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주노동자의 의료정보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Level of Health Literacy of Migrant Workers in Korea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0 no.3, 2013년, pp.269 - 277  

이정미 (포항 선린병원) ,  이은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of migrant work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cross sectional correlational design. Participants were 128 migrant worker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들의 의료정보문해력 수준을 사정하고, 이들의 의료정보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의료정보문해력을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다문화 시대에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주노동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의 접근성을 높이고, 이들이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들의 의료정보문해력 수준을 사정하고, 이들의 의료정보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의료정보문해력을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다문화 시대에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주노동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의 접근성을 높이고, 이들이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이주노동자 수는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우리나라의 이주노동자 수는 2004년 고용허가제, 2007년 방문 취업제 실시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12년 현재 50만 명 이상으로 전년 대비 6.2%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Ministry of Justice, 2012). 이들 이주노동자들이 국내 산업현장에서 없어서는 안 될 주요 인적자원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Seol & Hong, 2006), 이러한 추세는 국내 경제성장과 더불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의료정보문해력이란? 따라서 이주노동자들이 국내 산업현장에서 없어서는 안 될 주요 인적자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면, 이들의 건강관리 문제는 간호사가 담당해야 할 중요한 역할이 될 것이다. 의료정보문해력은 기본적인 건강정보를 이해하고 건강 문제에 대한 적절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는 개인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또한, 의료와 관련된 인쇄물을 읽고, 기본적인 수를 계산하고, 말하고 듣고, 이해하는 것 등의 다양한 능력이 포함된다(Nielsen-Bohlman, Panzer, & Kindig, 2004).
이주노동자는 우리나라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그러나 이들은 소위 3D라고 일컫는 자국민이 기피하고 위험하며 노동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일에 종사하고 있음으로 해서 다양한 건강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Lee & Ko, 2010). 또한 국내에 합법․불법으로 입국하여 다양한 사회․경제적 문제, 문화적 차이, 법적 지위, 언어장애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Seol & Hong, 2006). 특히 의료서비스 이용에도 많은 불편함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Koh & Koh, 2009), 실제로 이주노동자들 중 절반 이상이 본국에 있을 때보다 우리나라에 입국한 1년 후에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자신의 건강상태를 평가하였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ker, D. W., Parker, R. M., Williams, M. V., Pitkin, K., Parikh, N. S., & Coates, W., et al. (1996). The health care experience of patients with low literacy. Archives of Family Medicine, 5, 329-334. 

  2. Baker, D. W., Williams, M. V., Parker, R. M., Gazmararian, J. A., & Nurss, J. (1999). Development of a brief test to measure functional health literac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ling, 38, 33-42. 

  3. Brez, S. M., & Taylor, M. (1997). Assessing literacy for patient teaching: Perspectives of adults with low literacy skill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 1040-1047. 

  4. Chew, L. D., Bradley, K. A., & Boyko, E. J. (2004). Brief questions to identify patients with inadequate health literacy. Family Medicine, 36, 588-594. 

  5. Cho, Y. I., Lee, S. Y. D., Arozullah, A. M., & Crittenden, K. S. (2008). Effects of health literacy on health status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among the elderly. Social Science & Medicine, 66, 1809-1816. 

  6. Davis, T. C., Crouch, M. A., Long, S. W., Jackson, R. H., Bates, P., & George, R. B., et al. (1991). Rapid assessment of literacy levels of adult primary care patient. Family Medicine, 23, 433-435. 

  7. Kim, J. (2011). Measuring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influence factors: Targeting the visitors of a university hospital’s outpatient clinic.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 27-34. 

  8. Kim, S. H. (2010). Older adults' self-reporte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utilizing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 1281-1292. 

  9. Kim, S. J., Lee, S. H., Kim, S. Y., Kim, A, L., Park, H. T., & Lee, Y. J. (2008). Migrant workers'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20, 791-803. 

  10. Kim, S. S., Kim S. H., & Lee, S. Y. (2005). Health literacy: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 215-227. 

  11. Koh, C. K., & Koh, S. K. (2009). Married female migrants' experiences of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 89-99. 

  12. Kreps, G. L., & Sparks, L. (2008). Meeting the health literacy needs of immigrant population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1, 328?332 

  13. Lee, B. S., Oh, I. K., & Lee, E. M. (2011). Foreign residents' experience of Korean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 226-237. 

  14. Lee, B. W., & Ko, Z. K. (2010). Study on conditions and problem of medical services (the health and medical care) for the foreign workers. Hanyang Law Review, 31, 323-352. 

  15. Lee, S. H., Chang, G. H., Han, H. S., Park, B, K., & Kim, S. S. (2012). The relationship of health literacy of female married migrants in Busan with their attitudes toward health. PNU Journal of Women's Studies, 22, 165-200. 

  16. Lucas, J. W., Barr-Anderson, D. J., & Kington, R. S. (2003). Health status, health insurance, and health care utilization patterns of immigrant black m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 1740-1747. 

  17. Ministry of Justice. (2012). Korea immigration service. Republic of Korea. http://www.moj.go.kr/HP/COM/bbs_03/ListShowData.do?strNbodCdnoti0097&strWrtNo99&strAnsNoA&strNbodCdnoti0703&strFilePathmoj/&strRtnURLMOJ_40402000&strOrgGbnCd104000&strThisPage1&strNbodCdGbn 

  18. Nielsen-Bohlman, L., Panzer, A. M. & Kindig, D. A. (Eds.) (2004). Health Literacy: A prescription to End Confusion.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9. Paasche-Orlow, M. K., & Wolf, M. S. (2007). The causal pathways linking health literacy to health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31, S19-S26. 

  20. Seol, D. H. (2009). Foreign migrant workers in Korea: A sociological explanation of a new minority group. The Historical Journal, 34, 53-77. 

  21. Seol, D. H., & Hong, S. K. (2006). Health status appraisal and systemic surveillance program for migrant workers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22. Shin, D. J. (2012). Discrimination matters: Social contexts of foreign workers' crime problem in South Korea as a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92, 183-217. 

  23. Vallance, J. K., Taylor, L. M., & Lavallee, C. (2008). Suitability and readability assessment of educational print resource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ling, 72, 342-349. 

  24. Weiss, B. D., Mays, M. Z., Martz, W., Castro, K. M., Dewalt, D. A., & Pignone, M. P., et al. (2005). Quick assessment of literacy in primary care: The newest vital sign. Annals of Family Medicine, 3, 514-522. 

  25. White, S., & Dillow, S. (2006). Key concepts and features of the 2003 National Assessment of Adult Literacy (NCES 2006-471).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s, U.S. Department of Education. Washington, DC. 

  26. Williams, M. V., Davis, T., Parker, R. M., & Weiss, B. D. (2002). The role of health literacy in patient-physician communication. Family Medicine, 34, 383-389. 

  27. Wolff, J., & Ellis, C. (2009). A brief survey of awareness of common health conditions, access to health services, and utilization of health services in limited-English-proficiency Hispanic/Latino adults. Journal of Allied Health, 38(2), e43-e46.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2008)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inal report of the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Geneva: WHO 

  29. Yang, S. J. (2010). Health status, health care utiliza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4, 323-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