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1 no.2, 2014년, pp.218 - 224
이수 (창원대학교 화공시스템공학과) , 성은숙 (창원대학교 화공시스템공학과)
Biodegradable conductive composite films of polylactic acid(PLA) were prepared with various amounts of polyaniline(PAni) doped with dodecylbenzenesulphonic acid (DBSA) by solution blending technique to identify their mechanical and electric properties. 15 mol% of DBSA doped PAni was easily obtained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고분자 재료가 산업에 제한적인 이유는? | 고분자 재료들은 대부분 전기적으로는 부도체이면서 그들이 갖고 있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실용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부분 이런 플라스틱 재료는 정전기 발생으로 인해, 일부 용도에는 사용이 제한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전성 고분자의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전기전도성을 목적으로 한 기존 제품에 사용된 고분자 재료로는 부도체인 고분자 매트릭스에 전도성 금속재 또는 탄소 분말 등을 분산시킨 것으로 이는 단순한 의미에서 전기전도성 고분자라 할 수 없다. | |
어떤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도전성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는가? | 생분해성 고분자인 PLA를 매트릭스로 용액 중합된 DBSA가 15 mole% 정도 도핑된 PAni를 첨가하여 도전성 PAni/PLA 복합 필름을 제조하여 기계적, 전기적 특성 및 표면 morphology를 고찰하였다. FE SEM 측정 결과 PAni/PLA 복합 필름은 PAni 입자들이 매트릭스 고분자인 PLA에 비교적 잘 분산된 상태를 보였으며, 인장강도는 PAni 함유량 15 wt% 인 경우 $565. | |
고분자 재료의 성질과 실용화가 급속도로 상승한 이유는? | 고분자 재료들은 대부분 전기적으로는 부도체이면서 그들이 갖고 있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실용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부분 이런 플라스틱 재료는 정전기 발생으로 인해, 일부 용도에는 사용이 제한되었다. |
T. A. Stotheim, "Handbook of Conducting Polymer", Marcel Dekker, New York, 1986.
T. Vikki, L. O. Pietila, H. Osterholm, L. Ahjopalo, A. Takala, A. Toivo, K Levon, P. Passiniemi, and O. Ikkala, Molecular Recognition Solvents for Electrically Conductive Polyaniline, Macromolecules, 29(8), 2945(1996).
F. Cheng, W. Tang, C. Li, J. Chen, H. Liu, P. Shen, and S. J. Dou, Conducting poly(aniline) nanotubes and nanofibers: controlled synthesis and application in lithium/PAni rechargeable batteries, Chemistry, 12(11), 3082-3088 (2006).
B. C. Dalui, I. N. Basmallick, and S. Ghosh, Zinc-polyaniline rechargeable battery assembled with aqueous electrolyte, Indian Journal of Chemical Technology, 15, 576-580 (2008).
A. A. Athawale, S. F. Patil, and B. Deore, Investigations of some selected properties of electrochemically synthesized poly(N-ethyl aniline) films, Polymer, 40, 4929 (1999).
J. Huang and M. Wan, Polyaniline doped with different sulfonic acids by in situ doping polymerization,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7(9), 1277-1284 (1999).
A. G. Mac Diarmid, Y. Zhou, and J. Feng, Oligomers and isomers: New horizons in polyanilines, Syn. Met., 100, 131 (1999).
C. L. Gettinger, A. J. Heeger, D. J. Pine, and Y. Cao, Solution characterization of surfactant solubilized polyaniline, Syn. Met., 74, 81 (1995).
K. Mullen and G. Wegner, "Electronic Materials: The Oligomer Approach", pp.264, 498, Wiley-VCH, New York, 1998.
J. Kim, A. J. Kwon, S. Han, and E. R. Kim,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organic soluble polyaniline by emulsion polymerization, Polymer(Korea), 27(6), 549-554 (2003).
P. J. Kinlen, J. Liu, Y. Ding, C. R. Graham, and E. E. Remsen,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for Organically Soluble and Electrically Conducting Polyaniline, Macromolecules, 31, 1735-1744 (1998).
J. Fan, M. Wan, and D. Zhu,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water-soluble conducting copolymer poly(aniline-co-oaminobenzenesulfonic acid),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6, 3013-3019 (1998).
R. M. Rasal, A. V. Janorkar, and D. E. Hirt, Poly(lactic acid) modifications, Progress in Polymer Science, 35, 338-356 (2010).
D. Garlotta, A Literature Review of Poly(Lactic Acid), Journal of Polymers and the Environment, 9(2), 63-84 (2002).
I. Lee, K. B. Rhyu, and B. C. Lee, Determination of Reactivities by MO Theory. MO Studies on Nonlinear Hammett Correlation of Benzyl Systems, J. Kor. Chem. Soc., 23(5), 277-285 (1979).
R. Zallen, The physics of amorphous solids, John Wiely & Sons, 1983.
C. O. Yoon, Electrically conducting polymeric Materials, Polym. Sci. Tech., 7(6), 710 (1996).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