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화사회에 따른 노인수형자 처우방안
Elderly Inmates in Korea Ⅱ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02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400010851
과제고유번호 1105007217
사업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14-06-28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10851

초록

제1장 연구개요
□ 고령화 사회의 출현으로 노인범죄자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수형자에 대한 처우가 주요한 교정현안으로 대두되었다. 노인수형자는 높은 수준의 의료적 처우를 필요로 하여 교정시설의 부대비용을 증가시키며, 가족으로부터의 고립으로 외로움, 우울증, 정서불안을 경험하고, 경제적 사회적 지지자원이 부족하여 사회재적응이 어렵고 재범율이 높다. 노인수형자 증가추세를 감안할 때 기존의 처우방법은 교정 비용상의 부담을 가중할 뿐 아니라 긍정적인 재활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노인수형자에 대한 효과적인 처우를 가능하게 하

Abstract

As Korea becomes aged society, elderly criminals also have been increased.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is having far-reaching effects on correctional system. Because aging is accompanied by increased disability, more chronic diseases, and the need for accommodation, the cost of pri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3
  • CONTENTS ... 5
  • 표차례 ... 8
  • 그림차례 ... 15
  • 국문요약 ... 17
  • 제1장 연구개요(강은영) ... 33
  •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35
  • 1. 연구의 필요성 ... 35
  • 2. 연구의 목적 ... 38
  •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 40
  • 1. 연구 내용 ... 40
  • 2. 연구 방법 ... 43
  • 제2장 노인수형자 추이와 관련 쟁점(강은영․ 권수진․ 원혜욱․ 김상미) ... 45
  • 제1절 노인범죄 및 노인수형자 추이 ... 47
  • 1. 한국의 노인범죄 및 노인수형자 추이 ... 47
  • 2. 일본의 노인범죄 및 노인수형자 추이 ... 80
  • 3. 미국의 노인범죄 및 노인수형자 추이 ... 109
  • 4. 독일의 노인범죄 및 노인수형자 추이 ... 121
  • 제2절 노인수형자의 개념과 유형 ... 140
  • 1. 노인수형자의 개념 ... 140
  • 2. 노인수형자의 유형 ... 143
  • 3. 노인수형자의 특성 ... 146
  • 제3장 노인수형자 처우 현황(강은영․ 권수진․ 원혜욱․ 김상미) ... 153
  • 제1절 한국의 노인수형자 처우 현황 ... 155
  • 1. 한국의 수형자 시설 내 처우 ... 156
  • 2. 한국의 수형자 교정처우 ... 162
  • 3. 한국의 수형자 급여 및 의료 ... 171
  • 제2절 일본의 노인수형자 처우 현황 ... 174
  • 1. 일본의 형사수용시설 및 피수용자 처우 등에 관한 법률 ... 175
  • 2. 일반수형자의 교정처우 ... 182
  • 3. 일본의 노인수형자 시설 내 처우 현황 ... 189
  • 4. 일본의 갱생보호와 특별조정제도 ... 208
  • 제3절 미국의 노인수형자 처우 현황 ... 224
  • 1. 미국의 노인수형자 시설 내 처우 ... 224
  • 2. 미국의 노인수형자에 대한 의료적 처우 및 쟁점 ... 237
  • 3. 미국의 노인수형자 사회 복귀 ... 247
  • 제4절 독일의 노인수형자 처우 현황 ... 251
  • 1. 독일의 노인수형자 처우 특성 ... 251
  • 2. 독일의 주요 노인교도소 ... 255
  • 3. 독일의 노인수형자에 대한 대안적 처우현황 ... 274
  • 제4장 노인수형자 특성과 처우 실태에 관한 면접조사(김상미) ... 275
  • 제1절 조사 개요 ... 277
  • 제2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79
  • 1. 인구사회적 특성 ... 279
  • 2. 조사 대상자의 범죄 관련 특성 ... 283
  • 3. 노인수형자 유형 구분 ... 289
  • 제3절 노인수형자에 대한 시설 내 처우 현황 ... 291
  • 1. 교도소 내 적응 및 수용 방법 ... 291
  • 2. 노인수형자의 교도소 내 일상 ... 317
  • 3. 의료 처우 ... 345
  • 4. 출소 후 생활 및 사회 내 처우 가능성 ... 370
  • 5. 소결 ... 385
  • 제5장 노인수형자 처우 개선방안(강은영․ 권수진) ... 389
  • 제1절 노인수형자 처우 개선방향에 대한 교정공무원 설문조사 ... 391
  • 1. 조사 개요 ... 391
  • 2.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92
  • 3. 노인수형자 개념과 기준 ... 394
  • 4. 노인수형자 교도소 수용방식 ... 398
  • 5. 노인수형자 시설 내 처우 ... 405
  • 6. 노인수형자 작업과 교육 ... 414
  • 7. 노인수형자 의료처우 ... 421
  • 8. 노인수형자에 대한 대안적 처우 및 사회복귀 지원방안 ... 432
  • 9. 소 결 ... 436
  • 제2절 노인수형자에 대한 시설내 처우 개선방안 ... 439
  • 1. 노인수형자 개념과 분류 개선방안 ... 439
  • 2. 노인수형자 교도소 수용방식 및 수용시설 개선방안 ... 442
  • 3. 노인수형자 교정처우 개선방안 ... 449
  • 제3절 노인수형자에 대한 대안적 처우 개선방안 ... 465
  • 1. 가석방 ... 465
  • 2. 중간처우 ... 471
  • 3. 갱생보호 ... 479
  • 참고문헌 ... 489
  • Abstract ... 499
  • 부록 ... 503
  • 부록 1. 노인수형자 처우 개선방안 면접 조사지 ... 503
  • 부록 2. 노인 수형자 처우 방안에 관한 교정 공무원 인식 조사 ... 518
  • 끝페이지 ... 531

표/그림 (7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