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시 도심하천의 생태하천 복원사업에 따른 동물상 서식실태 조사 분석
The Investigation of Faunal Habitat Based on Ecological Rostoration of Urban Streams in Ulsan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6 no.5, 2013년, pp.1 - 17  

조홍제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강호선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searched the fauna restoration of 5 urban streams in Ulsan established as ecological streams by improving water quality and river environment. The fauna inhabitation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geometrical feature such as river width, low-water channel width, ect and water qu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척과천에 대한 동물상 자료도 조사지점이 다르고 내용이 미흡하여 복원여부에 대한 비교자료로 활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 성과를 기초로해서 도심하천에 대한 생태하천 조성시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유지용수의 수질 및 수량이 동물서식 여건과 복원 정도에 미치는 효과분석과 조성방향을 제시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하천은 어떤 공간인가? 도시하천은 시가지를 지나거나 도시주변에 형성되어 있어 시민들의 중요한 친수공간일뿐 아니라 수생태계와 육상생태계를 연결하는 생태적 공간이다. 일반적으로 도시하천은 하 폭과 수로가 좁고, 유량과 수심이 작아 적은 양의 오수 유입에도 쉽게 오염된다.
하폭과 저수로 폭이 좁은 도시하천에서 동물상이 복원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요구되는가? 하폭과 저수로 폭이 좁은 도시하천에서 동물상이 복원되기 위해서는 각 하천의 규모에 따라 어류 등이 서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유지용수가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유지용수는 적절한 양이 공급되어야 하지만 환경적·생태적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수질이 확보되어야 한다.
도시하천의 오염과 훼손 문제에 대한 방안으로 최근에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더구나 각 지자체마다 폭이 좁은 하천 내에 산책로나 자전거 도로 등을 조성함으로서 생태계가 거의 회복 불가능 할 정도로 훼손되어 있다. 최근에는 단순한 친수공간 조성 등의 이용중심에서 친자연형 생태하천으로 조성하여 생태복원을 꾀하고 있다. 복개구간을 철거하거나 차집관거를 설치하여 오·폐수를 차단하고 유지용수 공급 등으로 인해 생태복원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사례가 많다(Pyo and You,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ibby, C. J.?Burgess, N. D. and Hill, D. A. 1997. Bird census technique. Academic press limited, London. 

  2. Cho, H. J. and Lee, S. J. 2013. An Ecological Restoration of Urban Streams by Supplying Maintenance Water.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5(3) : 317-328. 

  3. Environmental Policy Act Enforcement Ordinance. 2012. A Presidential Decree No. 24023 Article 2 (Environmental standards), Ministry of environment (Policy coordination division), [Korean Literature]. 

  4. Kim, D. C.?Lee, J. and Rack, I. S. 2000. An evaluation of stream naturalness for Closeto- nature stream restoration -In case of Suwon strea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5) : 138-149. 

  5. Kim, G. H. 2000. Evaluation of habitat conditions and estimation of optimum flow for the freshwater fish,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Yonsei. 

  6. Kim, K. H.?Lee, H. R. and Jung, H. R. 2013. Effects of Submerged Spur Dikes on the Ecosystem and Bed Deformation in Youngcheon River Bend.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2):137-153. 

  7. Lee, H. G.?Jung, S. W. and Choi, J. K. 2012. Spatial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Structure in Lake Hoengseong Reg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26(1) : 46-56. 

  8. Lee, S. D. 2009. Ecological Studies of Fauna in and around Do-rim Urban Streams.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11(3) : 105-113. 

  9. Lee, S. S. 2007. A Study on Securing Instream Flow for Restoring Ecosystems and Riverine Aesthetics of a Degraded Urban Stream -Applied to the Mugeo Stream in the Ulsa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6(5) : 649-655. 

  10. Lee, Y. K.?Hong, C. S. and Lim, K. S. 2013. Analysis of seasonal Water pollution According to the Teuse and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Anyang Stream.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2) : 41-52. 

  11. Lee, Y. K. and Kim, G. J. 2000. Aspect Analysis of Ecological Water Pollution in Anyang Stream. Journal of The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3) : 447-459. 

  12.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1. Cheokgwa cheon water system river maintenance master plan(Cheokgwa cheon, Dusan cheon, Seosa cheon, Oesa cheon). Ulsan metropolitan city. 

  13. Ministry of Education. 2007. 3rd Natural Environment Survey Ulsan[359063]. 

  14. Nelson, J. S. 1994. Fishes of the World(3en ed.), John Willey & Sons, New York. 

  15. Pack, J. H. and Cho, Y. H. 1996. River ecological foundation of natural river plan,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9(2) : 21-26. 

  16. Pyo, J. H. and You, Y. H. 2011. Classification of Avian Habitats Based on Vegetation Types in Urban and Natural Streams,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13(1) : 67-77. 

  17. Song, T. K. 1997.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enthic Invertebrates in the Jisuk River Water System, Bulletin of Institute of Littoral Environment Mokpo National University Vol. 14. 17-26. 

  18. Woo, H. S.?Lee, J. W. and Kim, K. H. 1998. Development of a Method for Determination of Instream Flow Need Required for Fish Habitat Conservation -Application to the Keum River-, Journal of The Society of Civil Encineer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8(II-4):339-350. 

  19. Yun, I. B. 1995. Explanatory diagrams of aquatic insects, Junghaengsa. 

  20. Yun, I. B. 1988. Han'guk tong singmul tpgam, Vol. 30 Animal (Aquatic insects), Moongyob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