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식아동이 이용하는 도시락의 미생물 검사를 통한 위생 상태 비교.분석
A comparison study of hygiene status in meals for poorly-fed children through microbiological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7 no.3, 2014년, pp.214 - 220  

유옥경 (전북대학교부설 비만연구센터) ,  김현숙 (전북대학교부설 비만연구센터) ,  변문선 (전북대학교부설 비만연구센터) ,  김민아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차연수 (전북대학교부설 비만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결식아동 대상의 도시락을 생산하는 사회적기업 도시락 2종류와 상업용 도시락 중 프랜차이즈 업체 도시락 2종류, 편의점 도시락 2종류의 미생물검사를 통한 위생 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평가하였고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일반세균수 및 오염지표군 분석 결과 E. coli는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 되었다. SEM 1의 콩나물무침에서 대장균군이 < $9.2{\times}10$ CFU/g 검출되어 식품공전 검사규격에 부적합한 수준이었으며, SEM 2의 경우 비가열 식품인 호박샐러드와 김치에서 각각 대장균군과 일반세균이 < $1.2{\times}10^2$ CFU/g와 $1.6{\times}10^6$ CFU/g으로 검사규격보다 초과되는 양이 검출되었다. FM 1과 2에서도 오징어가스 ($1.4{\times}10$ CFU/g)와 돈까스 ($1.4{\times}10^4$ CFU/g), 후라이드치킨 ($6{\times}10^3$ CFU/g), 김치 (< $4{\times}10$ CFU/g)에서 식품공전 검사규격 초과량의 대장균군이 검출 되었으며, 특히 후라이드치킨에서는 일반세균수 또한 $6.2{\times}10^5$ CFU/g으로 검사규격을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CSM 1과 2에서는 가열 비가열조리식품 모두에서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가열조리식품 중 돼지갈비와 오징어채, 양념치킨, 김치에서는 일반세균이 검출되었으나 검사규격에는 미만인 수치였다. 2) 6개 도시락 시료의 식중독균을 분석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Salmonella spp.와 V. parahaemolyticus는 검출되지 않았다. SEM 1의 경우 비가열조리식품 중 콩나물무침에서 B. cereus가 < 9.2 CFU/g 검출되었으나 검사규격에 위반되지 않았고, SEM 2에서는 비가열조리식품 중 김치에서 S. aureus가 $4.8{\times}10$ CFU/g 검출되었으나 검사규격에는 미만인 수치였다. FM 1과 2의 경우 비가열조리식품 중 김치와 무말랭이에서 S. aureus가 각각 $9.8{\times}10^2$ CFU/g, $9.4{\times}10^3$ CFU/g로 검출되어 검사규격에 위반되었고, B. cereus도 가열조리식품 중 돼지불고기와 후라이드치킨에서 각각 $1.2{\times}10^3$ CFU/g, $1.5{\times}10^3$ CFU/g으로 다량 검출되어 부적합한 수치였다. CSM 1과 2에서는 오징어채와 양념치킨, 볶은 김치에서 S. aureus가 각각 $9.5{\times}10^4$ CFU/g, $2.4{\times}10^2$ CFU/g, $1.3{\times}10^3$ CFU/g로 다량 검출되어 검사규격에 위반되었다. 3) 본 연구는 결식아동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도시락과 결식아동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 도시락, 편의점 도시락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여 각 도시락의 위생 상태를 비교 평가하고자 수행 되었으며, 연구 결과를 통해 결식아동들에게 제공되는 도시락의 미생물 안전성을 확인하고 도시락의 위생관리 및 유통기간 설정 등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4) 미생물 검사 결과 식중독균에 대해서는 사회적기업 도시락이 상업용 도시락보다 양호한 것으로 사료되나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에서 부적합한 수준의 식품이 존재한 것으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위생관리 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결식아동들을 위한 도시락은 제조 완료와 섭취가 동시에 이루어지기 힘든 부분이 있어 추후 실질적으로 아동들에게 도시락이 전달된 직후의 도시락 위생 상태와 실제 섭취 전의 도시락 미생물 안전성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ygiene status of meals for poorly-fed children through microbiological quality. Methods: Meals were provided by two social enterprises, one franchise, and one convenience store. There were a total of six meal samples; two samples (social enterpris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결식아동이 이용하는 도시락 형태인 사회적기업 도시락과 프랜차이즈 도시락, 편의점 도시락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여 각 도시락의 위생 상태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결식아동이 이용하는 도시락 형태인 사회적기업 도시락과 프랜차이즈 도시락, 편의점 도시락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여 각 도시락의 위생 상태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결식아동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도시락의 미생물 안전성을 확인하고 도시락의 위생관리 및 유통기간 설정 등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결식아동이 이용하는 도시락의 위생 상태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안전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락 배달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5,6 결식아동에게 제공되는 급식 형태 중 하나인 도시락은 크게 직접 가정으로 배달되는 것과 아동이 식품권을 가지고 도시락을 구입하는 경우로 나뉜다. 도시락 배달의 경우 무상급식의 형태 중 양질의 식사 제공이 가능하며 가정에서 취사 부담을 덜 수 있고 집까지 배달된다는 점에서 다른 지원 방법보다 만족도가 높은 반면, 식은 밥 제공, 도시락 내용물의 부실 가능성, 배달에 따른 추가비용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다.2,7 반면에 결식아동이 식품권으로 도시락을 구입하는 것은 스스로 도시락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결식아동에게 낙인감을 가지게 할 수 있고 식품권이 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결식아동을 위한 급식 지원체계에서 식품권으로의 지급은 어떤 장단점이 있는가? 도시락 배달의 경우 무상급식의 형태 중 양질의 식사 제공이 가능하며 가정에서 취사 부담을 덜 수 있고 집까지 배달된다는 점에서 다른 지원 방법보다 만족도가 높은 반면, 식은 밥 제공, 도시락 내용물의 부실 가능성, 배달에 따른 추가비용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다.2,7 반면에 결식아동이 식품권으로 도시락을 구입하는 것은 스스로 도시락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결식아동에게 낙인감을 가지게 할 수 있고 식품권이 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8 현재 결식아동에게 제공되는 배달 도시락은 몇 군데의 사회적기업에서 생산하고 있고 결식아동이 직접 식품권으로 도시락을 구입하는 경우 편의점 및 프랜차이즈 업체 등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2007년 보건복지부는 결식아동을 무엇이라 정의하였나? 2007년 보건복지부는 결식아동을 아동이 가정빈곤, 가족 해체, 가족위탁아동, 소년소녀가장, 부모 (보호자)의 실직·질병·가출 및 직업적 특성, 아동학대·방임·유기·부양기피 및 거부, 그 밖에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한 가정 사정으로 인해 제대로 보살핌을 받지 못해 끼니를 거르거나, 먹는다고 하더라도 필요한 영양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Park KS, Ha JH, Heo DJ. A research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government-funded meal support program for low-income children. Busan: Busan Women and Family Development Institute; 2012. 

