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업가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교육을 이수한 예비창업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Focusing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mpleted Prefounders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9 no.2, 2014년, pp.97 - 107  

박지유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양해술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창업의지 설정에 있어서 창업가 특성에 따라 창업의지의 상황에 영향이 있는 지를 연구하였다. 특히, 중소기업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 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창업가 특성과 창업의지 간에 요인관계를 선행연구와 기존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벤처전문대학원생, 창업대학원생, 소상공인창업교육을 받은 예비창업자 등 총 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성취성향, 혁신성향, 진취성향, 위험감수성향, 창의성향 등이 창업가 특성에 따라 개인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 가운데 혁신성향, 위험감수성향, 창의성향은 정(+)의 회귀계수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진취성향은 부(-)의 회귀계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계적으로는 매우 유의하지만 창업의지에 역효과를 나타내므로 층별(성별/연령)하여 다시 분석한 결과 남자 39세 이하(청년창업가)에서 진취성향이 정(+)의 회귀계수로 매우 유의하고 정도 높은 함수식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포괄적인 창업분야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창업의 성공여부를 예측하기 위하여 적용할 때는 보다 세심한 분석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nsive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conditions for business foundation and the entrepreneurship in light of management, economy, and social psychometrics. This study focused on potential effect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on environment for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establishment of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개인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다시 말해 실질적인 창업여부가 아니라 가까운 미래에 스스로 창업할 가능성에 관한 자신의 평가를 나타내는 창업의지(entrepreneurial intention)를 종속변수로 사용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성취성향, 혁신성향, 진취성향, 위험감수성향, 창의성향과 같은 창업가 특성과 창업의지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550명의 벤처전문대학원생, 창업대학원생, 소상공인창업교육을 받은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요인 분석한 결과 성취성향, 혁신성향, 진취성향, 위험감수성향, 창의성향 등의 창업가 특성에 따라 개인의 창업의지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 본 연구는 창업가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는 것이다. 창업가 특성은 성취성향, 혁신성향, 진취성향, 위험감수성향, 창의성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논문에서 이와 같은 모형 설정을 위해 관련 연구모형들을 먼저 살펴보고 다음과 같이 본 연구의 모형을 설정하였다.
  • “일자리가 가장 큰 복지”라는 명제 아래 일자리창출의 일환으로 창업을 활성화하는 정부 정책들을 활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을 하고자 하는 창업가들의 창업의지에 각각의 창업가 특성에 관한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성취성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위험감수성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진취성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창업가 특성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창의성향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줄 것이다.
  • “혁신성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H1 : 창업가 특성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 : 창업가 특성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1 : 성취성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1 : 성취성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 혁신성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 진취성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 위험감수성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5 : 창의성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따라서 H1- 창업가 특성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을 활성화하여야하는 이유는?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밑거름이었던 높은 저축률이 급격히 소멸되고, 저출산에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창업 붐이 다시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을 활성화하여야한다.
21C 새로운 생존전략으로 무엇을 핵심 과제로 선택 하고 있는가? 글로벌 외환위기와 유럽발 재정위기를 경험한 주요 국가들은 21C 새로운 생존전략으로 ‘창업’을 핵심 과제로 선택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신정부의 창조경제 기반 하에 창업을 통한 고용과 일자리 창출을 촉진함으로써 경제성장 도약의 기반을 다지고자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다.
정부는 창업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무엇을 통하여 창업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가? 국내에서도 신정부의 창조경제 기반 하에 창업을 통한 고용과 일자리 창출을 촉진함으로써 경제성장 도약의 기반을 다지고자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다. 정부는 창업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창업선도대학, 창업대학원, 기술창업교육센터,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LINC)등의 지원사업을 통하여 창업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만성적인 청년실업율과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내부 침체와 장기적 성장 동력 악화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계층의 창업을 적극적으로 유인하여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Bateman, T. S. 14 2 103 10.1002/job.4030140202 

  2.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Bird, B. 13 3 442 10.5465/amr.1988.4306970 

  3.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Brenner, O. C. 29 3 62 

  4. 중소기업연구 최용호 25 2 103 

  5. Entrepreneurship Theory & Practice Gartner, W. B. 13 4 47 10.1177/104225878901300406 

  6. Entrepreneurship Theory an Practice Gartner, W. B. 14 1 27 10.1177/104225878901400103 

  7.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Herron, L. 8 3 281 10.1016/0883-9026(93)90032-Z 

  8. The Journal of Marketing Hurley, R. F 62 3 42 10.2307/1251742 

  9.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Kokot, S. J. 31 3 212 10.1002/j.2162-6057.1997.tb00792.x 

  10. Entrepreneurship and Regional Development Krueger, N. F. 5 3 315 

  11. Entrepreneurship : Theory and Practice Krueger, N. F. 18 3 91 

  12. Entrepreneurship : Theory and Practice Krueger, N. F. 18 3 91 

  13. 중소기업연구 이재훈 25 4 79 

  14. The Journal of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tudies Lee, J. W. 1 2 69 

  15.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Lumpkin, G. T. 21 1 135 10.5465/amr.1996.9602161568 

  16.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Morris, M. H. 29 7 31 10.1108/03090569510094991 

  17. Management science Quinn, R. E. 29 1 33 10.1287/mnsc.29.1.33 

  18.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Scott, M. G. 26 37 

  19.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Sexton, D. L. 1 1 129 10.1016/0883-9026(85)90012-6 

  20. Science & Technology Policy Son, S. J. 2 2 1 

  21.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an de Ven, A. H. 20 3 510 10.2307/2587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