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21.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p 542, 548-549. 

  22. Lee MS, Kang HJ, Oh HS, Paek YM, Choue RW, Park YK, Choi TI. 2008. Effects of worksite nutrition counseling for health promotion; twelve-weeks of nutrition counseling has positive effect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male workers. Korean J Community Nutr 13: 46-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