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사회복지 예산지출의 계량적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Effect of Seoul Social Welfare Budget Spending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9 no.2, 2014년, pp.163 - 173  

김금환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  조순점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회복지관련 예산의 급격한 증가가 함께 사회복지관련 사업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회복지정책을 수행하는 지자체인 서울시에 의한 지원과 보조사업 추진의 당위성 및 논거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는 후생경제학 입장에서 사회복지관련 예산 지출이 서울지역 및 타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계량적으로 살펴보았다. 사회복지정책의 달성을 위한 예산 지출은 기업 및 개인의 소비행위를 연속적 및 직 간접적으로 파생시키게 되며,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산업연관표를 재 작성하여 사회복지 예산 지출의 경제적 효과로써 생산, 부가가치, 고용, 취업 등에 얼마나 기여하는가를 계량적으로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지자체인 서울시의 사회복지관련 예산지출에 의해 연간 10조 2백억원의 생산을 유발시키며, 6조 4,936억원의 직간접 부가가치를 파급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32,992.3명의 고용 및 203,430.3명의 취업을 창출시키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복지 예산 지출을 소비지출로 인식하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사회적 논란 야기 및 재정압박 요인으로 작용하는 현 시점에서 복지 분야에 대한 정부 및 서울시의 사회복지정책에 의한 개입 지원 보조의 당위성 논의의 타당성은 결국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뒷받침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의 기초자료를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복지예산은 소멸성 지출이 아니며 우리나라 사회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파생시키는 중요한 산업임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 연구를 통해 정책적 지원 및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dget for social welfare social welfare with a sharp increase in business is to be expanded in various fields. At this point, do the social welfare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and assistance projects suppor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justification and rationale for concluding th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4년도 지자체 서울시의 사회복지복지 예산은 6조 9,077억원이며, 이를 이용하여 서울시 사회복지관련 예산 지출에 의한 소비행위와 연쇄적인 재투입행위 발생의 경제적ᆞ파생적 효과를 산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추가적인 분석으로써 예산의 사업정책 성격별로 제 경제적 효과를 세부적으로 산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독과점의 폐단이 크거나 외부효과, 공공재 등의 존재로 시장경제가 효율적인 자원배분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 각종 공공규제를 통하여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의 측면에서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 또한 김금환ᆞ이미란(2007), 김금환ᆞ최기창(2006)은 개별 복지시설의 운영효과를 계량화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자체 서울시 사회복지 예산지출의 효과를 계량화하여 발표한 국내 첫 연구로써의 의의를 지닌다.1)
  • 따라서 서울시 사회복지 예산 지출의 경제적 효과를 평가함에 있어서 사회복지 예산 집행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효과 중에서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중심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 또한 사회복지 예산을 구성하는 세부사업(노인, 장애인, 여성, 다문화, 아동청소년, 취약계층, 보육, 건강․보건, 교육, 주거복지)별로 사업별 예산 지출에 의한 직간접 효과를 측정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2014년도 지자체 서울시의 사회복지복지 예산은 6조 9,077억원이며, 이를 이용하여 서울시 사회복지관련 예산 지출에 의한 소비행위와 연쇄적인 재투입행위 발생의 경제적ᆞ파생적 효과를 산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추가적인 분석으로써 예산의 사업정책 성격별로 제 경제적 효과를 세부적으로 산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예산은 당해년도에 모두 지출 되는 특성에 따라 사회적 할인율은 적용하지 않는다(표4).
  • 복지 예산의 급증은 시대적인 흐름이지만 사회적 논란 야기 및 재정압박 요인으로 작용하는 현 시점에서 복지 분야에 대한 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에 의한 개입ᆞ지원ᆞ보조의 당위성 논의의 타당성은 결국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뒷받침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는 각종 민생사업 예산지출 중 사회복지관련 예산지출을 포함하는 재정지원 및 보조의 당위성에 대한 경제학적ᆞ사회복지학적 논의를 검토하고자 하며, 실증연구를 통해 재정투입의 효과를 계량적으로 산정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인 서울시의 사회복지관련 예산지출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분석에서는 서울시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 예산 지출이 서울시 지역과 그 외 타지역 경제에 미치는 각각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앞 절에서 살펴 본 2014년도 서울시 예산 중에서 사회복지관련 예산자료를 기초로 하며, 계량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은행에서 작성 제시하고 있는 국산과 수입을 구분한 비경쟁수입형표2)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한다.
  • 2014년도 지방자치단체 서울시의 사회복지관련 전체예산은 6조 9,077억원으로써 당기에 지출되며, 세부적 사업별 예산은 <표 4>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서울시 사회복지 예산 지출에 의한 경제적 효과를 계량화된 값으로 산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시점에서 복지정책에 의한 정부 및 지자체인 서울시의 지원․보조사업 추진의 당위성 및 논거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는 후생경제학 입장에서 서울시사회복지 예산이 서울시 지역 및 타 지역 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 이와 같은 예산 지출의 효과발생 흐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관련 예산의 지출이 서울시 및 그 외 타 지역사회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며, 2014년도 지자체 서울시의 사회복지관련 예산 지출금액을 이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의 정도를 산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어떤 형태로 사회복지정책을 펴고 있는가?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사회복지분야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지원ᆞ추진하는 사회복지정책을 펴고 있다.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형태를 살펴보면, 기초생활보장, 취약계층지원, 공적연금, 보육가정 및 여성, 노인 및 청소년, 보육, 보훈, 무상급식의 교육분야, 주택분야 등에 대한 지원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보조금, 노인․장애인․종합사회 등 복지관 건립 및 운영, 복지단체(기관) 에 대한 지원 및 면세, 자원봉사 분야에 대한 홍보 및 제도적 지원 등 다양하다.
정부의 경제적 기능에는 무엇이 있는가? 구체적으로 정부의 경제적 기능은 크게 네 가지이다. 시장 경제를 위한 법과 제도를 제정하여 운용하고, 사회적으로 바람직스러운 자원의 배분, 소득재분배를 통해 거시경제의 안정화를 추구한다(Kim, No & An, 1998).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형태에는 무엇이 있는가?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사회복지분야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지원ᆞ추진하는 사회복지정책을 펴고 있다.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형태를 살펴보면, 기초생활보장, 취약계층지원, 공적연금, 보육가정 및 여성, 노인 및 청소년, 보육, 보훈, 무상급식의 교육분야, 주택분야 등에 대한 지원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보조금, 노인․장애인․종합사회 등 복지관 건립 및 운영, 복지단체(기관) 에 대한 지원 및 면세, 자원봉사 분야에 대한 홍보 및 제도적 지원 등 다양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