  2. Kwun HY, Kim JH, Lee HM. Beneficiaries' satisfaction, menu preference and dietary habits of lunch-box program provided to low-income families. Korean J Food Nutr 2011; 24(3): 320-328. 

  3.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2 youth white paper.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2.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sults data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5. Moon JA, Yoo CH, Lee KE. Microbiological assessment of homedelivered meals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during production and delivery. J Korean Diet Assoc 2013; 19(3): 236-252. 

  6. Choi H, Kwon S, Yoon J. Government-funded meal support program for low-income children through convenience stores: current status and nutritional quality of available meal item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2): 253-264. 

  7. Yoon B, Yoon J, Shim JE, Kwon S. Current status of meal box service management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during summer va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2): 206-215. 

  8. Choi YD, Jung DH. A study on the efficient food service program to the poorly-fed children. Korean Acad Soc Welf Support 2007; 3(1): 1-24. 

  9. Yang IS, Lee BS, Cha JA, Han KS, Chae IS, Lee JM. Foodservice in institutions, 3rd edition. Seoul: Kyomunsa; 2011. 

  10. Kim HY, Oh SW, Chung SY, Choi SH, Lee JW, Yang JY, Seo EC, Kim YH, Park HO, Yang CY, Ha SC, Shin IS. An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products in Seoul,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1; 43(1): 39-44. 

  1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borne outbreak for 2009 [Internet]. Cheongwon: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9 [cited 2014 May 13].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 

  1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poisoning statistics system 2011 [Internet]. Cheongwon: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 [updated 2012 May 15; cited 2014 May 13].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e-stat/index.do. 

  13. Lee HW. A study on inter-organizational service network for the primary school children in need. Korean J Soc Welf 2002; 49: 190-224. 

  14. Kim J, Kwon S, Lee Y, Choi H, Yoon J. The current status of foodservice management in the restaurants participating in the government- funded children's model program in Korea during summer va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2): 182-193. 

  15. Chae MJ, Bae HJ, Yoon JY. Consumption practices and selection attribut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on ready-to-eat foods. J Foodserv Manage 2008; 11(2): 289-307. 

  16. Lee JH. A survey on the consumption practices of ready-to-eat foods and quality management standards of kimbab implementing HACCP system [dissertation]. Gyeongsan: Daegu University; 2011. 

  1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0 Korean food standards codex [Internet]. Cheongwon: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1 [cited 2014 May 13]. Available from: http://www. kfda.go.kr. 

  18. Kim HK, Lee HT, Kim JH, Lee SS.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ready-to-eat foods. J Food Hyg Saf 2008; 23(4): 285-290. 

  19. Jung DS, Shin DH, Jung DH, Kim CM, Lee IS. Food hygienics. Seoul: Jungmoonkak; 2002. 

  20. Kim HJ, Hwang YI, Lee SC. Inhibitory effect of hydrogen peroxide on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J Basic Sci 2004; 19: 113-117. 

  21. Frazier WC, Westhoff DC. Food microbiology, 4th edition. New York (NY): McGrow-Hill Book, Inc.; 1988. 

  22. Moon HK, Jean JY, Kim CS. Effect of sanitization on raw vegetables not heated i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Diet Assoc 2004; 10(4): 381-389. 

  23. Hong WS, Yoon JY, Choi EH, Lee KE, Bae HJ. Alternative food service industry's sanitation management and HACCP. Seoul: Baeksan;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