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기준 비교분석연구: 한국과 일본의 제품안전 확보체계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f Safety Regulations: Focused on the Applied Frameworks of ensuring product safety in Korea and Japan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0 no.1 = no.23, 2014년, pp.116 - 122  

Kim, Jung-G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to University) ,  Kim, Tae-Hwan (Department of Security Service, Yongin University)

초록

최근 우리나라는 제품 안전사고에 대한 종합적 관리를 위하여 제품안전기본법을 도입하였다. 이는 제조자에 대한 제품제조 책임을 강화하여 소비자보호는 물론 제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정책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제품안전 확보체계는 아직 완전하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일본에 적용되고 있는 제품안전 확보체계에 대한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제품안전 확보체계의 개선과제 및 발전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Korea has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Product Safety to allow comprehensive control of product safety accidents. This is a government policy aiming to ensure product safety and customer protection by strengthening the obligation of producers. However, the framework has not yet been comp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제품안전과 관련된 한국과 일본의 법제도의 비교와 기업의 실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면담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제품안전관련 법체계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그러나 관련법령의 정비만으로 우리나라의 제품안전 확보 체계가 완성되었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제품안전 관련법령에 대한 조사 및 양국기업의 안전관련 담당자에 대한 면담조사를 토대로, 한국과 일본의 제품안전 관련 법제도가 형성하고 있는 제품안전 확보체계의 비교 및 우리나라의 제품안전 확보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하여 검토 분석하였다.
  • 특히 제조자에게는 제품에 요구되는 개별적인 안전사양 대신 실제 사용성에 기초한 제품을 만들도록 하고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제품이 갖춰야 하는 최소한의 성능이 아닌 제조자가 발휘할 수 있는 최고성능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제조자의 인식을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제품으로 인해 발생한 중대 사고정보를 수집 공개공표 하고 있는데 소비자에게는 물론 제품 제조자에게도 참고가 되어 사고재발 방지에 효과를 거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품안전기본법을 도입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는 제품 안전사고에 대한 종합적 관리를 위하여 제품안전기본법을 도입하였다. 이는 제조자에 대한 제품제조 책임을 강화하여 소비자보호는 물론 제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정책이다.
정부는 제품안전 확보를 위해 무엇을 하였는가? 최근 우리나라는 사회발달로 제품의 종류 및 기능이 다양해졌을 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로부터 제품이 수입 되면서 제품안전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동안 정부는 제품안전 확보를 위하여 ISO/IEC 등의 안전규격을 고려한 제품안전 관리체계를 구축해 왔다(KATS, 2003). 그러나 이러한 제품안전 관리체계는 제품의 설계 및 제조 단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제품 생애주기 전체를 커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제품안전기본법이란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는 제품 안전사고에 대한 종합적 관리를 위하여 제품안전기본법을 도입하였다. 이는 제조자에 대한 제품제조 책임을 강화하여 소비자보호는 물론 제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정책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제품안전 확보체계는 아직 완전하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Bae, J.H., Song, H.G., Park, Y.T. (2013). "Development a Product Risk Assessment Model for Korea Using Injury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Vol.41, No.4, pp.623-636. 

  2. Ha, M.Y. (2011). "기고-제품안전기본법 시행에 따른 대응." Journal of Korean electronics, Vol.31, No.1, pp48-52. 

  3. KATS (2003). Safetu aspects - Guideline for their inclusion in standards: KS A ISO IEC GUIDE51 

  4. Mitamura, Koh (2012). "安全のため技術者に求められる常識と論理", Jap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ing, Vol.115, No.1129, pp.844-845. 

  5. ??産業省(2013). 製品安全に?する流通業者向けガイ 

  6. 消費者?, ??産業省(2012). 製品事故情報報告.公表制度の解?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